
- 호국, 보훈 바로 알기! 어렵지 않아요~!! - 보고 듣고 체험하고 우리 역사 제대로 배워보기.
2013년의 한반도의 봄은 그 어느 해보다 소란스럽게 시작됐다. 3차 핵실험을 통해 사실상 핵보유국임을 인정한 북한의 평화협정 파괴로 인해 일반국민들까지 전쟁의 공포에 시달려야 했기 때문이다. 덕분에 대다수의 국민들은 한반도의 평화가 온전하지 않다는 사실과 함께 이 땅의 평화가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그러나 아직도 대다수의 아이들은 ‘현충일이 무슨 날인지’, ‘6.25전쟁이 왜 발발했는지’ 정확히 알지 못한다. 이 땅의 평화가 어디서부터 출발했는지 누구의 희생으로 이루어졌는지 아이들에게 알려주기에 한국전쟁 정전 60주년을 맞이하는 해, ‘호국 보훈의 달’인 6월만큼 좋은 기회는 없을 것이다. 현충일을 포함한 모처럼의 징검다리 휴일을 맞아 가족여행을 준비 중이라면 ‘나라를 위해 싸우다 숨진 장병과 순국선열들의 충성을 기리기 위해 정해진 날’이란 현충일의 본래의 의미와 나아가 우리나라 근현대사를 되짚어 볼 수 있는 곳으로 떠나보는 것은 어떨까.
충절의 고장. 이천

서울에서 출발해 경부고속도로와 영동고속도로를 부지런히 갈아타고 1시간 40여 분 남짓 달리면 닿는 경기도 이천은 깨끗한 물과 비옥한 토양으로 인해 도자기와 질 좋은 쌀로 유명한 지역이다. 천연의 자연 속 다양한 볼거리와 체험거리가 가득해 가족단위 관광객들에게는 영순위 추천지역이기도 하다.
국립이천호국원
그런데 볼거리 많은 이곳에 국립이천호국원이 위치하고 있다는 건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다. 여주시와 이천시 경계에 위치한 국립이천호국원은 국가와 민족을 위해 희생하거나 공헌한 국가유공자 분들을 안장한 곳이며 동시에 나라사랑 교육장으로 활용하기 위해 설립된 국가보훈처 소속의 국립묘지이다. 초입에 있는 현충문의 현판 뒤로 이 땅의 평화를 위해 잠든 호국영령의 위훈을 추앙하기 세워졌다는 현충탑 앞에 서면 철없이 떠들어대던 아이들까지 금새 입을 닫을 만큼 엄숙하고 경건한 분위기가 풍기는 곳이다. 사실 이천호국원은 국립묘지의 특성상 작정하지 않으면 쉽사리 발걸음 하기 쉬운 곳은 아니다. 그러나 최근에 조성된 곳인만큼 아이들 손을 잡고 천천히 둘러보면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국가안보의 중요성을 환기시킬만한 자료들이 가득하다. 특히 현충관 2층에 마련된 안보전시관에서는 6.25 전쟁부터 최근의 천안함 사태까지 사건들을 한눈에 볼 수 있으며, 태극기와 무궁화에 대해 알아볼 수 있는 체험장도 한쪽에 마련돼 있다. 그런가 하면 봉암담이라 불리는 봉안시설의 벽면 이미지를 치우천왕, 단군조선을 시작으로 6.25 당시 인천상륙작전 등 구역별 테마로 우리나라 역사를 형상화해 이야기 하듯 아이들에게 우리나라의 역사에 대해 알려줄 수 있다.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일죽터미널(터미널 주차장 출발)에서 출발하는 셔틀버스 혹은 이천에서 출발하는 시외버스를 이용하면 된다. 단 셔틀버스는 하루 3회, 주중에만 운영된다.
주소 : 경기도 이천시 설성면 노성로 260 전화번호 : 031)645-2345 홈페이지 : http://www.icnc.go.kr/
이천 사기막골 도예촌
그런가 하면 ‘천하제일의 비색자기’라 칭송받던 고려청자를 완벽하게 재현해 낸 곳 역시 이곳 이천이다. 그 중에서도 마을전체가 체험공방과 도자판매장 그리고 다양한 도자작품 전시장으로 이루어진 사기막골 도예촌은 도예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 즐거운 곳이다. 이천 사기막골을 중심으로 신둔면 일대에 걸쳐 요장만 300여 개, 도자기를 빚는 도예가가 700명 가까이 머무는 대규모 마을이다. 동양 최대의 도자기미술관인 유근형의 해강도자미술관도 이곳에 위치해 있다. 도예촌에서 114번 버스를 타고 30여 분쯤 가면 도착할 수 있는 이천세라피아 역시 이천여행에서 빼놓으면 아쉬운 명소다.
- 이천 터미널에서 114, 114-1 번 등을 타고 20여 분 이동 후 도예촌 정류장에서 하차 주소 : 경기도 이천시 사음동, 신둔면 일대 전화번호 : 031-633-5351 (도자재단)
이천세라피아
이천의 9경 중 하나로 손꼽히는 설봉호수를 왼쪽으로 끼고 느릿하게 봄의 향연을 만끽하며 오르다 보면 만날 수 있는 이천세라피아(구 이천세계도자센터)는 도자기를 보다 친숙하게 느낄 수 있도록 꾸며진 도자아트 테마공원이다. 세라피아(Cerapia)는 세라믹(Ceramic)과 유토피아(Utopia)의 합성어로 문자 그대로 도자로 상상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만날 수 있는 공간이다. 탁 트인 공원 부지를 걸으며 요소요소에 설치된 도자기 관련 전시물을 감상하고 봄 기운을 만끽하기에 딱이다.

- 서울 강변역 버스터미널에서 이천행 버스를 타고 이동. 배차는 30분 간격이다. 주소 : 경기도 이천시 관고동 산69-1 전화번호 : 031)645-0614 홈페이지 : http://www.kocef.org/02_museum/07.asp
돼지박물관
지난 3월 한국관광공사가 ‘작은 박물관 여행’이란 테마아래 추천한 바 있는 ‘돼지박물관’ 역시 이천시에 위치해 있다. 지난 2011년 아시아 최초로 조성된 이천 돼지박물관은 돼지 인공수정사 이종영 촌장이 설립한 곳으로 돼지에 관한 모든 것을 보고, 체험할 수 있는 교육농장이다. 전문 박물관답게 돼지를 주제로 한 5,000여 점의 전시물을 감상할 수 있는 전시관, 사육사와 함께 돼지의 생활을 관찰하고 미니 돼지들의 묘기를 감상할 수 있는 체험장 등 다양한 시설이 갖춰져 있어 아이들에게 생생한 교육의 현장을 제공한다. 또한 자유이용권을 이용하면 현장에서 직접 만든 소시지 등으로 차려진 바비큐도 맛 볼 수 있다.

- 직접만든 소세지 등을 맛보고 싶다면 미리 예약할 것. - 보다 다양한 프로그램을 즐기고 싶다면 홈페이지를 통해 미리 체험프로그램을 확인 후 예약할 것. 주소 : 경기도 이천시 율면 월포리 월포4리 64번지 전화번호 : 031)641-7540 홈페이지 : http://www.pigpark.co.kr/
‘임금님표 쌀밥’, 이천 쌀밥정식
‘금강산도 식후경’, 더욱이 이천까지 발길을 했다면 이천쌀밥정식을 맛보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사항이다. 윤기 자르르 흐르는 뜨근한 쌀밥에 짜지 않은 간장게장, 잡 냄새없는 돼지수육 등 맛깔스러운 반찬이 어우러져 한 상 제대로 차려나오는 밥상을 마주 하면 인스턴트 음식에 길들여진 아이들 역시 게 눈 감추듯 밥그릇 비우기에 열심이다. 이천쌀밥정식 맛집으로 유명한 ‘청목’을 비롯한 대부분의 맛집은 이천세라피아로 향하는 길목에 있으니 배부터 든든하게 채우고 공원 산책을 해보는 것도 좋다.

이곳도..
이천테르메덴 - 체험관광과 실외활동이 많은 이천관광의 마지막은 온천욕이 어떨까. 이천의 대표적인 온천장인 이천 테르메덴은 수영과 온천을 동시에 즐길 수 있어 더워지는 이맘때에도 제격이다. - 이천 시외버스터미널 건너편 SC스탠다드차타드은행 앞에서 출발하는 무료 셔틀버스를 이용하면 15분 소요. 주소 : 경기도 이천시 모가면 신갈리 372-1 전화번호 : 031-645-2000 홈페이지 : http://www.termeden.com/
이천문화관광사이트 : http://tour.icheon.go.kr/site/tour/main.do 이천터미널 전화번호 : 1688-3320
365일 떠나는 ‘도자관광투어라인’
경기도에서 도자기와 인연이 깊은 도시는 세 곳이 있다. 매 홀수 해에 세계도자비엔날레를 개최 중인 현대 도예의 본고장 이천을 비롯해 조선백자를 굽는 가마터가 남아있는 전통있는 도자의 도시 광주 그리고 마지막으로 국내 생활도자의 40% 이상을 생산 중인 생활도자의 고장 여주가 그 주인공들이다. 한국도자재단은 지난 2010년부터 3년간의 준비기간을 거쳐 이 세 도시를 잇는 도자와 함께 365일 떠나는 ‘도자관광투어라인’을 지난 달 오픈했다. 도자관광투어라인은 도자기를 테마로 한 국내 최초의 관광코스로 서울에서 출발해 체험형 복합 문화공간을 표방히며 20만 평의 대지에 조성된 광주의 ‘곤지암 도자공원’를 시작으로 테마형 공원으로 각광받고 있는 ‘이천 세라피아’ 그리고 도자쇼핑 관광지인 여주의 ‘도자세상’을 두루 둘러 볼 수 있도록 기획됐다. 또한 관광라인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투어버스와 주말 일반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무료 셔틀버스를 시범운영 중이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한국도자재단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http://www.kocef.org)
여행도 맞춤시대! 아이들 눈높이에 맞춰 떠나는 역사여행

하나! 초등학생 자녀와 떠나기 좋은 ‘파주’ 한줄총평 -> 온 종일 보고 듣고 만지고 뛰어놀다보면 어려운 설명하나 없이도 아이들은 어느새 북한을 친숙하게 느낀다.
- 오두산통일전망대 : 선생님의 설명에 진지하게 귀를 기울이던 아이들이 너도 나도 한껏 손을 뻗어댄다. 강 건너편에 펼쳐진 북한이 ‘손에 잡힐 듯 가깝다’라는 말이 사실인지 확인해 볼 요량이다. 남한에서 출발한 한강과 북한에서 굽이굽이 이어진 임진강이 만나 오염되지 않은 자연 속에서 한 폭의 그림을 만들어내는 곳, 해발 140m의 높이에 위치한 원형전망실에 오르면 날이 좋은 날은 개성의 송학산과 여의도 63빌딩까지 두루 볼 수 있어 아이들에게 남북한이 그리 멀지않다는 걸 체험해주기에 제격이다. 주소 :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성동리 659 전화번호 : 031)945-3171 홈페이지 : http://www.jmd.co.kr
- 임진각 평화누리 공원 : 2005 세계평화축전을 계기로 3만평 규모로 조성된 평화누리는 조국분단의 아픔과 희망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는 곳으로 복합문화공간이란 타이틀에 걸맞게 문화예술프로그램과 두루나눔전통놀이체험장, 모래언덕자연놀이터 등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어 지루할 틈이 없다. 특히 또한 공원 내 임진각 전망대에서는 전쟁으로 끊겨진 철교와 전쟁당시의 폭격당한 모습 그대로 전시 중인 증기기관차 등도 관람할 수 있어, 전쟁의 심각성에 대해 되새겨 볼 수 있게 해준다. 일명 ‘바람개비 언덕’이라 불리는 ‘바람의 언덕’, ‘톨일부르기’ 등 상설 야외 전시 역시 인기 스팟이다. 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사목리 481-1 전화번호 : 031)953-4854 홈페이지 : http://peace.ggtour.or.kr/
둘! 청소년기 자녀와 여행하기 좋은 ‘거제’ 한줄총평 -> 우리나라 역사와 문학은 물론 넓게 펼쳐진 자연경관까지 경험할 수 있어 하루종일 좁은 교실에 앉아 주입식 교육에 지친 청소년기 자녀와 함께라면 이보다 더 좋은 현장체험 장소는 없다.
-거제포로수용소 : 통영과 거제도를 잇는 거제대교를 지나 사곡, 고현을 지나면 거제시청에 닿게 된다. 그리고 거제시청 측면에 보이는 거제시립도서관을 향해 조금만 더 이동하다 보면, ‘거제도포로수용소 유적공원’이 나온다. 1951년 2월에 한국전쟁의 포로들을 수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이곳은 실제로 17만3천 명의 포로가 생활했던 장소로 지난 1999년 9월 지금의 유적공원 형태로 재탄생하게 됐다. 유적공원 매표소에서 탱크전시관을 지나면 전쟁의 참혹했던 역사를 디오라마(Diorama : 3차원의 실물 또는 축소모형)형태로 정교하게 재현해 놓은 디오라마관과 전쟁의 발발과 진행과정을 볼 수 있는 6·25 역사관 등이 있다. 캠프 62OUND를 향해 난 다리를 건너면 포로생포관과 포로수송, 여자 포로관, 포로폭동 체험관, 포로 설득관, 거제도포로수용소 유적관 등이 있다. 특히 포로의 생활상이나 한국전쟁의 발발 및 전개과정이 마치 할리우드영화 세트장처럼 펼쳐져 있어 자연스럽게 안보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주소 : 경남 거제시 계룡로 61 전화번호 : 055-639-0625 홈페이지 : http://www.pow.or.kr/

거제도 맛집 TIP
봄, 거제도엔 멍게와 도다리쑥국이 별미다. 바다 특유의 향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멍게비빔밥을 추천한다. 멍게비빔밥은 멍게 그대로를 손질한 후 썰어서 밥 위에 채소, 고추장, 참기름 등과 함께 나와 싹싹 비벼먹으면 그 어느 비빔밥보다 향과 맛이 일품이다. 간혹 멍게에 양념을 버무려 숙성시킨 후 페이스트 형태로 썰어 나오는 멍게비빔밥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먹자.
한편, 이맘 때 남녘의 제철 음식은 뭐니뭐니해도 도다리쑥국이다. 봄 도다리, 가을 낙·전(낙지·전어)’이란 말이 있듯이, 도다리는 봄을 대표하는 어종으로 신선한 쑥의 향과 맑고 개운한 국물, 부드러운 도다리 속살이 기운을 절로 북돋아준다.
셋! 부모님과 함께 떠나는 안보여행 ‘고성’ 한줄총평 -> 1950년대에 멈춰진 시간, 그 속에서 많은 눈물을 묻어 둔 부모님의 사연이 훼손되지 않은 자연 속에서 더 처연하게 들린다.
- 통일전망대 : 동해안 최북단에 위치한 고성군은 철책 하나를 사이에 두고 북한과 맞닿아 있는 데다, 금강산 육로 관광의 게이트이기 때문에 ‘통일 1번지’로 불리는 고성. 그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곳은 7번 국도를 따라 한없이 올라가면 만날 수 있는 통일전망대다. 휴전선 철책과 왼편으로 보이는 351 고지 전투 격전지, 북한이 만들어 놓은 전시 마을들이 하나하나 눈에 들어오기 시작하면 망원경을 통해 봐도 감탄을 자아내게 만들던 금강산 비로봉의 절경도 금새 안타까워진다. 특히 지척의 거리에 두고도 고향땅을 밟기 요원한 실향민들의 아픔이 오롯이 전해져 온다. 또 통일전망대 주차장에 개관한 6ㆍ25전쟁체험 전시관은 영상체험실과 사진으로 보는 6ㆍ25, 전쟁체험실, 전사자유해발굴실, 6ㆍ25전쟁자료실, 유엔군참전국실 등이 있으며 6ㆍ25전쟁 중 동해안의 주요전투를 다룬 기획전시실 등에서는 6ㆍ25전쟁의 참상과 당시 상황을 사진과 영상, 자료와 유물 등을 통해 체험할 수 있다. 주소 :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 명호리 전화번호 : 033-682-0088 홈페이지 : http://www.tongiltour.co.kr/

- DMZ 박물관 : 통일전망대가 통일에 대한 열망과 이산의 아픔, 분단의 상처를 어루만져주는 곳이라면 DMZ박물관은 안보를 상징하는 곳이라 할 수 있다. 1950년 한국전쟁 발발 전후의 모습과 휴전협정으로 탄생한 휴전선의 역사적 의미, 이로 인해 나타난 동족간 이산의 아픔, 계속되는 군사적 충돌, 60년간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아 원형 그대로 보존된 생태환경 등을 보여주는 전시물과 영상물 등을 볼 수 있다. 특히 3층에는 ‘평화의 나무가 자라는 DMZ를 주제로 방문객이 직접 통일을 염원하는 메시지를 적어 평화나무에 걸 수 있도록 했다. 주소 :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 통일전망대 전화번호 : 033-680-8463 홈페이지 : http://www.dmzmuseum.com/museum/kor/
호국보훈 여행! 이제 지하철로 편하게 떠나보자! 의미 있는 여행도 좋지만 도로 위 정체를 떠올리면 한숨부터 나온다. 더욱이 아이들과 함께 떠나는 여행이라 걱정이 많다면 지하철을 이용해보는 것도 좋을 것 이다. 전쟁기념관과 국립중앙박물관이 위치한 용산은 지하철 4호선으로, 대한민국의 근현대사를 만날 볼 수 있는 인천은 국철인 1호선을 이용하면 손쉽게 닿을 수 있다.
자연을 품은 역사탐방 : 용산
전쟁기념관 예전 육군본부 자리에 위치한 전쟁기념관은 단일기념관으로는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곳이다. 특히 6.25전쟁을 비롯해 삼국시대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전쟁과 군사에 관한 다양한 자료를 전시 중이라 아이들과 함께라도 지루할 틈이 없다. 또한 기념관 양측에는 한국전쟁과 월남전에 참전했던 전사자들의 명비가 있어 호국·보훈의 의미를 되새겨 볼 수 있다. 주소 : 용산구 용산동1가 8 전화번호 : 02)709-3139 지하철 : 4호선 삼각지역 1번 출구, 6호선 12번 출구 홈페이지 : www.warmemo.or.kr

용산국립중앙박물관 경복궁에서 용산구 용산가족공원 내의 새로운 건물로 둥지를 옮긴 용산국립중앙박물관은 13만 5000여 점의 소장유물을 갖춘 상실전시관을 비롯해 다양한 주제의 특별전시, 야외전시, 어린이박물관 등으로 운영 중인 멀티문화공간이다. 특히 유로 특별 기획전을 제외한 모든 전시관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며, 가족단위 관람객을 배려한 다양한 이벤트와 공원에 인접한 공간적 이점으로 휴일 소풍을 겸한 나들이 장소로 제격이다. 단 매주 월요일은 휴관일이다. 주소 : 용산구 서빙고로 137 전화번호 : 02)2077-9000 지하철 : 2호선 이촌역 2번 출구 홈페이지 : www.museum.go.kr
근현대사의 발자취를 따라서 : 인천 ‘항구의 도시’ 인천은 사실 도시 곳곳에 근현대사의 흔적을 품고 있는 역사의 도시이다. 국내 최초의 서구공원인 자유공원은 한국전쟁 당시 큰 활약을 펼친 맥아더장군의 동상과 함께 한미수호동상조약체결 100주년을 기념해 세워진 한미수교 100주년 기념탑이 있어 가볼 만하다. 주소 : 인천광역시 중구 송학동 1가 11번지전화번호 : 032)761-4774 지하철 : 지하철 1호선 1번 출구
인천 역사문화 추천여행지 인천역 -> 차이나타운 제1패루 ->(구)공화춘 ->한미수교100주년 기념탑 -> 맥아더 동상(자유공원) ->홍예문 ->중구청(구인천부청사) ->(구)일본제1은행 ->제18은행 ->제50은행 ->청일 조계지 경계단 ->한중문화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