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 박물관
충주를 중심으로 한 중원지방은 찬란했던 삼국시대의 문화를 혼유하고 있는 곳으로 독특한 문화권을 형성하고 있어 많은 문화유적과 유물이 있다.
70년대 이후 충주를 중심으로 한 중원지역에서는 문화유적에 대한 조사와 발굴이 매우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특히 충주댐 수몰 지역에 대한 발굴조사가 대대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이 과정에서 의외로 많은 문화유적과 유물이 산재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80년대에 접어들면서도 각종문화유적이 발굴되고 문화재가 발견되자 자긍심을 가진 지역 주민들 중에 유적지를 찾아 조사활동을 벌이거나 답사하는 동호인 모임이 생겨났다. 그 중에 예성(蘂城)동호회라는 향토사연구 모임을 중심으로 충주에도 중원문화권의 유물을 전시할 박물관이 설립되어야 한다는 여론이 일기 시작하면서 4년여에 이르는 준비기간을 거쳐, 86년 중원문화유물전시관이 발족되었고, 4년 뒤인 90년 11월 충주박물관으로 정식 등록되었다.
한편 1995년 중원군이 충주시와 통합되면서 충주박물관(제1관)과 중원향토민속자료전시관(제2관)이 충주박물관으로 통합되어 현재는 시립박물관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충주 박물관 입구

충주 박물관 야외 전시실

용관동 삼층석탑

전 유학사지 석불좌상

율릉리 석불입상

신만리 부도

전 유학사지 삼층석탑

내사리 부도

성불사 석불좌상

충주 박물관 야외 석물 전시장
중원 탑평리 칠층석탑
국보 제6호
남한강의 아름다운 경관과 잘 어우러져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으로, 당시에 세워진 석탑 중 가장 규모가 크다. 우리나라의 중앙부에 위치한다고 해서 중앙탑(中央塔)이라고도 부르는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7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높은 탑신을 받치기 위해 넓게 시작되는 기단은 각 면마다 여러 개의 기둥 모양을 새겨 놓았고, 탑신부의 각 층 몸돌 역시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몸돌을 덮고 있는 지붕돌은 네 귀퉁이 끝이 경쾌하게 치켜올려 있어 자칫 무겁게 보일 수 있는 탑에 활기를 주고 있으며, 밑면에는 5단씩의 받침을 새겨 놓았다. 탑 정상의 머리장식은 보통 하나의 받침돌 위에 머리장식이 얹어지는 신라 석탑의 전형적인 양식에서 벗어나, 이중으로 포개어진 똑같은 모양의 받침돌이 머리장식을 받쳐주고 있다.
기단에서의 기둥조각 배치, 탑신의 몸돌과 지붕돌의 짜임수법으로 보아 통일신라 후기인 8세기 후반에 세웠을 것으로 추측된다. 전체적으로 규모가 커서 웅장하기는 하나 너비에 비해 지나치게 높은 듯 하여 안정감은 덜하며, 세부수법이 약화되고 섬약해져 있어 당시의 경향이 그대로 나타나 있다.
1917년 탑을 보수할 때 6층 몸돌과 기단 밑에서 사리장치와 유물이 발견되었는데, 특히 6층 몸돌에서 발견된 거울이 고려시대의 것으로 밝혀져 탑 조성 이후 고려시대에 와서 2차 봉안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충주 중앙탑

중앙탑

중앙탑

중앙탑 주변 공원

중앙탑앞 남한강

중앙탑

중앙탑앞 공원

중앙탑
중원 탑평리 칠층석탑 찾아가는 길
경부고속도로 신갈 분기점에서 영동고속도로로 진입하여 다시 호법 분기점에서 중부고속도로를 달리다가 일죽 IC를 벗어나 좌회전하여 38번 국도로 40km 쯤 달리면 장호원과 양성을 지나 가흥 삼거리에 닿는다. 여기서 우측 599번 지방도로 5.5km로 내려간 뒤 중앙탑 푯말을 따라 좌측으로 2km 들어가면 중앙탑 주차장에 닫게 된다
첫댓글 아이들 교육차원에서 예전에 가족과 함께 중원문화권을 두루 돌아보았던 기억이 나네요. 역사적으로는 인근에 있는 고구려비가 더 유명하지요. 석종사, 월악산과 수안보, 탄금대 등을 묶어 충주 일대를 여행해 보는 것도 괜챦을 듯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