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발나물은 9월상순에 파종하고 파종량은 10a당 3kg으로 할때 생산량 증가와 경제성면에서 유리함 - 10월상순 파종시 보다 총생산량이 32% 증가 - 9월 중하순 파종과는 총생산량은 비슷하나 단경기 생산량 6% 증가 |
□ 세부연구결과
1. 세발나물 출하가격은 12월하순~ 3월 상순경이 가격형성이 높게나타남
가. 세발나물 가격 및 출하동향
(1) 가격동향
○ 세발나물의 가격형성은 12월하순~3월중순 가격이 높게 형성되고 노지 생산이 되는 10월하순~11월, 3월하순~5월상순은 가격이 하락하는 추세임.
표1. 세발나물 월별 가격동향(2009, 2010년 해남 월평균 출하가격)
(단위: 원/4kg)
구분 | 10월 | 11월 | 12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2009 | 7,505 | 5,677 | 9,316 | 13,143 | 10,958 | 11,916 | 5,800 | 6,150 |
2010 | 7,370 | 6,984 | 9,492 | 13,993 | 12,881 | 10,206 | 6,747 | 4,469 |
나. 세발나물 출하량과 가격형성
○ 가격형성은 출하량에 비례하여 급격한 변화로 출하량이 적은 12월하순~ 3월중순 가격이 높게 나타남
2. 세발나물의 채종 및 종자정선 방법
가. 세발나물 채종 및 종자정선
○ 정선방법
- 만개 후 20일경(6.10경) 예취 → 온실건조 5일 → 탈립 후 1mm체 이용 2회 정선, 정선된 종자량은 ㎡당 48.7g
나. 적정 채종포 면적분석
○ 10a당 3kg 파종 기준시 희망 재배면적의 6.2%소요
- 1,000㎡ 재배 희망시 62㎡ 채종포 소요됨
3. 파종 시기별 발아시는 파종기가 이를수록 늦어지고 발아시로 부터 발아 성기는 상호 비슷한 양상
가. 파종시기별 발아 특성
(1) 발아시(10%발아)
○ 파종시기별 발아시를보면 파종기가 이를수록 늦어지는 것으로 나타남
표2. 파종시기별 발아시
파종시기(파종일) | 1차(9. 9) | 2차(9. 23) | 3차(10. 7) |
발아시(10%발아) | 9월 25일 | 9월 30일 | 10월 11일 |
발아시 소요일수 | 16일a | 7일b | 4일c |
(2) 발아성기(90%이상발아)
○ 발아성기는 1차 파종과 2차 파종간에는 5일, 1, 2차 파종과 3차 파종간에 4일정도 차이가 났는데 수확기도 비슷한 양상을 보임
표3. 세발나물 파종 시기별 발아성기
파종시기 | 1차(9. 9) | 2차(9. 23) | 3차(10. 7) |
발아시(10%발아) | 9월 25일 | 9월 30일 | 10월 11일 |
발아성기(90%발아) | 9월 30일 | 10월 5일 | 10월 15일 |
발아시~발아성기 소요일수 | 5일a | 5일a | 4일b |
4. 파종으로부터 1차 수확까지의 소요기간은 파종기가 늦을수록 수확 소요 기간이 빨랐음
가. 파종~1차수확 소요기간
○ 파종일자 기준으로 보면 파종기가 늦을 수록 수확소요 기간이 짧았으나 발아시와 발아성기를 기준으로 보면 소요기간은 비슷한 양상을 보임
표 4. 파종 ~ 1회 수확까지 소요일수 조사
파종시기 | 1차(9. 9) | 2차(9. 23) | 3차(10. 7) |
1회 수확시기 | 10월 28일 | 11월 2일 | 11월 11일 |
발아시 ~ 1회 수확소요 기간 | 34일a | 34일a | 32일b |
발아성기 ~ 1회 수확소요 기간 | 29일a | 29일a | 28일b |
파종 ~ 1회 수확소요기간 | 50일a | 41일b | 36일c |
5. 파종시기별 수확량은 1, 2차 파종구는 5회, 3차 파종구는 4회 수확
가. 세발나물 수확기 판단은 육안으로 보아 초장 11 ~ 15㎝정도 자랐을 때를 기준으로 수확시기를 정하였으며 기비 N12 - P11 - K17, 추비 N 10.8,-K10.8로 수확직후 매1회로 했을시 파종 시기별 1회 수확량은 차이는 있으나 2㎏ 내외임
나. 단경기 생산은 1, 2차 파종구가 각 2회, 3차 파종구는 1회 수확이 가능했으며
가격형성은 9월상순 파종한 1차 파종구(12월, 2월수확)가 2차 파종구(12월, 3월수확)보다 유리함
표 5. 파종 시기별 수확일
구 분(파종일) | 1차(9. 9) | 2차(9. 23) | 3차(10. 7) |
1회 수확 | 10월 28일 | 11월 2일 | 11월 11일 |
2회 수확 | 12월 9일 | 12월 16일 | 1월 18일 |
3회 수확 | 2월 22일 | 3월 4일 | 3월 26일 |
4회 수확 | 4월 1일 | 4월 5일 | 4월 23일 |
5회 수확 | 4월 27일 | 4월 27일 | - |
6. 생육기간이 저온인 겨울철에는 생육속도가 아주 늦음
○ 수확 소요기간은 봄철 최저 22일 소요되었으나 겨울철에는 최고 78일 소요
표 6. 파종시기별 수확기까지 생육기간
수확횟수 | 수확기 생육기간 기준 | 1차(9.9) | 2차(9.23) | 3차(10.7) |
1회 수확 | 파종 ~ 1회 수확까지 소요기간 | 50일a | 41일b | 36일c |
2회 수확 | 1회 수확 후 ~ 2회 수확까지 소요기간 | 42일c | 44일b | 68일a |
3회 수확 | 2회 수확 후 ~ 3회 수확까지 소요기간 | 75일b | 78일a | 77일a |
4회 수확 | 3회 수확 후 ~ 4회 수확까지 소요기간 | 38일a | 32일b | 28일c |
5회 수확 | 4회 수확 후 5회 수확까지 소요기간 | 26일a | 22일b | - |
7. 경제성을 고려한 적정 파종시기는 9월상순 파종시 유리함
○ 적정 파종시기는 수확량만을 고려 했을때는 9월 23일 파종한 2차 파종구가 수확량이 1차 파종구보다 약간 많았으나 유의수준 이내로 단경기 생산량과 가격형성 등을 고려 한다면 9월 9일 파종한 1차 파종구가 단경기 생산량이 많고 경제성면에서는 가장 유리함
표 7. 세발나물 파종시기별 수확량
구 분(파종일) | 수확량 (㎏/㎡) | |||||
계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
1차 파종구(9.9) | 9.98a | 1.79a | (2.19)a | (1.95)b | 2.30b | 1.75b |
2차 파종구(9.23) | 10.22a | 1.78a | (2.06)b | (1.91)c | 2.53a | 1.94a |
3차 파종구(10.7) | 7.86b | 1.73b | (1.98)c | 2.20a | 1.95c | - |
※( )는 12월~3월10월 생산량
8. 세발나물 재배시 파종량은 3kg/10a을 파종하는 것이 생육이 고르고 증수
가. 파종량
(1) 본 연구는 정선을 한 종자를 이용하여 적정 파종량을 구명하고자 실시, 이를 위하여 전년도 생육상태가 후기까지 양호하였던 재배포장 소유의 농가 파종량을 조사 후 기비 N12-P11-K17, 추비 N 10.8-K10.8kg으로 수확 직후 매1회, 종자량은 3g/㎡을 기준으로 대조구, 배량구, 반량구 등 3개 처리
(2) 시험결과
○ 반량구 : 종자 파종량은 1.5g/㎡을 기준으로 파종
- 수확횟수가 많아 질수록 회당 수확량이 증가하는 경향
표8. 세발나물 반량구 생육조사
구 분 | 수확일시 | 수확시 생육상황 | 수확량 (㎏/㎡) | |
초장(㎝) | 분지수 | |||
계 | 5회 | 14.50 | 5.07 | 7.99 |
1회 수확 | 11. 2 | 10.22 | - | 0.79 |
2회 수확 | 12. 16 | 11.50 | 4.67 | 1.69 |
3회 수확 | 3. 4 | 17.42 | 3.17 | 1.65 |
4회 수확 | 4. 5 | 17.70 | 6.12 | 1.81 |
5회 수확 | 4. 27 | 15.67 | 6.33 | 2.05 |
○ 대조구 : 종자 파종량을 3g/㎡
- 초기 1회와 5회를 제외하고 수확량이 대체로 고르게 나타남
표9. 세발나물 대조구 생육조사
구 분 | 수확일시 | 수확시 생육상황 | 수확량 (㎏/㎡) | |
초장(㎝) | 분지수 | |||
계 | 5회 | 15.18 | 4.48 | 9.94 |
1회 수확 | 11. 2 | 11.94 | - | 1.19 |
2회 수확 | 12. 16 | 13.28 | 2.92 | 2.14 |
3회 수확 | 3. 4 | 14.67 | 3.83 | 2.14 |
4회 수확 | 4. 5 | 19.17 | 5.33 | 2.53 |
5회 수확 | 4. 27 | 16.83 | 5.83 | 1.94 |
○ 배량구 : 종자 파종량은 6g/㎡
- 최초 수확량은 제일 좋았으나, 수확 횟수가 진행 될수록 반량구나 대조구에 비해 수확량 감소
표 10. 세발나물 배량구 생육조사
구 분 | 수확일시 | 수확시 생육상황 | 수확량 (㎏/㎡) | |
초장(㎝) | 분지수 | |||
계 | 5회 | 12.53 | 3.67 | 8.64 |
1회 수확 | 11. 2 | 11.52 | - | 1.29 |
2회 수확 | 12. 16 | 9.77 | 3.00 | 1.74 |
3회 수확 | 3. 4 | 13.63 | 3.33 | 1.89 |
4회 수확 | 4. 5 | 13.33 | 3.83 | 1.76 |
5회 수확 | 4. 27 | 14.42 | 4.50 | 1.96 |
○ 세발나물 적정 파종량
- 세발나물 적정 파종량은 반량구, 대조구, 배량구중 생육과 생산 수확량을 고려할 때 대조구가 반량구나 배량구에 비해 생육상태가 좋았고 수확량이 많아 세발나물 재배시 파종량은 3kg/10a을 파종하는 것이 유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