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곳 산단 완전 포화…미분양률 10.3% 석문산단 등 75만평 전부
기업 유치해도 산단없어 걱정…현재 시작해도 최소 45~69개월 소요
소모 논쟁 불식, 신속한 의사 결정의 상설 민관정 시민대책위 설치 절실
당진시 산업단지 현황도(주황색 표시 4곳은 민선8기 당진시장 공약기준 민자 산업단지 예정지). 당진시 제공
당진시가 신규 산업단지 조성에 비상이 걸렸다.
서해안 개발의 중핵 지역인 당진이 앞으로 기업을 유치해도 입주할 산단이 없기 때문이다.
특히, 산단 개발에 최소 4~5년이 소요되는 걸 감안할 때 관내 15곳 산단 중 14개가 완판되고, 잔여분이 석문산단 229만여㎡(69만평)만 남아 신규 산업단지 조성이 시급하다.
석문산단 잔여분도 자동차, 비금속 등 업종으로 제한돼 당분간 개별입지에 의존해야 할 형편에 놓였다.
따라서 산단 조성에 대해 소모적 논쟁 불식과 신속한 의사결정을 위한 (가칭)향토기업 육성추진위원회 등 상설 민·관·정 시민 대책기구 설치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입주할 산단 부족
실제로 당진시는 지난해 충남도 기업 투자유치 총액 3조원 가운데 절반인 1조5000억원을 유치했고, 올해 목표 3조원도 상반기 중 이미 초과 달성해 앞으로 기업을 유치해도 입주할 산단이 부족한 기현상이 빚어지고 있다.
이에 오성환 시장과 당진시 관계자들이 지속적인 산단 유치 활동을 전개한 결과 우선 지난달 SK에코플랜트와 오는 2027년까지 민간자본 9,155억 7600만원을 투입해 약 100만평의 산업·주거·물류 복합산업단지를 조성하는 합덕순성 그린컴플렉스 산단 조성협약을 체결했다.
이 산단은 지금부터 시작해도 ▲SPC법인 설립(12개월) ▲기본구상 및 산업단지 지정계획 반영(6개월) ▲산업단지계획 승인신청(환경영향평가 착수 등 6개월) ▲산업단지계획 심의 및 승인 고시(분양 등 12개월) ▲사업착수 및 준공(24개월) 등 최소한 45~69개월이 소요된다.
■상설 민관정 시민대책기구 설치를
따라서 산업단지 부족으로 기업 투자유치에 차질을 빚지 않기 위해서는 지자체와 의회의 출자, 조례 제정, 동의 등의 절차를 서둘러야 하고 각종 타당성 조사, 지정계획 반영·승인·수립과 환경영향평가 등에 대해 행안부, 국토부, 충남도 등 상급 기관의 협의와 검토 기간 축소 등 특단의 대책이 절실한 입장에 놓였다.
하지만, 최근 환경 관련 시민단체가 산업폐기물 시설에 대한 우려와 함께 민자 산단 추진 중단 요구의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에 해당 지역은 물론 다수 시민들은 절박한 상황에서 산단 개발에 동참하진 못할망정 부정적인 사고와 반대를 위한 반대로 찬물을 끼얹었다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특히 고금리 등 세계적 경기침체기에도 불구하고 어려운 투자 결정을 내린 민자 산단 개발사업자의 투심(?)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을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신완순 당진시개발위원회 사무국장은 “그동안 분양에만 급급한 근시안적 행정으로 장기 산업용지 공급계획이 전혀 수립되지 않았다”며 “앞으로 지속적인 기업 투자유치를 위한 신규 산단 조성에 딴지를 걸기보다는 입지 단계부터 본사 이전, 각종 인센티브 제공, 이주민 포용 시민 의식개혁 운동 등을 총괄하는 상설 민·관·정 시민 대책기구 설치를 서둘러 지방재정과 인구 확충을 도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충남도내 아산(16), 천안(15), 공주(9), 서산(6), 보령(5), 예산( 4) 등 인근 시군에서는 현재 4~16개씩 국가, 일반, 도시첨단산업단지, 농공단지 등을 한창 개발 중이거나 지정계획을 수립한 반면 당진시는 아직 신규 산업단지 조성계획이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당진지역에는 석문·고대·부곡 등 국가산업단지 3곳 1,262만 6,202㎡(321개)를 비롯해 송산2, 합덕인더스, 현대제철, 당진1철강, 합덕일반 등 일반산업단지 5곳 1,112만 8,035㎡(119개), 농공단지 7곳 75만 7,035㎡(95개) 등 총 15개 산단 2,451만 1,272㎡가 개발돼 지난 5월말 현재 89.7%인 2,198만 6,611㎡(총 535개 기업체)가 분양됐고 이와는 별도로 780개의 개별기업이 878만 5,993㎡에 입주한 것으로 알려졌다.
자료원:당진투데이 2023. 7.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