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큐인사이트 하이라이트]
학문과 인생의 정점에 선 일흔둘 노학자의 뜨거운 사랑이 담겨 있는 인생정원
사계를 만나본다 (KBS 20221229 방송)
맑은 사람들을 위하여 爲如白
후학을 위하여 爲後學
시를 위하여 爲詩
“인생정원 - 일흔둘, 여백의 뜰” (2022년 12월 29일 방송)
▶ 땅 위에 쓰는 시, 찬란했던 여백의 1년 경기도 여주에 자리한 여백서원. 맑고 흰 빛이라는 뜻의 이곳은 꽃들의 정원이자, 나무의 고아원이다. 버려지고 못 자라는 나무들을 옮겨 심어왔다는 뜰에는, 수십 종의 맑은 꽃들도 피고 진다. 1만 제곱미터에 달하는 뜰을 돌보는 건 순전히 일흔두 살 전영애 씨의 몫이다. 그래서 자칭 ‘3인분 노비’다. 글을 쓰다 머리가 아프면 무조건 정원으로 나간다는 그녀. 정원 일을 하다 보면 잡념은 사라지고, 땅 위에 몸으로 시를 쓰는 것처럼 벅찬 희열이 차오른다. 그녀가 땀과 세월로 가꿔온 여백의 뜰의 아름다운 1년을 영상에 담았다.
▶ 삽자루와 장화 그리고 펜과 책 삽자루와 장화, 후줄근한 티셔츠. 평소 그녀의 복장은 영락없는 일꾼이다. 홀로 정원을 가꾸느라 거칠어진 손은 차라리 연장에 가깝다. 그러다 밤이 되면 삽자루 대신 펜을 쥐는 그녀. 수만 권의 장서가 보관된 서원 한 구석에서 밤새 책을 읽고, 번역하며, 글을 쓴다. 사실, 그녀는 서울대 독어독문학과 교수였으며, 세계적인 괴테 연구가이자, 파우스트, 데미안 등을 번역한 이름난 번역가이다. 정원에서는 3인분 노비처럼, 책상 앞에서는 수험생처럼 시간을 부지런히 경작하는 일흔둘의 전영애 교수. 무엇이 그녀를 이토록 뜨겁게 움직이게 하는 걸까.
▶ 세상 빚을 갚아나가는 마지막 여정 그녀는 여백의 뜰과 서원을 일반인들에게 내어주고, 공유한다. 누구라도 뜰을 거닐며 잠시 쉬어갈 수 있고, 서원에서 책을 읽으며 나를 돌아볼 수 있게 했다. 이유는 단순하다. 어릴 적 그의 부모에게 받은 극진한 사랑 때문이다. 세상 풍파에 흔들릴 때마다 그녀를 붙들어준 건 몸이 기억하는 그 사랑이었다. 괴테의 [파우스트]에도 ‘사람을 마지막 실족에서 물러서게 하는 것은 사랑’이라 했다. 그녀가 여백의 뜰과 서원을 애써 가꾸고, 어린아이와 학생, 청장년 모두와 공유하는 건 그러한 사랑을 나누고, 전하고 싶었던 까닭이다. 당신만의 방식으로 사랑을 전하며 힘껏 박수치고 응원하는 그녀. 퍽퍽한 가슴에 여백을 내려는 것이다.
▶ 일흔둘 노학자가 전하는 인생잠언 본 프로그램은 올해 2월 말부터 12월까지 촬영됐다. 여백서원의 뜰을 오갔던 그 1년은, 학자로 50년을 살아온 전영애 교수의 방대한 지식과 정원 일을 통해 쌓아온 인생의 지혜를 엿볼 수 있었던 시간이었다. 영상에 담아낸 여백처럼 맑고 순수한 성정을 지닌 그녀의 삶과 사유를 통해 잠시나마 인생에서 가장 소중한 것들의 의미를 한 번쯤 되돌아볼 수 있기를 바란다.
#정원 #사계 #인생지혜
※ 더 많은 [다큐 인사이트] 인기영상 보기
[하이라이트] 너의 장례식을 응원해 https://youtu.be/TWnSj3DnjOc
[하이라이트] 누구에게나 청춘은 있다 1부 아임뚜렛 https://youtu.be/jgIULQ37Dp4
[풀버전] 이건희, 거인의 유산 https://youtu.be/tTZoKS424PA
[풀버전] 오사카 하류인생 https://youtu.be/viUZw1ka32s
[풀버전] 기습 1부 ‘스파이크 공격’ https://youtu.be/lz6l2Hh0d90
[풀버전] 기습 2부 ‘면역의 반격’ https://youtu.be/6TFrhxhFLno
[풀버전] 바이러스 전쟁 1부 - 바이러스 X https://youtu.be/nynh-vTwsNo
[풀버전] 바이러스 전쟁 2부 - 대봉쇄 https://youtu.be/m05jyIFwVfw
석별가(惜別歌)
- 작사 : 김한섭의 어머니, 전영애(전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의 조모
가사 '석별가' 전문 현대어 풀이
가사 '석별가'
석별가 - 내방가사(잡스 국어/고전문학)
석별가(惜別歌)
요점 정리
연대 : 미상
작자 : 미상
형식 : 2음보 1구로 총 217구의 4·4조가 주류인 규방가사
주제 : 신행(新行)날을 잡아놓은 신부가 친구들에게 신행풍속을 읊은 노래
내용 연구
新行 : 婚行과 같음. 婚姻때 新郞이 新婦 집에 혹은 新婦가 新郞 집에 가는 것
生離別 : (血肉이나 夫婦끼리) 살아서 離別함. 또는 그런 離別. 산이별
定省 : "婚定晨省"의 준말. (저녁에 이부자리를 보고 아침에 자리를 돌아본다는 뜻으로) 자식이 아침 저녁으로 父母의 安否를 물어서 살핌을 이름.
禮記 : 五經의 하나. 禮法의 理論과 실제를 풀이한 책. 孔子와 그 후학들의 저작을 漢의 제후인 獻王이 131편으로 정리하여 엮은 것을 뒷날 劉向과 戴德, 戴聖의 형제들이 잇따라 증보하거나 간추린 것으로 전함.
이해와 감상
혼일식을 올린 뒤 친가에 머물다가 시댁으로 아주 살러갈 신행날을 잡아놓은 신부가 친구들에게 신행풍속을 읊은 노래이다. 여자들은 남자들과 달리 여러 가지 자질한 일들로 골몰하여 즐거운 명절도 바삐 지내고 신행일이 되면 할 일도 많아서 시댁 어른들의 의복만들기 등 어려운 일을 하기도 한다. 또한 친구들과 이별놀이를 하기도 하고 친가를 떠날 때에는 가족들의 훈계와 위로와 작별인사를 나누는 내용을 노래하고 있다. 이본에 따라서는 뒤에 시집살이 잘 하라는 소녀들의 답가가 이어지기도 한다.
심화 자료
석별가
작자·연대 미상의 규방가사. 2음보 1구로 헤아려 총 217구이며 4·4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혼인식을 올린 뒤 친가에 머물다가 시댁으로 아주 살러갈 신행(新行)날을 잡아놓은 신부가 친구들에게 신행풍속을 읊은 노래이다.
여자들은 남자들과 달리 여러가지 자잘한 일들로 골몰하여 즐거운 명절도 바삐 지내고 신행일이 되면 할 일도 많아서 시댁 어른들의 의복만들기 등 어려운 일을 하기도 한다.
또한 친구들과 이별놀이를 하기도 하고 친가를 떠날 때에는 가족들의 훈계와 위로와 작별 인사를 나누는 내용을 노래하고 있다. 이본에 따라서는 뒤에 시집살이 잘 하라는 소녀들의 답가가 이어지기도 한다.
≪참고문헌≫ 朝鮮民謠集成(金思燁 外, 正音社, 1948), 註解歌辭文學全集(金聖培 外, 精硏社, 1961).(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www.seelotus.com/gojeon/gojeon/ga-sa/seok-byeol-ga.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