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불사(石佛寺) - 전통사찰 제60호
- 경남 창녕군 창녕읍 말흘리
창건에 대한 기록은 없다.
60여 년 전 노천에 있던 석불을 이곳에 전각을 지어 안치, 사명을 석불사라 이름을 지었다.
읍내에 있는 절이지만 조용하다. 평일 오후라 그런가 모르겠다.
살림을 사는 집이 있지만 인기척이 없다.
석조 보살입상 /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0호
광배와 불상이 일체형이다. 고려 초기 작품으로 추정한다.
화왕산 창화사 - 전통사찰이 아님.
창녕 송현동 고분군 입구에 사찰이 있다.
사찰에서 고분군을 볼 수 있으며 창녕읍내를 내려다 볼 수 있어 좋다.
송현동 고분군
창화사에서 본 창녕읍내 전경
창녕 송현동 마애여래좌상 / 보물 제75호
창화사에서 나와 조금 걸으면 마애불을 만날 수 있다. 고분군 한 바퀴 도는 것도 좋다.
머리카락이 없으며 육계가 얹어져 있다. 석굴암 불상의 모양을 따랐으나 옷주름이 사실적이지 않다.
불교의 힘이 약해지든 통일신라 후기의 작품으로 보여진다. (안내판 내용 요약)
창녕포교당 - 전통사찰 제42호
- 경남 창녕군 창녕읍 말흘리
1900년 대 초 창녕의 토호가 절을 지어 운영, 현재는 통도사 창녕 포교당이다.
해가 진후 늦은 시각에 절에 들어갔으나 제지하는 분은 없다. 읍내 포교당이다.
적멸보궁, 진신사리를 모셨을까?
금강계단, 통도사의 금강계단과 모양이 똑같다. 진신사리를 봉안한 모양이다. 전각 이름이 적멸보궁인 이유다.
목조 석가여래좌상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374호
창녕 관룡사에 있던 삼존상 중 하나, 한국전쟁 이후에 이 불상 하나만 창녕 포교당에 있게 되었다.
1730년 경 제작된 불상이다.
화왕산 도성암 - 전통사찰 제43호
- 경남 창녕군 창녕읍 송현리
810년(헌덕왕 2) 신라 고승 지월이 건립하였다. 임진왜란 때 소실, 1704년(숙종 30) 뇌우로 파괴되었다.
신라 고승 지월이 건립하였다고 하나 정확한 기록은 아니다. 건립 이후의 연혁도 알 수가 없다.
화왕산의 등산로 입구에 사찰이 있으며 이 골짜기의 이름이 '자하곡'이다.
글을 쓰기 위해 검색을 하니 2003년 태풍으로 가슴 아픈 일이 있었던 곳이다.
2003년 9월 당시 한반도를 할퀴고 간 태풍 매미는 수많은 인명, 재산 피해와 함께 우리들의 가슴에도 치유하기 어려운 상처를 안겨주고 떠났다. 더구나 수해와 산사태, 강풍으로 인한 각 사찰의 피해도 커 불교계가 합심해 복구에 박차를 가하는 결집된
힘을 보이기도 했다. 당시 창녕 화왕산의 도성암은 재산피해와 더불어 흙더미가 요사채를 덮쳐 인명 사망피해까지 생겨 불자들의 안타까움을 자아내기도 했다. 불자들을 더욱 안타깝게 만든 것은 대구지하철 참사 사고로 읽은 두 딸의 명복을 빌기 위해 도성암을 찾은 어머니가 산사태로 목숨을 잃게 된 사연이었기 때문이었다.
태풍이 지나가고 한동안 도성암은 피해 복구가 어려울 정도로 매우 험한 상황이었으나 태풍에 대비한 수로를 건설하고 새로운 전각을 세워 신라고찰 도성암을 다시 일으켜 세웠다.
(다음 - 대한민국구석구석 발췌, 인용)
자하곡 입구 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화왕산 산행을 하면 좋겠다.
아이들 어렸을 때 가족 모두 화왕산 산행을 하였다. 좌로 올라 우로 내려오는 원점회귀 산행이었다.
날씨가 맑지 않아 산행은 접었다. 도성암 가까이 승용차로 올랐다.
도성암, 대구 비슬산 도성암보다 규모가 크다.
도성암에서 보는 화왕산 경치는 보기가 좋다. 맑은 날이었으면 더 좋았을 텐데.... .
일주문 - 조계문
보제루
보제루 아래에서 본 대웅전과 약사전
약사전
대웅전
요사채
삼성각
검은 고양이가 졸졸 따라 다닌다. 줄 게 없어서 미안했다.
대웅전 내부
석조 아미타여래좌상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37호
양쪽 협시보살은 1991년 대웅전 신축을 하면서 만든 것이다.
아미타불과 대웅전, 대웅전의 본존불은 석가불이지만 그런 것을 따질 까닭은 없다.
석가불이 아미타불이며 미륵불이고 비로자나불이다. 또한 내 마음에도 부처가 있으나 나는 아직 미명의 존재이다.
이 불상은 계주가 이중으로 되어 있고 나발이 촘촘하며, 몸에 비해 머리가 크지만 대체로 균형감이 좋다.
머리를 앞으로 숙인 점, 손의 표현 등이 조선 후기 형식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17세기 경 제작) /안내판 내용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