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연구사 공채 시험과목, 응시자격 알아보기
농업연구사는 7급공무원으로,
농업분야 전공자 또는 현업자 분들이
관심을 갖고 준비하는 직렬인데요.
오늘 농업연구사 공채의 전반적인 준비사항
알아보려고하니 수험계획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농업연구사란?
농업발전을 위해 각종 농산물의 품종개발과
재배기술의 향상을 도모하고,
친환경, 바이오에 관련된 기술개발업무를
담당하는 농업분야의 특화된 공무원입니다.

2) 농업연구사 응시자격은?
<공채 응시자격>
농업연구사는 7급공무원이기 때문에
만 20세이상이여야 응시가능하며
공채의 경우 학력이나 경력에 따른 제한이 없습니다.
하지만 지자체별 거주지제한이 있으니
채용을 진행하는 지역에 응시가 가능한지 꼭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3) 농업연구사 근무지는?
농업연구사는 국가직, 지방직, 지자체별에 따라
근무지가 달라지게 됩니다.
국가직: 농촌진흥청 산하 농업과학기술원 또는 시험장에서 근무
지방직: 의각 도 농업기술원, 농업기술원 산하 시험장에서 근무
지차제별모집: 지자체의 농업기술센터에서 근무

4) 농업연구사의 공채 시험과목은?
농업연구사 공채는 총 7과목을 준비해야하며
공통과목은 국어, 영어, 한국사로 같으나
각 직류별로 전공과목이 상이하니
지원하고자하는 직률의 시험과목을 체크하셔야 합니다.
작물: 국어, 영어, 한국사, 생물학개론, 재배학, 실험통계학, 작물생리학
농업환경: 국어, 영어, 한국사, 생물학개론, 토양학, 농업환경화학, 실험통계학
작물보호: 국어, 영어, 한국사, 생물학개론, 재배학, 작물보호학, 실험통계학
농업경영: 국어, 영어, 한국사, 농업경제학, 농업경영학, 농산물가격론, 농업정책학
원예: 국어, 영어, 한국사, 생물학개론, 가축사양학, 가축번식학, 가축육종학
농공: 국어, 영어, 한국사, 물리학개론, 농업기계학, 농업시설공학, 유체역학
농심품개발: 국어, 영어, 한국사, 식품영양학, 식품위생학, 식품가공학, 실험통계학

5) 농업연구사 결쟁률 알아보기
2015년 올해 농촌진흥청의 연구사 공채를 통한
경쟁률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총 25명 모집에 신청자가 1,944명으로
평균 77.8:1의 경쟁률을 보였는데요.
분야별 선발인원과 경쟁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2015년 농촌진흥청 공채 분야별 경쟁률>
축산: 4명모집/지원2,194명/경쟁률 54.8:1
원예: 5명모집/지원 374명/경쟁률 74.8:1
작물보호: 3명모집/지원 192명/경쟁률 64:1
농업환경: 6명모집/지원 272명/경쟁률 45.3:1
농공: 3명모집/지원 114명/경쟁률 38:1

농업연구사는 연구직공무원으로 매년 공채와
특채선발이 진행됩니다.
특채의 경우 단 3과목만 준비하면 된다는
이점이 있지만 선발인원이 1~3명으로 적고
학력의 제한이 있어 응시가 까다로운 편입니다.
따라서 전공자분들이라면 공채와 특채를 모두
노리는 것이 빠른 합격에 도움이 될 것 같은데요.
특채의 경우 공고가 산발적으로 발표되니
꼼꼼하게 공고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지방직 7급공무원 경쟁률 확인하고 과목별 출제경향 파악(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