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램프를 안지 얼마되지 않았고, 사용도 많이 하지는 않았습니다.
제가 사용하면서, 또는 구매하면서 느끼는 점을 간략하게 말씀 드리겠습니다.
램프는 심지를 이용하여 불을 보는데, 알라딘의 특징은 파란 불꽃이 이쁘게 나온다는 특징으로 많이들 사랑받고 있는 것 같습니다.
한번 주유하면 최소 12시간 이상 연소하고 냄새가 거의 나지 않아서 집안에서도 가끔 불을 보곤 합니다.
1. 램프의 구조

주석을 임의로 달았습니다.
위 모델은 철도나 선박에서 주로 사용하던 램프 입니다.

자료출처 : http://aladdinlamps.com
알라딘램프 버너부의 구조도에 주석을 달았습니다.
알라딘램프라는 것이 심지에 불을 붙여서 불을 보는 것이라 크게 특별한 것은 없습니다.
많이 대중화되지 않아 부품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지만, 감성적인 매력은 분명히 있습니다.
2. 부품들
가. 버너(Buner)
버너의 종류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모델 1~12, 14, A, B, C, 21, 21C, 23, 23A, 23E, 32
그중에서 가장 많이 접하는 12번, B형, 23번에 대하여 알아 보겠습니다.
모델명 | 생산기간 |
Model #1 | 1908~1909 |
Model #2 | 1909~1910 |
Model #3 | 1911~1912 |
Model #4 | 1912~1913 |
Model #5 | 1913~1914 |
Model #6 | 1914~1917 |
Model #7 | 1917~1919 |
Model #8 | 1919~1920 |
Model #9 | 1920~1922 |
Model #10 | 1921~1922 |
Model #11 | 1922~1928 |
Model #12 | 1928~1935 |
Model #14 | |
Model A | 1932 |
Model B | 1933~1955 |
Model C | 1955~1963 |
Model 21 | 1955~1963 |
Model 21C | 1955~1963 |
Model 23 | 1963~현재 |
Model 23A | 1963~현재 |
Model 23E | |
Model 32 | |



12형 버너부 입니다.
핸들에 모델명이 적혀 있습니다.
예전에는 가운데에 공기 이동통로가 있었습니다.



B형 버너부 입니다.
많이 판매가 됨으로서 지금도 흔하게 보이는 모델 입니다.


가장 최근에 나온 모델로 현재도 생산이 되고 있습니다.
버너부에 따라 심지도 맞는 것으로 사용하여야 되고, 폰트도 맞는 것으로 선택을 하여야 합니다.
폰트와 결합되는 나사산이 모델별로 달라서 폰트와 버너부를 개별로 구매하시게 되면 나사산이 맞는지 잘 선택을 하셔야 합니다.
나. 침니(Chimney)와 갤러리(Gallely)
침니의 역활은 공기를 잘 빨아들이는 역활을 하고, 외부의 공기 흐름에 바람막이 역활도 합니다.
침니가 없으면 불을 볼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대류현상에 의하여 뜨거운 공기가 침니의 위로 올라가고, 버너부를 통하여 공기를 빨아들이는 역활을 합니다.
보통 12 1/2인치 높이를 많이 사용하는데, 고산지대에서는 길이가 긴 침니를 사용합니다.
모양도 여러가지이고, 크기도 다양합니다.
중요한 것은 침니를 고정하는 방법에 따라 두가지로 나뉘는데, 버너에 맞는 침니를 선택하시는 것이 중요 합니다.
<Lox-on>

버너부와 결합되는 부분이 턱이져 있어서, 끼우고 돌리면 쉽게 결합이 됩니다.
<Heel less>

버너부에 결합되는 부분이 민자의 형태 입니다.
어떤 침니를 선택하는냐는 버너부의 갤러리를 보시면 쉽게 이해가 가실 겁니다.
록스온 타입은 설치가 편하고, 힐레스 타입은 파손이 잘 안되는 것 같습니다.
<Lox on 타입의 갤러리>

<Heel less 타입의 갤러리>

어떤것이 좋다기 보다는 방법의 차이인것 같고, 제가 경험한 바로는 크게 차이점은 없는 것 같습니다.
힐레스 타입의 갤러리가 좀 이쁘죠.ㅎㅎ
다. 트라이포드 쉐이드홀더(Tripod Shade holder)




쉐이드홀더는 거치하는 방법에 따라 2가지(버너부 또는 폰트에 결합) 방법과 모양에 따라 세개의 거치대만 있는 방식이 있고, 거치대에 링을 연결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보통 10인치를 가장많이 사용하고, 8, 12, 14인치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라. 심지크리너(Wick Cleaner)

심지크리너는 심지에 묻은 이물질(카본)을 제거하고 불보기 좋은 모양으로 심지를 다듬는 역활을 합니다.
스프래더를 빼고 심지크리너를 끼운 후에 돌려주면 심지가 이쁘게 다듬어 집니다.
마. 연료통(Font)





연료통은 재질에 느낌과 무게가 다릅니다.
위에 유리 재질은 나사산이 정교하지 않아서 대부분의 버너부에 잘 맞습니다.
첫댓글 설명 감사합니다 궁금한게
많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니 기쁩니다.^^
와우~^^
수우님 알라딘 램프
자세한 설명감사드려요~
침니~가 뭔지도 솔직이 몰랐거든요~ㅎ
ㅎㅎ 저도 몰랐었어요.
다음에 사용법도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우와!~~~멋진정보입니다~~~^^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알라딘카페 가입까지 해가면서 어렵게 고학해감서 공부한 내용을 ~~~ 한방에 알기쉽게 정리해주신 좋은 자료입니다!
굿~~~~
많이 부족합니다.ㅠㅠ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수우님~~~짱^^
세로님도 짱~~!!
일목요연히군요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좋은자료이네요~학구파~^^
그냥 아는거 좀 끄적여 봤습니다.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역시 훌륭하십니다.^^
왜그러셔요...ㅎㅎ
@수우(나인수*서울홍은) 접대용 댓글이었습니다.^^
@퓨즈(안대식*서울.영등포.역곡) ㅇㅆ
역시 훌륭하십니다~^^*
마주 앉아 말씀해 주듯이 자세한 설명 감사해요
사용기도 고대해 봅니다~^^*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1.맨틀을 올렸을대
심지에 불을 붙이는 특별한 방법이나 좋은 방법은 어떤건가요?
2. 심지를 올려서 불을 붙이고 어느정도 심지를 낮추었을때 맨틀이 밝아지는데
딴 비밀이 있는건 아니겠지요?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16.03.02 17:26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16.03.02 17:34
1. 맨틀을 갤러리에 끼우고 심지를 태웁니다.
2. 갤러리를 빼고(맨틀이 끼워져 있는 상태) 심지를 올립니다.
3. 심지에 불을 붙이시고 갤러리를 끼웁니다.
4. 불이 중간 정도 밝기가 되도록 심지를 조정합니다.
5. 버너부가 가열이 되면 불이 커지므로 절대 처음부터 심지를 많이 올리고 자리를 뜨면 안됩니다. 집안이 온통 끄으름으로 가득차요.
6. 40분 정도 지나면 버너부가 예열이 되어서 정상적인 불을 보여줍니다. 이때에 심지를 조정해서 불을 최대로 맞추시면 됩니다.
7. 불을 끌때에는 심지를 최대로 내리고 1분 정도 기다립니다.
8. 불이 꺼지지 않으면 버너부에 입으로 불어서 불을 끄시면 됩니다.
@우리내(강종후*송탄) 심지를 올렸는데 불이 어두워 진다는 것은 심지를 너무 올리셔서 심지가 버너부에서 올라오는 공기를 막아서 생기는 현상 입니다.
처음에 불을 보실때에 심지를 5mm 정도만 올리고 불을 보시면 됩니다.
@수우(나인수*서울홍은) 자세한 설명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