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중소ㆍ창업기업 포스트코로나 기술개발 지원… 57억 R&D 추가투자
- 시, 코로나19로 R&D 투자 어려운 중소ㆍ벤처ㆍ창업 기업의 비대면 기술 개발 집중 지원
- 바이오, AI, 핀테크, 블록체인 4개 분야 과제당 최대 1년 이내 최대 3억~6천 만원 지원
- 기술성숙도 조건 완화(AI)해 중소기업 참여 문턱 낮추고, 보안ㆍ인증 위한 블록체인 분야 신설
- 시, 중소기업 성장 동력인 기술개발에 투자해 포스트코로나 시대 시장 선점 도울 것
코로나19 사태로 중소기업의 하반기 경영여건이 개선되기 어려운 상황.
미래 먹거리를 준비하는 R&D투자를 줄이고, 인력채용도 쉽지 않은 경영여건 속에서 기업들이 ‘죽음의 계곡’을 넘을 수 있도록 서울시가 지원 사격에 나선다.
지난 6월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연구소를 보유한 대ㆍ중견기업 55개와 중소ㆍ벤처기업 1,166개 등 1,221개를 대상으로 ‘코로나19에 따른 기업 R&D 활동 실태조사’를 한 결과, 대ㆍ중견기업은 50.9%가 R&D를 축소하고, 49.1%는 연구원 채용을 줄일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중소기업은 R&D 축소 58.4%, 연구인력 채용 축소는 51.5%로 더 좋지 않게 나타났다.
서울시와 서울산업진흥원(이하, SBA)은 서울 소재 중소ㆍ벤처ㆍ창업기업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경제질서와 산업구조의 변화에 적응하도록 하반기에 56억 7천만원의 R&D 자금을 추가 지원한다고 9월 8일(화) 밝혔다.
서울시는 ’20년 3월 총 415억의 R&D 투자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현재 1,110개 과제가 접수되었으며, 그 중 180여개 과제를 선정할 예정이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바이오 의료, AI 활용 비대면 및 방역 기술, 핀테크, 블록체인 분야의 기술개발에 집중 지원한다.
시는 어려운 경영 환경 속에서도 중소기업이 R&D 투자를 중단하지 않도록 공고부터 지원금 지급까지 신속하게 추진할 계획이다.
사 업 명 | 지원규모 (단위 : 백만원) | 주요내용 |
바이오ㆍ의료 기술사업화 지원사업 | 2,000 | 지원대상 : 서울 소재 중소기업 지원분야 : 방역기기(물품), 진단의료기기, 원격의료 서비스(기기) 등 지원규모 : 과제당 최대 2억원, 10개 과제 |
AI 활용 비대면 및 방역 기술사업화 지원사업 | 2,270 | 지원대상 : 서울 소재 중소ㆍ벤처ㆍ창업기업 지원분야 :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비 AI 기반 비대면, 방역 활용기술 등 지원규모 : 과제당 최대 3억원, 8개 과제 |
핀테크 기술사업화 지원사업 | 800 | 지원대상 : 서울 소재 핀테크 기업 지원분야 : 코로나19 이후 수요증가한 간편결제, 보안, 클라우드컴퓨팅 등 핀테크 기술 지원규모 : 과제당 최대 1억원, 8개 과제 |
블록체인 기술사업화 지원사업 | 600 | 지원대상 : 서울 소재 중소ㆍ벤처ㆍ창업기업 지원분야 :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비 비대면, 인증․ 보안 등 블록체인 사업화가 필요한 기술 지원규모 : 과제당 60백만원, 10개 과제 |
※ 출처 : 서울시(☞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