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벅스 유래
『모비 딕(Moby Dick, 백경, 흰머리 고래)』은,
미국 소설가 ‘허먼 멜빌(Herman Melville)’의
장편소설로 1851년 작품이다.
이 소설은, 불가능해 보이는 목표에
불굴의 의지로 도전하는 인간의 끈질긴
생명력을 보여주는 동시에 자연에
무모하게 도전했다 자멸하는 인간을
통해 오만의 최후도 말해준다.
이 소설은 1인칭 관찰자 시점으로,
작품의 배경은 포경 산업으로 유명한
19세기 미국 뉴베드퍼드 항이다.
주요 등장인물은,
포경선 피콰드호의 선원 ‘이스마엘’,
또 다른 선원 ‘퀴퀘그’,
그리고 선장 ‘에이해브’이다.
이스마엘은 모비 딕을 잡는 치열한
3일간의 사투에서 살아남은 유일한
사람으로 이 소설의 화자다.
‘이스마엘’은, 매사추세츠의 학교 선생이다.
이 이름은 구약성서에 나오는 아브라함에
쫓겨난 아들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바다의 낭만을 동경해 오던 이스마엘은
우울한 기분이 들 때면 언제나 바다로 나가곤 한다.
결국 바다로 떠나기로 결심한 이스마엘은
고래잡이 선원이 되기 위해, 포경산업으로
미국에서 유명한 항구도시 뉴베드퍼드로 간다.
그곳 여관에서, 범상치 않은 느낌을 주는 폴리네시아인 ‘퀴퀘그’와 한 방을 쓰게 되는데, 이스마엘은 야만인 추장의 아들인 이 사람에게서 묘한 친근감을 느끼고 우정을 쌓게 된다.
퀴퀘그는 뛰어난 작살잡이기도 하다.
의기투합한 두 사람은 에이해브에 대한
주변의 경고를 무시하고 피콰드호에 오른다.
선장 ‘에이해브(Abab)’는
난폭한 흰 고래 모비딕을 잡고야 말겠다는 결심을 다지고 있었다.
지난날 모비딕을 잡으려다가 한쪽 다리를 잘려 버린 쓰라린 원한이 있었다.
에이해브는 모비딕를 복수하기 위해 배의 마스트에 스페인 금화를 못박아 전시하면서, 흰 고래를 발견한 사람에게 이것을 주겠다며 선원들의 사기를 북돋웠다.
일등항해사 ‘스타벅(Starbuck)’은 그에 자극 받아 모험을 하게 된다.
폭풍우가 몰아치던 어느날 ‘모비 딕’이 나타났다.
나침반이 고장나 버리고 말았다.
선원 하나가 빠져 죽고 흑인 하인이 미쳐 버리고 말았다.
첫째 날에는 배 한 척이 깨져 버렸다.
둘째 날에도 배 한 척이 부숴지고,
에이해브의 의족이 뜯기고 말았다.
셋째 날, 작살로 모비딕을 찌르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에이해브는 작살줄에 온 몸이
친친 감겨 버리고 흰 고래와 함께 깊은
바닷속으로 잠겨 버리고 말았다.
깨진 배는 점점 기울어져 바다에 가라앉기 시작했다. 선원 한 명이 위험을 알리러 돛대 끝에 독수리 깃발을 달았지만, 이 신호를 보고 구조하기 위해 달려오는 배는 없었다. 모든 것이 바다에 휩쓸려가고 이슈마엘만이 바다에 표류하다가 구조되어 살아 남는다. 그 이슈마엘의 회고록이 소설의 내용이다.
1971년 3월 30일 미국 시애틀에서 제리 샌프란시스코 대학 출신의 젊은이 3명이 처음으로 커피점을 열었을 때. 그 이름을 모비딕의 주인공에서 따 ‘스타벅스(Starbucks)’로 정했다.
로고는 고래 잡이들에게 공포의 상징이자 그리스 신화에 바다 귀신으로 나오는 세이렌(sirens)을 귀엽게 포장했다.
오늘날 도시의 거리에 흔하게 만나는 미국의 상징 스타벅스는 멜빌의 모비딕에서 나왔다.
소설에 등장하는 ‘스타벅’은 광기에
빠진 선장에게 쓴 소리를 하는
1등 항해사로 등장한다.
그가 소설 속에서 가장 이성적이고
차분한 인물이었다.
‘스타벅스’ 창업자들이 그의
이름을 택한 것은, 아마 커피 한 잔이
주는 차분함을 상징하고 싶었지 않을까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