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우리역사문화연구모임(역사문)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1. 킥돌이 공
    2. 호연
    3. 은꽃비
    4. 계림
    5. 세라
    1. 소정
    2. 천손강림
    3. 전우성
    4. 至今
  • 가입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 가입
    1. 김월회
    2. 인권연대1
    3. 권혁수
    4. 강서구
    5. 과거와 미래
    1. 지리능선
    2. dbrltkd
    3. 숲가치플러스
    4. 하라발가순
    5. edev
 
 
카페 게시글
자유롭게 글쓰기 이원수의 찔레꽃 / 월북시인 윤복진
귀거래사 추천 1 조회 598 11.09.21 17:07 댓글 6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1.09.22 23:35

    첫댓글 동요 가을밤 가사를 윤복진이 지은 것이었군요. 가을밤 제가 개인적으로 참 좋아하는 노래입니다만 월북시인이 가사를 지었다는 것을 이번에 처음 알았네요. 월북 시인이라는 이유로 남한에서 작품 자체가 금지된 사람이 여럿 있었습니다. 평안북도 시인 백석, 함경북도 시인 리용악은 일제 시대 때 정말 좋은 시들을 남겼던 작가들이었는데 월북 작가라는 이유로 불과 10여년 전까지도 작품이 거의 금지당하다시피 했었지요. 사실 월북 작가뿐 아니라 북한 작가들과 문학 자체에 대해서 우리가 더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현재 남한에 북한 문학에 대해서는 거의 잘 알려져있지 않는 것 같습니다. 그나마 알려진 북한 문학은 월북 작가가 분단 전

  • 11.09.22 23:43

    일제 시대 때 남긴 작품 정도가 대부분입니다. 이제는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서 월북 작가가 북한에서 썼던 작품, 아예 북한에서 나고 자란 분단 이후 등장한 북한 문학에 대해서 일반인들이 더 알려는 자세가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문학을 보는 것은 사람의 근본을 볼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우리가 북한과 통일을 하려고 생각한다면, 적어도 그들의 생각과 생활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 테니까요. 이것을 위해 작지만 아주 의미있는 행동 중이 북한 문학을 독서하고 이해하는 것이겠지요. 문학과 지성사에서 거의 수 백 페이지가 되는 <북한 문학> 선집이 있는데 혹시 이쪽으로 관심이 있으시다면 꼭 읽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 11.09.22 23:45

    귀거래사님께서 윤복진, 이정구 시인을 저에게 소개해 주셨으니 저도 좋은 북한 시인을 한 명 소개하겠습니다. ^^ '김순석'이라는 함경북도 청진(라남) 출신의 시인이 있습니다. 이 분은 사실 일제 시대 때는 나이가 젊어서 작품이 거의 없고 1950년대 60년대 북한 문단에서 주로 활동한 분입니다.(완전 북한 시인이지요) 대부분 북한 시들이 허황된 김일성 찬가 일색인데 김순석의 시는 매우 서정적이고 진실되며 아름답습니다. 아마 남북한을 통틀어서 이만큼 굉장한 서정시인을 찾기 어려울 정도일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말씀드린 문학과 지성사에서 나온 <<북한 문학>>에 이 분 작품이 열 편 정도 실려있습니다.

  • 11.09.22 23:57

    그리고 이원수 시인의 찔레꽃이 저렇게 여러번 개작된 것이었군요. 작가들이 자신의 작품을 여러번에 걸쳐서 새롭게 고쳐쓰는 것은 종종 있는 일이지요. 그만큼 완성도를 높이겠다는 뜻일 것 같은데 저는 개작 이전 작품에서 더 좋은 느낌이 나는 부분도 있는 것 같습니다. '저녁 굶고 찔레꽃을 따 먹었다오'가 왠지 우리 누나 기다리며 따 먹었다오 보다 울림이 저에게는 더 크네요. 비록 개작은 됐지만 두 버전 모두 작가의 작품이니까 둘의 존재 가치는 거의 동등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하나가 아닌 '둘'을 같이 감상하면서 읽을 수 있는 것이 '개작'과 '개작 이전 작'이 같이 있는 것의 큰 매력인 것 같습니다.(작품 개작에 대해서 귀거래)

  • 11.09.22 23:51

    님이 더 알고 있는 좋은 작품이 있다면 말씀해 주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

  • 작성자 11.09.23 11:48

    저는 별로 아는 것이 없습니다. 김순석의 시는 꼭 찾아서 읽어보겠습니다. 하여튼 무케길잔님의 정열은 정말 부럽습니다.
    이건 좀 다른 이야기지만 저는'목포의 눈물' 이난영을 좋아하고 그 시대의 대중가요를 좋아합니다. 최근 차홍련이란 가수가 1943년에 부른 '아주까리선창'이라는 노래를 알게 되었습니다. 1970년대에 '신가야'라는 가수가 리메이크했는데 정말 매력적이더군요. 검색창에 '아주까리선창'을 치면 나오니까 한번 들어보시기 바랍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