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리제이션 (medicalization)이란
말을 들어 보셨나요?
요즘 社會學 용어로 떠오른 '메디컬리제이션'에 대하여
심심풀이 삼아 한번 들어 보세요?
有名한 어느 의사와 가까운
한 친구가 있다.
그는 올해 75세로
老年期에 들어와 있다.
30년 넘게 직장 생활을 했고,
60세 은퇴 후 몇년간은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었고,
건강에도 자신이 있어 어지간한 몸의 불편은
대수롭지않게 넘겼다.
동창뿐 아니라 직장생활 등으로 맺어진 인맥도 살아 있었고,
이런저런 모임도 심심찮게 있어서 나름대로 활기있는
老後생활을 즐겼다.
그러다 70대로 들어서자 건강에 문제가 조금씩 나타나면서
그의 生活도 달라져 갔다.
쾌활과 낙천은 슬금슬금 어디로 도망가고,
부정과 불안이 반쯤 망가진 팔랑개비처럼 마음 속을 맴돌았다.
그래서 여기저기 증상이 생길 때마다 이 병원에서 저 병원으로 순례가 시작 됐다.
배가 이유 없이 더부룩하다, 생배앓이가 잦다,
이쪽 관절이 쑤신다, 저쪽은 뻣뻣하다, 어깨가 시리다,
눈이 자주 흐릿해지고, 왠 거미줄이 어른거린다.
가는 귀가 먹는 것 같더만
조수미 노래같은 高音이 짜증나게 들린다.
쉬아가 어쩌구 저쩌구 등등
다양한 호소를 쏟아냈다.
특별한 이상은 잡히지 않는데, 검사만 자꾸 늘어 났다.
평생 병원 신세 안 질 것 같던 자신감은 사라져가고
사소한 신체 문제도 죄다 질병으로 여기며
'병원 의존형' 사람이 됐다.
이를 새로운사회학 용어로
'메디컬리제이션(medicalization)'
이라고 일컫는다.
"모든 증상을 치료 대상이라 생각하며 환자로 살아가는것"이다.
노령화 진입 초기에 흔히 볼 수 있는
심리적 현상이고,
고령화시대에 일반화된 사회적 현상이다.
사회복지학박사 정의식
-옮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