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개종 원문보기 글쓴이: sutani
[자료] 이교에서 비롯되지 않은 것이 없는 크리스마스 풍속 기독교 모든 교리, 절기는 고대타교의 것 로마와 북유럽의 해괴한 절기를 국경일로 정한 한국 (((용수애비)))
ㅇ 성탄절 12월 25일은 예수탄생일과 전혀 무관한 날이다. 예수가 역사적 실존과 삶의 흔적을 증명할 수 있는 아무런 증거도 없다. 하나의 신화로 보는 설이 더 유력하다. 태어난 해도 불명확하며 사망한 해도 불명확하다. 당연히 탄생일과 사망일의 기록도 없고 알 수도 없다. 초기 기독교는 성탄절을 기념하지도 않았다. 성탄절이 나타난 것은 서기 379년경으로 보인다.
새턴날리아 기독교가 공인되던 시절 로마에서는 여러 이교도들의 풍속에 따라 동지절 (12월24일-1월6일)을 명절로 지켜왔다. 로마에는 12월말에 들어서면서 여러 축제가 이어졌는데 그 하나는 세터날리아(Saturnalia)였는데 12일부터 24일까지 지켜왔다.
새턴나리아 12월 12일~24일
농경신 새턴의 제사가 모셔졌고 이 절기중에는 지위가 낮았던 여성을 해방하고 여성의 문란한 행위조차 용납하었으며, 노예계급에게는 일시적으로 주인과 평등한 권리를 부여하였다. 빈부귀천의 차별을 잠시 망각하게 하고 시민들이 환락에 취하는 풍속이 있었던 것이다.
이때는 평민 또는 군주의 노예를 한사람 뽑아 축제기간 중 실제 신격으로 높여 왕의 권한을 주어 왕을 대리하도록 하고 마지막날에는 그를 속죄양으로 살해하기도 했다. 유대왕으로 호칭하고 월계관을 두른 예수가 인류의 속죄양이라 일컫지만 사실은 이 풍속의 희생자와 유사하다는 설이 있다.
시길라리아 (황금가지) 또 하나는 시길라리아(Sigllalia)제사일이 있으니 12월 하순으로 이때에는 소아에게 인형을 주어 즐기게 하는 절기였다.
부루말리아와 미트라의 25일 로마인들이 많이 믿었던 페르시아에서 유래한 미트라교는 정의의 태양신(미트라)를 믿었는데 태양신으로 숭배되던 미트라의 축일이 12월 25일이었다. 당시 동지를 로마력으로 12월 25일로 보았는데 동지 무렵부터 태양이 강해져 날이 길어지므로 태양의 탄생일이라며 성대한 의식을 거행했다.
기독교가 전파되고 공인되었지만 로마에서 이러한 이교의 풍속은 계속되자 이를 멈출 수 없었던 기독교는 로마주교의 명으로 이날을 근거도 없는 예수의 탄생일로 정하고 기념식을 거행하며 그들의 축제에 가담하는 전략을 택했다. 즉 민중들의 태양 숭배의 습속을 이용하여 그리스도의 탄생을 기념한 것이다. 이후 박해로 기독교만 살아남자 이교도의 축일개념을 사라지고 성탄절로 둔갑해 버린 것이다.
하지만 오늘날에도 연말연시 성탄절의 거룩하고 엄숙한 분위기보다, 청춘남녀의 자유로운 연애를 비롯한 환락과 축제의 분위기를 보이는 것은 그 유래가 기독교가 아닌 이교도의 축제에서 나온 뿌리가 있기 때문이다. 야훼는 다른 신을 섬기지 말라고 했는데 이교도들이 태양신을 제사지내는 날을 예수의 탄생일로 삼은 것은 지조가 없는 행위가 아닐 수 없다.
ㅇ 크리스마스츄리 고대 유럽인들은 상록수를 숭배하는 문화를 갖고 있었다. 그들에게 겨울에도 잎이 지지 않고 푸르게 살아남는 상록수들은 신령한 정령이 깃든 영생을 상징하는 생명의 상징이었다. 그들은 상록수에게 끔찍한 인신제사를 지내기도 했으며, 악령을 막고 액을 막는 상징으로 겨울철 집 주위에 세우고 장식하는 관습이 내려왔다.
크리스마스 때 장식용으로 널리 쓰이는 호랑가시나무는 옛적 로마에서 새턴신의 성스러운 상징으로 여겨져 세터날리아(Saturnalia)의 축제에서 건강과 행복의 상징으로 사용되었다. 집안을 상록수나 상록 담장 덩쿨 그리고 촛불로 장식하였다. 그러나 이 이교의 축제가 기독교적으로 의미가 바뀌면서 슬그머니 그리스도의 탄생의 상징으로 의미가 바뀌게 된 것이다.
ㅇ산타클로스와 크리스마스 선물 산타클로스란 인물은 역사에 없다. 배가 뚱뚱하고 흰 수염에 빨간 옷을 입고 루들프 사슴을 끌고 하늘을 날라다니며 선물을 주는 산타클로스란 미국의 한 만화가가 1863년 그린 그림에 연유하며 코카콜라회사에서 상업적으로 이용한 이미지에 지나지 않는다.
로마에서는 세터날리아(Saturnalia)의 축제에 12월 17일부터 24일까지 흥겹게 지내는 축제였다. 상록수와 촛불로 집안을 장식하고 선물을 어린이와 가난한 사람들 그리고 종들에게 주는 풍습이 이미 있었다. 4세기 소아시아 지방의 조교로 있으면서 좋은 일을 많이 한 성 니콜라스(St. Nicholas)의 이름이 네델란드 이민자를 통해 미국에 유입되어 그 이름이 변형되었다 하나, 이것은 기독교적인 해석일 뿐 성 니콜라스가 최초의 선물자도 아니고 그 이전부터 이미 있었던 풍속인 것이다.
본래 둥근 원을 만들어 춤을 추었던 원무를 일컫는 말로 중세 유럽의 축제에서 춤을 출때 사용한 이교도의 무곡을 의미했다.
기독교는 초기에 우상을 숭배하지 말라는 십계명의 전통을 지켰다. 십자가가 나타난 것은 후대의 일이다. 십자가를 교회 내부에 부착하기 시작한 것이 AD 431년경이며, 교회 꼭대기에 십자가를 세우기 시작한 것이 주후 586년경부터이다. 로마에 유입된 게르만족들을 선교하기위한 과정에서 상징물로 나타났으나 당시에는 우상이라는 반대파 교회와 찬성파 교회간 치열한 대립과 분열이 있었다. 십자가는 사실 사형틀에 불과하다. 사회를 혼란시키는 자 중한 범죄자들인 비시민권자인 노예들에게 주로 부과한 형으로 예수만이 희생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예수만이 고난당한 상징이 될 수가 없다.
십자가는 고대 원시종교 상징 기독교의 상징처럼 되어버린 십자가는 사실 기독교가 아닌 이방의 고대 원시종교에서 유래된 것이다. 십자가의 최초 고안자는 고대 바벨론종교의 창시자로 알려진 세미라미스 라는 설이있다. 세미라미스가 자신의 아들 담무스를 죽은 니므롯의 환생으로 선포하며 신격화 하였는데 이때 담무스에 대한 심볼로 그의 이름 첫 자를 따서 T자형 십자가를 만들어 종교적 상징으로 삼았다. 이 십자가가 고대 이집트에서도 영생의 상징으로서 사용 되었고 다른 종교에도 유입되었다. 사실 십자가는 그 이전부터 이교 종교의 상징으로 있어왔고 악이나 병을 물리치는 하나의 부적역할이었는데 이것이 기독교에 은근슬쩍 흘러들어 기독교의 상징으로 서서히 등장해온 것이다. 하지만 크리스마스트리에 장식하는 십자가는 외국에 전례가 없다.
ㅇ 결론 그리스도를 탄생을 기념하는 성탄절은 기독교의 최대의 축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예수의 진짜생일과 전혀 무관하다. 그 유래가 대부분 이교에서 비롯되며, 당시 경쟁관계에 있는 다른 종교들을 제압하기 위해 12월 25일을 그리스도를 경배하는 날(미사드리는 날)로 정한 것이다.
이제 로마시대도 아니고 중세도 아니다. 거짓이 점철된 성탄절을 이제 바로잡아야 하지 않을까. 성탄절이야말로 기독교의 거짓성과 다른 문화 말살 정복의 역사의 진면목을 잘 보여주는 헛된 기념일일 뿐이다.
네이버에 각국의 크리스마스 표정에서 다른 나라 트리에는 별이 부착되었지 십자가가 부착된 곳이 한 곳도 없다. 로마의 축제에서 비롯된 성탄절은 종교를 떠나 비기독교인에게도 하나의 연말연시를 즐기는 축제 절기이다. 그런데 우리나라 서울 및 지방 곳곳의 관공서앞에 세워진 크리스마스 트리에 대부분 별대신 십자가가 달려있다. 하루도 아니고 장기간 이렇게 서있을 것이다. 신도들에게는 신앙의 상징으로 보이겠지만 비신도들에게 십자가는 죽음과 우울한 공동묘지의 표식을 연상시키는 혐오적 표식일 뿐이다. 빨갛게 선명하게 달린 십자가는 크리스마스가 그들만의 축제라는 배타적 독선적 우리나라 기독교의 특성을 잘 보여준다. |
첫댓글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따르고자 하면 그 깊은 내면적의미를 새기고 따라가야 세상에 이로운 결과로 나타날 것입니다.. 쓸데없는 것에 의미부여함은 어리석음일 뿐입니다.
자기 마음안에서 어리석은 우상, 탐진치에 묶여들어감..이런 것들을 살피는 것이 예수의 가르침을 자기안에서 살려내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것이 진정한 예수성탄의 의미 아닌지요?
<공동번역 신약성서 요한 8:31-32>[너희가 내 말을 마음에 새기고 산다면 너희는 참으로 나의 제자이다. 그러면 너희는 진리를 알게 될 것이며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할 것이다."] 이런 가르침이 실현되는 곳은 자기자신의 마음부터입니다.. 자신의 마음밭안에서 하느님-바른 진리-가 아닌 다른 신-우상-을 섬기고 있는지 아닌지 살피는 것은 예수를 자신의 마음에 영접하는 출발점이 될 것입니다..
<루가 8:4-8>["씨뿌리는 사람이 씨를 뿌리러 나갔다. 씨를 뿌리는데 어떤 것은 길바닥에 떨어져서 발에 밟히기도 하고 하늘의 새가 쪼아먹기도 하였다. 어떤 것은 바위에 떨어져서 싹이 나기는 하였지만 바닥에 습기가 없어 말라버렸다. 또 어떤 것은 가시덤불 속에 떨어졌는데 가시나무들이 함께 자라서 숨이 막혀 버렸다. 그러나 어떤 것은 좋은 땅에 떨어져서 잘 자라나 백배나 되는 열매를 맺었다." 하시고는 "들을 귀가 있는 사람은 알아들어라." 하고 힘주어 말씀하셨다.]
자신의 마음밭을 살피는것은 바로 자신이 옳다고 믿고 집착하고 있는 견해나 주장 믿음같은 것들이 과연 나라는 취착에서 나를 자유롭게 해주는 것인가 똑바로 살펴보는 것입니다.. 고집멸도의 가르침에서 고를 살피는 것과 같습니다.. 그러나 예수의 가르침에는 연기의 통찰이 없기에 결국 절대불변의 상견-하느님 아버지-삼위일체에 대한 믿음에로 귀의하게 될 수밖에 없지요..예수의 성탄의 의미를 바로 새기고자 한다면 자신의 마음밭부터 살피고 들어가는 것이 출발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