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 본괘변화 지괘 호괘 도전괘 배합괘 착종괘 공부
1.본괘 간단히 동전으로 하든, 정통 방식으로 하든 일차적으로 얻어낸 괘(卦)이다.
* 현재 처한 상황 환경,어떤 일을 하려 할때 처한 상황으로 단사 괘사 효사를 본다
2.지괘 변괘라고도 하며,본괘에서 특정 효(爻)가 노양 노음이 될 때,양효는 음효로,음효는 양효로 바꾸는 괘,
* 일 사건이 진행되어가는 자신의 노력과 주변 환경 상황 을 나타낸다.
3.호괘 초효(初爻)와 상효(上爻)는 무시하고 2,3,4효를 하괘(下卦)로 하고 3,4,5효를 상괘(上卦)로 하는 괘이다.
* 본괘에 숨어있는 성격을 살펴보기도 한다.사건속에 숨어있는 구체적 실제 내용과 의미를 나타낸다.
4.도전괘 본괘를 거꾸로 뒤집은 것이며, 초효(1효)=> 상효(6효),상효=>초효 2효=> 5효, 5효=>2효,3효=> 4효, 4효=> 3효로 효가 바뀐다. *본괘의 상황을 객관적으로 보며,
5.부도전괘
상괘와 하괘가 같은 괘로 모두 8괘가 있고,건위천, 곤위지, 감위수, 이위화, 진위뢰, 간위산, 손위풍, 태위택 괘가 이에 해당한다.
6.배합괘 본괘의 여섯 개의 효(爻)를 양효는 음효로, 음효는 양효로 하여 얻어낸 괘를 배합괘라고 한다.
* 본괘의 음양을 반대로 바뀐 괘가 드러난 상황과 내재된 상황(본괘상황)을 비교해 보기도 한다.
7.착종괘 상괘는 하괘 하괘는 상괘로 위치를 바꾼 것을 착종괘라고 한다.
* 상황이 어떻게 바뀌는가를 본다
[풀이]주역괘의 변화를 알면 일을 해 보지도 않고 문제를 알 수 있다고 했다.
대충 위상에 대한 내용은 주역의 효사에 나온다.
하지만 효사를 보다 잘 해석하기 위해서는 역으로 위상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다.
-1. 정위:
초효, 3효, 5효는 양효 기수의 자리다.
그래서 양효가 자리를 잡으면 제자리를 잡았다(正位)고 본다.
2효, 4효, 육효의 경우는 음효 우수의 자리로 음효가 자리를 잡으면 좋다고 본다.
-2. 득중(중정):
상괘와 하괘의 가운데(5효와 2효)는 괘의 가운데이자 중심으로 그 자리에 효가 제자리를 잡으면 득중(中正)했다고 좋게 본다.
-3. 응 비:
상하 괘의 사이에 효가 음양으로 서로 마주하고 있으면 응(應: 서로 화합함)으로 서로 사이가 좋고,
음음, 양양으로 마주하면 서로 견주며 으르렁댄다고 비(比: 서로 견줌)라고 본다.
이런 정위, 응, 비는 줄을 잘 서야 크게 고생 안하고,
조직에서는 사람을 잘 만나야 괴롭지 않다는 동양적인 사고를 그대로 반영한다.
* 예를들어 봅니다.
ㅇㅇ 년 ㅇ ㅇ월ㅇ ㅇ일 ㅇㅇ시 에 □□ 남자는 하늘에 고하고,
기괘는 ●●점으로 요괘하여 본괘를 얻어 다음 상황을 전개하였다
본괘 | 기괘하여 얻은 괘 - 천뢰무망 | | 25.无妄은 망동하지 않아야 하는 것이며 망동하지 않으면 모이고 쌓을수 있다.
하늘아래 우레 가 울리는 상으로, 뇌성벽력이 일어날 때 누구나 하늘을 두려워하는 마음으로 스스로를 반성하듯이, 천명에 따라 정도로써 바르게 행해 나가니 '무망'이다. | 무망'의 글자에는 하늘과 같이 무사무위의 마음을 갖추고 여색을 멀리하여 본성 그대로 행해 나아가는 뜻이 있다. 효사에도 양이 음을 만나는 것을 재앙으로 보아 흉하게 말하였다. |
지괘 | 임의 선정 (변괘 - 노음 노양을 얻은 효) 택화혁 | | 49.혁은 변혁이며, 사물의 변화는 솥만한것이 없다. | 위 설명중 보는 요령을 지재함- 참고를 |
호괘 | (본괘의 234효 하괘 345효 상괘) 풍산점
| | 53.점은 진이니,나아가면 반드시 돌아올곳이 있다. | 본괘에 숨은 성격을 본다 내포된 의미(진행과정에서 일어나는 내부적 변화나 갈등 등의 속마음)를 알고자 할 때 |
도전괘 | (본괘의 전효를 뒤집은 괘) 산천대축 | | 26.大畜은 크게 쌓는 것이니 사물은 쌓인 뒤에야 가히 기를 수 있다. | 본괘의 상황을 객관적으로 본다상호 연계된 이면(裏面)의 내용이나 다른 내용이 함축되어 있다. |
배합괘 | (본괘의 효 음양을 바꾼괘) 지풍승 | | 46.升은 오르는 것이나 오르기를 그치지 않으면 곤궁해진다. | 본괘의 내면상황을 본다 상반된 위치 상황 즉, 상대방 입장에서 사안을 볼 때 |
착종괘 | (본괘의 상하를 바꾼괘) 뢰천대장 | | 34.大壯은 크게 장성한 것이니 장성하면 곧 나아가야 한다. 대장은 천명의 강건함을 바탕으로 밖으로 실행해 나가는 것이다 | 본괘 상황이 어찌 바뀔지 본다 내외의 위치 변경 등을 살필 때 주로 쓰인다. |
부도전괘 | 해당없음 | (8궁괘에 속한괘) | | |
* 육효점을 비유하면
기괘시의 년월일시(일진 월건등 주요한요인) 기록하고,
기괘한
본괘(천뢰무망)를 얻어 점 내용에 따라 여러 상황을 판단한다.
즉 아래 내용에서
신명 성정신체 년시(1년신수) 가택 혼인 부귀빈천 화복 구재 상업 질병생사 도적점~ 등으로 해당 내용을 본다
세 응 변효 확인 | 용신 기신 원신 구신 확인 | 오행 | 사시생왕등 | 육친 | 육신(육수) |
세 -8궁 수괘로 정한 내용을 본다
응-8궁 수괘로 정한 내용을 본다
세와 응(서로 상대)의 생극합충을 보고 둘사이 호악을 본다
변(동변) - 기괘시 노음 노양으로 바뀐 효를 본다 | 용신- 1.세효가 용신 2.구하는 육친이 용신
기신-용신을 극하는 효
원신-용신을 생하는 효
구신- 기신을 생하는 효
비복신- 진퇴신- | 납갑으로 정해지며 일진 월건등 과 효 사이의 오행 생극을 본다.
즉 일진 월건이 1.효와의 생극- 2.효와의 합충 3.효와의 형 4.회두생극충합여부를 본다 | 사시왕상- 12월별 월건의 왕상휴수가 용기원신과의 작용을 본다
왕상휴수사-용신효가 일진 오행의 생극관계로 길흉본다
입묘- 세효 용신이 진술축미 토에 들어있는 것으로 좋지 않다.
월파- 점하는 날의 달로, 일진- 점하는 날로 정함
순공- 점한 날로 정함
유혼괘-7번괘 귀혼괘-8번괘 | 육친 효 사이의 오행 생극으로 부귀빈천 육친관계를 본다.
비견겁재 식신상관 편재정재 편관정관 편인정인 | 아래 표기로 정하고 육신이 용신 기신을 생하고 극하는 관계로 화복禍福 귀천을 판단한다. |
기괘한 본괘의 세응(8궁오행으로 정해짐) 변효(지괘를 말함)확인
본괘의 오행 육친(8궁납갑으로 정해짐) 육신(육수:점한 십간일로 정해짐) 표시
** 상기 세부 보는 법을 연결 합니다.총단천금부
* 월파 정하는 법
正月申破,二月酉破,三月戌破, 정월 신파,2월 유파, 3월 술파이며,
四月亥破,五月子破,六月醜破, 4월 해파, 5월 자파, 6월 축파이고,
七月寅破,八月卯破,九月辰破, 7월 인파 8월묘파 9월진파
十月巳破,十一月午破,十二月未破。10월 사파 11월 오파 12월 미파이다.
* 순공 법 如下表:
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 甲子旬戌亥空 子醜寅卯辰巳午未申酉
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 甲戌旬申酉空 戌亥子丑寅卯辰巳午未
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 甲申旬午未空 申酉戌亥子丑寅卯辰巳
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 甲午旬辰巳空 午未申酉戌亥子丑寅卯
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 甲辰旬寅卯空 辰巳午未申酉戌亥子醜
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 甲寅旬子醜空 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
* 육신정하는 법 列表如下: * 육친판단 육수 정하고 판단하는 내용
甲乙日 丙丁日 戊日 己日 庚辛日 壬癸日
六爻 玄武 青龍 朱雀 勾陳 騰蛇 白虎
五爻 白虎 玄武 青龍 朱雀 勾陳 騰蛇
四爻 騰蛇 白虎 玄武 青龍 朱雀 勾陳
三爻 勾陳 騰蛇 白虎 玄武 青龍 朱雀
二爻 朱雀 勾陳 騰蛇 白虎 玄武 青龍
初爻 青龍 朱雀 勾陳 騰蛇 白虎 玄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