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ry Grigsby 동부전선 1 (1941/6) 바르바롯사 - 독일군 편제
Gary Grigsby 동부전선 2 (1941/6) 무너지는 소련군
Gary Grigsby 동부전선 3 (1941/6) 소련군 방어계획
Gary Grigsby 동부전선 4 (1941/6) 보급과 지연전
Gary Grigsby 동부전선 5 (1941/7) 독일의 동맹들
Gary Grigsby 동부전선 SS 1
Gary Grigsby 동부전선 6 (1941/8) 폴로츠크, 키예프 공방전
Gary Grigsby 동부전선 7 (1941/9) 핀스크 포위전
Gary Grigsby 동부전선 8 (1941/10) 스몰렌스크 공방전
Gary Grigsby 동부전선 9 (1941/10) 프스코프 전투
Gary Grigsby 동부전선 SS 2
Gary Grigsby 동부전선 10 (1941/10) 41년도 하계전투 총평.
Gary Grigsby 동부전선 11 (1941/11) 라스푸티차 소강기
Gary Grigsby 동부전선 SS 3
Gary Grigsby 동부전선 SS 4
Gary Grigsby 동부전선 12 (2부 시작) (1941/11) 소련의 동계 작전계획
Gary Grigsby 동부전선 13 (1941/11) 독일의 전선 재편

한파가 시작되고, 독일군은 약해졌다.
개전 이후 소련군이 첫 공세에 나선다.
소련군은 프스코프 포위망을 노리며, 대규모 전투를 준비했다.

허나 이미 그곳에는 아무것도 남아있지 않았다.
소련군은 그저 독일군이 비워둔 자리에
밀물처럼 몰려들었을 뿐이다.

기대했던 전과따위는 없었다.
독일군 후방을 지키다 낙오된 사단 두개를 섬멸한 것이 고작이었다.

그럼에도 승리는 승리다.
아무리 규모가 작을지언정,
동장군의 도움을 받았을지언정,
퇴각하는 적을 상대로 했을지언정
승리라는 달콤한 이름에 변함은 없었다.
소련은 독일의 침공이래 백여개가 넘는 사단을 잃어버렸다.
계속 패배하기만 했던 소련군은 동계공세로써 처음으로 사단 규모의 독일군을 소멸시켰고,
이는 앞으로 격파할 수많은 독일 사단들 목록의 첫 줄을 장식할 것이다.
이제 소련군은 안다. 저들도 무적이 아님을.

거듭 말하지만 동장군은 소련의 편만을 들어주지 않는다.
힘겹게 버텨내던 핀란드 전선같은 경우, 오히려 상황이 악화되는중이다.

핀란드군 중에서 스키여단을 가진 부대는 오히려 전력이 크게 상승해버린다.
여하간 핀란드 상황은 둘째치고, 소련군은 주 전장에서 첫 공세를 마치면서 드디어 여유를 갖는다.
가을동안 편성된 부대가 전방으로 투입됨으로써,
일선에서 공세를 견더내던 부대들이 후방으로 빠질 여력이 생겨났다.

그동안 독일군에게 격파당한 부대만 재보충을 받고, 대치중이던 부대는 방치되어왔다.
위 표가 대치중이었던 부대의 TOE이다. (Table Of Equipment, 장비목록)
왼쪽이 완편부대 기준 장비, 오른쪽이 현재 보유중인 장비이다.
현재 완편 기준에 턱없이 부족한 것을 알 수 있다.
이 부대는 한번도 진격이나 방어전을 치루지 않은 부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싸울 수 없을정도로 손실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게임에서 손실은 전투에서뿐만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모 게임의 턴당 몇%정도 하는 비전투손실개념과도 다르다.
단순히 전선에서 대치중인 것만으로 포격과 폭격을 뒤집어쓰고, 군대는 마모된다.
사기와 경험치가 적거나, 피로도가 높은 부대의 경우 이에 더 큰 피해를 받는다.
그들을 후방으로 빼서 재편해주어야만 미래를 바라볼 수 있다.

소련이 보유중인 장비중, 중(中)전차 목록이다.
후방에서 재편되는 부대는 소모/고장 난 장비 대신 새 장비를 보급받는다.
플레이어가 일일히 장비 기종을 따져주거나 편제를 해줄 필요는 없다.
편제는 이미 정해져있고, 거기에 필요한 장비 계열의 기종이 채워지는 방식이다.
전선 근처의 부대는 같은 계열 장비면 아무거나 보충되지만, 후방에서 재편되는 부대는 같은 기종의 장비 위주로 자동 보충된다.

물론 전쟁이 격화되면서, 생산이 소모를 따라가지 못할 것이다.
이럴 경우 적으로부터 노획된 장비를 개조하여 보충받기도 한다.
노획한 적 장비가 일정 수 이상 되면, 아군이 사용할 수 있게 개조되고
과거 적들이 쥐고있던 장비로, 그들의 머리를 겨눌 것이다.

여기에 더해, 소련의 경우 연합군의 지원도 받는다.
사진은 영국으로부터 지원받은 발렌타인 전차이다.
아직 그 양이 미미하므로, 영향은 거의 없다.
그러나 미국이 개입하면, 상황은 바뀔 것이다.

첫 공세에서 기대하던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지만, 멈추지 않을 것 같았던 독일군이 물러나기 시작했다.
이제 겨우 12월 첫주가 지났고, 소련의 동계공세는 이제 막 시작했을 뿐이다.
어머니 러시아의 대지를 군화로 짓밟은 댓가를, 피로써 되갚아줄 차례다.
첫댓글 시험삼아 한번 게재해봤는데, 원래 올리던 곳이랑 형식이 많이 달라서 그림이 잘 안올라가네요...
아마 앞으로는 하던대로 링크로 대체할 것 같습니다. 양해바랍니다.
이게임 진짜 해보고 싶었는데 영문압박 때문에 못하는걸 글로 통해서 대리만족 느끼고 있습니다 다음에 독일로도 한번해주세요 ㅋㅋ
턴 한번 돌리는데 시간 오래 걸리신다더니, 엄청 빠른 연재속도시네요. 재미있게 보고있습니다!
재미있게 보고있습니다.
반대로 독일이 실제로 그랬던거 처럼 소련제 노획 무기를 사용할수 있겠군요.
감사합니다~
독일군은 호이3 단대호랑 똑같이 생겼네요 ㅎㅎㅎ 눈에 익숙하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