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울산바위 |
 |
해발 873m, 둘레 4㎞, 6개의 봉우리로 어우러진 울산바위는 사방이 절벽으로 이루어져 있어, 자연의 위용과 함께 예술성을 그대로 보여주는 기암절벽의 극치를 보여준다.
전설에 의하면, 울산바위라는 이름이 생긴 유래는 이렇다. 조물주가 금강산의 경관을 빼어나게 빚으려고 잘생긴 바위는 모두 금강산에 모이도록 불렀다. 경상남도 울산에 있었던 큰 바위도 그 말을 듣고 금강산의 1만2천봉에 함께하고자 길을 떠났으나 워낙 덩치가 크고 몸이 무거워 금강산을 코앞에 둔 미시령에서 잠시 쉬어가고자 앉았다가 설악산에 이르러보니 이미 금강산은 모두 빚어지고 말았다. 울산바위는 그 한 많은 사연을 간직한 채 고향 울산으로 돌아갈 체면도 없어 설악산 미시령에 그대로 눌러앉고 말았다고 한다. 그래서 고성에 있지만 이름은 울산바위라나…. |
|
| | |
2) 화암사 |
 |
화암사에서 바라본 수바위 |
 |
수바위에서 바라본 화암사의 절경 | |
화암사에 있는 수바위의 전설.
화암사는 민가와 멀리 떨어져 있어서 스님들이 시주를 구하기가 힘들었다. 어느 날 이 절에서 수행에 전념하고 있던 두 스님의 꿈에 백발노인이 동시에 나타났다. 백발노인은 수바위에 있는 조그만 구멍을 알려주면서 끼니때마다 그 구멍에 지팡이를 대고 세 번을 흔들라고 했더니 두 사람 분의 쌀이 쏟아져 나왔다. 그 뒤 두 스님은 식량 걱정 없이 수행에 전념할 수 있었다. 그런데 몇 년 후 한 객승이 이 이야기를 듣고 욕심을 내어 쌀 구멍에 지팡이를 대고 수없이 흔드는 바람에 쌀 보시는 끊어졌다. 화암사가 벼 화(禾)자에 바위 암(巖)자를 쓰게 된 것도 이 전설에 연유한다는 이야기이다. 수바위는 아들을 점지해주는 곳으로 알려져 있어 신혼부부들의 중요한 참배 처이기도 하다.
화암사 앞 다리를 건너기 전, 수바위로 오를 수 있는 계단이 있다. 깨끗하게 관리되고 있는 화암사도 아름답지만, 수바위에서 바라보는 화암사의 모습은 누구에게든 추천할만한 절경인데, 그 중에서도 특히 가을이 아름답다. |
|
| | |
3) 원암온천지구 |
|
고성군 토성면 원암리 일대에 위치해 있는 원암 온천지구는 설악권 온천지구 중에서도 최근에 개발된 곳이다. 온천수의 용출량이 풍부하고 대형콘도 단지 내에 있어 여행객들이 편안하게 즐길 수 있다. 원암온천지구내에 위치한 콘도들로는 일성콘도, 대명콘도, 현대콘도 등이 있으며, 다양한 온천욕은 물론 사우나 시설을 비롯하여 찜질방 각종 헬스센터 등의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어 원하는 휴식을 취할 수 있다. |
|
| | |
4) 청간정 |
 |
청간정은 설악산 골짜기에서 흘러내리는 청간천과 만경창파가 넘실거리는 기암절벽위에 팔작지붕의 중층누정으로 아담하게 세워져 있다.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 32호로 지정된 청간정은 1980년 정자를 완전 해체 복원하여 명실 공히 문화재로서의 면모를 갖추었다. 청간정의 현판은 이조 현종 때 우암송시열이 좌상으로 재직 시 이곳에 들러 친필로 썼었고, 그 후 1953년 고 이승만 초대대통령이 친필로 쓴 현판이 현재까지 걸려있다.
이곳에서 바라보는 일출과 월출시의 장엄함과, 밀려오는 파도가 마치 뭉게구름이 일다가 안개처럼 사라져가는 황홀경으로 관동팔경 중 수일경으로 손꼽히는 청간정은 아름다운 주위풍광으로 예로부터 시인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은 곳이다. 노송 숲 사이로 뚫린 오솔길을 더듬은 뒤, 탁 트인 동해를 굽어보는 정취가 그윽하다. |
|
| | |
5) 하늘이 내린 선물 화진포 |
 |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화포리와 현내면 초도리, 죽정리에 연접하고 있는 화진포는 호숫가에 해당화가 만발해 붙여진 이름으로 둘레 16km의 동해안 최대의 자연호수인 화진포는 강원도 지방기념물 10호로 지정되었다.
넓은 갈대밭 위에 수천 마리의 철새와 고니가 날아들고 울창한 송림으로 둘러싸여 주변경관이 빼어나 예로부터 주변에 유명한 별장들이 많았던 곳으로 지금도 이승만 초대대통령 별장과 이기붕 별장, 화진포의 성(김일성 별장)이 역사안보전시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병풍처럼 둘러싸인 울창한 송림과 포구의 기암괴석은 신비의 극치를 이루고, 화진포 해변은 수심이 얕고 해저가 청아하며 주옥같은 백사장이 펼쳐져 있어 촬영지로도 유명하다. |
|
| | |
6) 여행 중의 휴식 - 진부령미술관 |
 |
진부령 정상에 위치한 “진부령미술관”에는 작품 “소” 등으로 민족의 강인한 정신을 담아내 국민작가로 평가되고 있는 천재화가 대향 이중섭의 상설전시실이 운영되고 있다.
또한 미술관에는 휴식과 도예실습체험을 위한 공간도 마련되어 있어, 대자연의 향기로움과 고요 속에서 여행 중 예술작품과 함께하는 특별한 감동을 맛볼 수 있다.
- 문의 : 033-681-1280, 681-3679
- 관람시간 : 하절기에는 AM 09:00 ~ PM 5:30, 동절기에는 AM 09:00 ~ PM 5:00
- 휴무 : 매주 월요일 | | | | |
 |
|
1) 오시는길 |
|
목적지 |
이동거리(㎞) |
소요시간(분) |
택시요금(원) |
주유비(원) |
미시령터널 |
※ 안내의 편의를 위해 미시령터널을 출발지로 함. |
↓ |
미시령터널 → 약3.83㎞직진 → 설악산전망대 |
7.22 |
8 |
5,600 |
1,300 |
울산바위 |
※ 설악산전망대로 목적지로 함. |
↓ |
설악산전망대 → 약2.23㎞직진 → 원암1교차로에서 좌회전 → 약1.14㎞직진(대명콘도 지남) → 갈림길에서 오른쪽 진입 → 약1.41㎞직진 → 갈림길에서 왼쪽 진입 → 화암사 |
8.08 |
13 |
6,200 |
1,450 |
화암사 |
|
↓ |
화암사 → 0.97㎞직진 후 오른쪽 진입 → 약0.95㎞직진 후 오른쪽으로 진입(심한커브) → 약1.41㎞직진 후 왼쪽으로 진입(급커브) → 약1.14㎞직진 후 원암1교차로에서 좌회 전 → 약0.56㎞직진 → 원암온천지구 |
5.19 |
11 |
4,200 |
950 |
원암온천지구 |
|
↓ |
원암온천지구 → 약5.66㎞직진 → 교동지하차도사거리에서 좌회전(7번국도) → 약 3.75㎞직진 → 용촌삼거리에서 직진 → 약3.78㎞직진 → 오른쪽으로 청간정(안내판) |
13.45 |
14 |
9,900 |
2,370 |
청간정 |
|
↓ |
청간정 → 약17.95㎞직진(7번국도) → 북천교차로에서 우회전 → 대대삼거리에서 우 회전 → 약13.64㎞직진 후 → 대진중고등학교/화진포 방향, 오른쪽으로 진입(안내판) → 화진포해수욕장(주차장) |
32.60 |
33 |
23,200 |
5,710 |
화진포 |
※ 화진포해수욕장 주차장을 목적지로 함. |
↓ |
화진포해수욕장 주차장 → 대진중고등학교 지나서 7번국도 왼쪽 방향으로 진입 → 약 35.77㎞직진 → 진부령미술관 |
36.61 |
37 |
26,000 |
6,420 |
진부령미술관 |
|
|
약 103.15㎞ |
약 116분 |
약 75,100원 |
약 18,200원 | |
|
※ 상기 금액은 교통비이며, 교통 및 도로 사정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 상기 택시요금은 할증을 부과하지 않은 상태이며, 군 또는 시의 경계선을 넘는 경우 할증요금이 부과됩니다. ※ 해안도로 드라이브 코스안내는, 드라이브에 알맞게 정비된 국도를 기준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
2) 입장료 안내 |
|
역사안보전시관 이용요금 |
구분 |
어른 |
학생 |
어린이(7~12세) |
개인 |
2,000 |
1,500 |
1,500 |
단체 |
1,500 |
1,000 |
1,000 |
※ 단체 인원수는 30명부터. ※ 오전 09:00부터 관람 시작, 오후 04:30까지는 매표를 해야 관람이 가능함. | |
|
화진포 해양박물관 이용요금 |
구분 |
어른 |
학생 |
어린이(7~12세) |
개인 |
5,000 |
4,000 |
3,000 |
단체 |
4,000 |
3,000 |
2,000 |
※ 단체 인원수는 30명부터. ※ 65세 이상 노인은 어른 요금의 50%.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