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우공양의 의미와 예절
발우란 밥그릇을 말하는 것인데,
부처님 재세(在世) 당시부터
수행자들이 엄격히 지켰던 식사법에 사용되는 용기를 말합니다.
그릇 네 개를 가지런히 펼쳐놓고
숨소리도 크게 못내는 엄숙한 분위기 속에서
음식을 받아 씹는 소리는 물론이요
목을 통해 삼키는 소리조차 내지 않아야 하는 공양시간,
아마도 기억에 생생할 것입니다.
공양을 마친 후에도
일일이 발우를 닦아 마셔야 하는 그 물을
남김없이 마셔야 하는 고역,
더 나아가 그릇을 씻어 음식찌꺼기를 가라앉힌 후
윗부분의 맑은 부분을 청수통이란 그릇에 모아 담은 물이 조금이라도 뿌옇기만 하면
그것을 모든 대중이 다시 고루 나눠서 마셔야 하는
벌칙을 받을 때면
연신 구역질이 나오는 경험이 있었을 것입니다.
이처럼 발우공양은
그 과정이 매우 엄격하고 철저해서
그 자체가 수행의 한 과정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발우공양의 의미
발우공양의 의미는
공양을 시작하기에 앞서 외우는 각종 게송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공양을 할 때에는
먼저 부처님과 보살님, 그리고 삼보를 생각해야 합니다.
청정법신 비로자나불,
원만보신 노사나불,
천백억화신 석가모니불 등에
귀의하고 찬탄하는 마음을 갖는 것이지요.
그런 다음에는 발우를 두 손으로 받쳐들고
“공양을 받고 원하옵나니
모든 중생이
선(禪)의 기쁨으로 밥을 삼고
법(法)의 기쁨이 충만하여지이다”라는
게송을 읊습니다.
세 번째로
‘다섯 가지를 살펴 생각하는 게송’이 있는데
내용은
“이 공양이 오기까지 모든 이들의 노고를 생각하고,
내 덕행을 헤아려 바른 생각으로 이 몸 지탱하여,
불도를 이루기 위하여 이 공양을 받나이다”는 것입니다.
발우공양에 깃든 정신
흔히 발우공양 정신은 크게 다섯 가지로 나누어 설명되고 있습니다.
발우공양은 진리를 위한,
진리의 세계로 나아가기 위한 공양이므로
마치 부처님을 모시고
함께 공양을 하는 마음가짐으로
시종 경건하고 조심스럽게 진행해야 합니다.
따라서 평상복이 아닌
가사를 여법하게 수하고(스님의 경우),
나름대로의 서열 순에 따라
차례로 공양을 하는
엄격한 위계가 필수적인 것이지요.
다섯 가지 정신이란
평등,
청결,
절약,
공동(체),
복덕 공양을 말합니다.
평등공양은
모든 대중이 차별 없이 똑같이 나누어 먹는 정신이요,
청결공양은
철저히 위생적인 원칙를 말합니다.
절약공양은
음식찌꺼기 하나 버리지 않는 것이요,
공동공양은
화합과 단결을 높이는 대중공양을 말하며,
복덕공양은
한없이 큰 공덕을 성취하리라는 정신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카페 게시글
옥천 생활예절
발우공양의 의미와 예절
정혜스님
추천 0
조회 19
01.12.21 13:41
댓글 0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