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교육 참고문헌 정리_2012.8.31._또물또세종 한말글연구소
1. 누리집
national forensic league (http://www.nflonline.org)
international debate education association (http://www.idebate.org)
debate central (http://debate.uvm.edu)
전국독서새물결모임 (http://www.readingkorea.org)
한국소통학회 http://www.speechcom.or.kr)
한국디베이트코치협회(http://raypost.com/)
한국화법학회(http://www.koreaspeech.org/)
한국독서토론협회(http://cafe.daum.net/todayandnow)
2. 교과서
김광해ㆍ박호영ㆍ신명선(2003), <고등학교 화법>, 형설출판사.
김종택(1996), <고등학교 화법>, 동아서적.
이주행 외(2003), <고등학교 화법>, 금성출판사.
조규일ㆍ홍성암ㆍ조상기ㆍ박영순(1996), <고등학교 화법>, 천재교육.
3. 단행본
가톨릭대학교 교양교육원(2007). 문제 해결과 의사소통: 발표와 토론. 가톨릭대학교출판부.
강병재(2003). 토론학교. 여름언덕.
강태완 외(2002). 토론의 방법. 커뮤니케이션북스.
경상북도교육연수원(2011). (앞서가는 연수 변화하는 교육)토론·스피치 과정. 경상북도교육연수원.
김혜숙 외 6인(2011). (생각을 키우는)토론수업 레시피 = Discussion. 교육과학사.
민영욱(2003). 토론의 법칙. 가림출판사.
송창석(2011). 새로운 민주시민교육 방법: METAPLAN을 이용한 토론 토의 회의 진행법. 백산서당.
숙명여자대학교 의사소통능력개발센터(2006), 세상을 바꾸는 발표와 토론, 숙명여대 출판부.
에드워드 윌슨(2005)/최재천 옮김. 『통섭』. 서울 : 사이언스북스.
여희숙(2007), 토론하는 교실, 노브16.
유동걸(2012). 토론의 전사 1·2. 해냄에듀.
이상철․백미숙․정현숙(2006), 스피치와 토론,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이인제 외(2005), <국어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이정옥(2008), 토론의 전략: 합리적 의사소통을 위한 토론, 문학과지성사.
이주행 외(2004), <화법 교육의 이해>, 박이정.
이주행 외(2004), 화법 교육의 이해, 박이정.
이지성(2010). 『리딩으로 리드하라』. 서울 : 문학동네.
이창덕 외(2007), 삶과 화법, 박이정.
이창덕ㆍ임칠성ㆍ심영택ㆍ원진숙(2000), <삶과 화법>, 박이정.
임칠성ㆍ원진숙ㆍ심영택ㆍ이창덕(2004), <말꽝에서 말짱되기>, 태학사.
전남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 역(2008), 토론 수업을 위한 도구와 기법, Brookfield, S. D. & Preskill, S., Discussion As a Way of Teaching, 학이당.
전영우(2003). 토론을 잘하는 법. 거름.
정기철(2001). 논술교육과 토론. 역락.
정문성(2008), 토의 ․ 토론 수업방법 36, 교육과학사.
정문성(2011). 토의·토론 수업방법 46. 교육과학사.
조성민(2009). 논리와 토론. 논술교육과학사.
조슈아 박(2005). 『글로벌 인재, 토론이 답이다』. 서울 : 넥서스.
조슈아 박(2005). 글로벌 인재, 토론이 답이다. 넥서스.
존 미니․케이트 셔스터(2008)/허경호 옮김. 『모든 학문과 정치의 시작, 토론』.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천대윤(2004). 토의 토론 회의 방법론. 선학사.
최영신(2010). 최강 토론 달인 되기 1·2. 정인출판사.
케빈 리(2011). Debate : 대한민국 교육을 바꾼다. 디베이트 한겨레 출판.
프란스 요한슨(2005)/김종식 역. 『메디치 효과』. 서울 : 세종서적.
한상철(2006), 토론: 비판적 사고를 활용한 토론 분석과 응용, 커뮤니케이션북스.
허경호 역(2005), 정책토론의 방법, 에모리대학전국토론연구소, Policy debate manual, 커뮤니케이션북스.
Brendan M.Home & Jason Jarvis(2009). 『The High School Debate Primer』. 서울 : 이화여대출판부.
JAMES T.DILLON(1997)/김정효역. 토론학습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S. D. 브룩필드(2008)/전남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 역. 토론: 수업을 위한 도구와 기법. 학이당 .
4. 영화
덴젤 워싱턴(2007). 'The Great debaters'.
시드니 루멧(1957). 12 Angry man'
5. 학위 논문
계윤미(2012). (A)comparative study of argumentation structure between native and non-native speakers of English = 원어민과 비원어민의 토론담화 비교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선영(2012). 독서토론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의사소통 과정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수란(2012). 교육용 토론 용어의 사용 양상과 정립 방안.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슬옹(2011). 다목적 통합형 ‘또물또’ 발문 모형 설정론. <국어 교육> 134. 한국어교육학회. 303-332쪽.
김영남(2012). 토론 교육의 효과성 연구 : 중학교 소집단에 대한 참여 관찰 결과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서학위 논문.
김영숙(2012). 사회과 토론학습에서 성격유형별 소집단 구성방식이 중학생의 정치적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영임(2012). 정의윤리와 배려윤리의 통합을 위한 도덕과 토론수업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요한(2012). 조별 발표 토론 수업이 수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자희(2012).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토의·토론 활동에 대한 교사들의 지도실태 및 인식조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지현(2012). 토론 단원 교수·학습의 비판적 연구.
김현숙(2012). 고등학교 '화법과 작문 Ⅰ·Ⅱ' 교과서 분석 : 토론 단원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희성(2012). 토론식 수업을 통한 소설 교육 방안.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선희(2012). 듣기 능력 향상을 위한 찬반 토론식 수업 방안.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배성희(2012). 독서능력 향상을 위한 독서토론 모형 개발 및 적용.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오예영(2012). 초등 사회과 피라미드 토론 수업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윤희정(2012). 수학 수업에서 토의·토론의 학습효과 분석.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민주(2012). 중등교육에서 소집단 토론학습을 적용한 과학사에 관한 교수-학습지도안 개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지혜(2012). Analysis of language-related episodes in English group discussion = 영어 그룹토론 활동 내의 언어관련 에피소드 분석.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태성(2012). 의사소통 합리성에 근거한 사회과 토론 수업의 설계 및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임정호(2012). 팀 경쟁 토론 활동이 초등 영재의 리더십, 과학적 태도,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정미진(2012). 논쟁 토론 활동이 논술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조인경(2012). 감성적 합리성을 도입한 토론 교수·학습 방안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조헌국(2012). Factors in decision-making on socio-scientific issues based on the analysis of internet debate and classroom discussions = 과학 관련 사회적 쟁점을 다룬 인터넷 논쟁과 교실 토론에서의 의사결정 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최영인(2007), ‘토의 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6. 일반 논문
김광수(1991), 민주주의와 토론문화, 철학과 현실, 8, 철학문화연구소, 291-312.
김성희(2007), ‘토의 능력 신장을 위한 토의 교육 내용 연구’, <화법연구> 제11집, 한국화법학회.
박재현(2004), 한국의 토론문화와 토론교육, 국어교육학연구, 19, 국어교육학회, 289- 318.
박희숙(2007), ‘청자 반응 지도가 듣기 결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화법연구> 제10집, 한국화법학회.
서현석(2005), ‘학생 소집단 대화의 협이 양상’, <국어교육학연구> 제22집, 국어교육학회.
이두원(2006), CEDA 찬반 논쟁의 커뮤니케이션 전략 연구: 효과적인 입론, 교차조사, 반박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연구, 14,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90- 123.
임칠성(2008), ‘화법 교육과정의 담화 유형에 대한 범주적 접근’, <화법연구> 제12집, 한국화법학회.
정재찬ㆍ이성영ㆍ서혁ㆍ박수자(1998), ‘국어과 토의ㆍ토론 학습의 수업 모형 개발 연구(Ⅰ)’, <선청어문> 제26집, 서울대국어교육과.
첫댓글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대전대학교교육개발센터(2007). 발표와 토론. 주민출판사.
이창덕?임칠성?심영택?원진숙?박재현(2010). 화법교육론.역락.
스크랩해갑니다. 감사 거듭 감사드리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