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한글맞춤법과 표준어는 1988년 공포, 1989년 3월부터 시행하고 있는
표준어 규정에 의거한다.
표준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을 일컬으며 표준발음은
표준어의 실제 발음을 따르되 국어의 전통성과 합리성을 고려하여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표준발음은 각기 원칙이 정해져 있으나 예외의 경우도 많기 때문에 개별적으로 잘 익혀 두어야 한다.
1. 겹받침의 발음
넓다[널따] 여덟[여덜] 밟게[밥:께] 흙을[흘글] 맑다[막따] 밟고[밥:꼬] 밟소[밥:소] 흙과[흑꽈] 읊고[읍꼬] 늙지[늑찌] 맑게[말게] 묽고[물꼬] 얇다[얄:따] 핥다[할타] 읊다[읍따] 얇고[얄;꼬] 닭을[달글] 값을[갑쓸] 치읓을[치으슬] 얽거나[얼꺼나] 넓히다[널피다] 피읖이[피으비]
2. 연음
빛을[비츨] ×[비슬]. 빚을[비즐] ×[비슬]. 빗을[비슬] 꽃을[꼬츨] ×[꼬슬]. 부엌에[부어케] ×[부어게] 동녘에[동녀케] × [동녀게]. 값으로[갑쓰로] ×[가브로] 끝으로[끄트로] × [끄츠로]. 밤낮으로[밤나즈로] × [밤나스로]. 모래밭에[모래바테] × [모레바세].
무릎을[무르플] × [무르븝]. 닭을[달글] × [다글]. 흙을[흘글] × [흐글]. 활용[화룡] × [활룡]. 활약[화략] × [활략]. 촬영[촤령] × [촬령].
3. 받침이 뒷음절 첫소리와 결합될 때
옷 한벌[오탄벌] × [오단벌]. 낮한때[나탄때] × [나단때] 꽃 한송이[꼬탄송이] × [꼬단송이]. 숱하다[수타다] × [수다다].
4. 잘못된 된소리
전화번호[× 전화뻔호]. 것이[× 꺼시]. 솔바람[× 솔빠람]. 오늘도[× 오늘또]. 사랑방[× 사랑빵]. 진실된[× 진실뙨]. 우리 가운데[× 우리 까운데]. 고가도로[× 고까도로].
5. 잘못 발음하기 쉬운 자음동화
산마루[× 삼마루]. 선물[× 섬물]. 건강[×겅강]. 뱃길[×백낄]. 늦가을[× 늑까을]. 놓고[× 녹코]. 있고[× 익꼬]. 눈물[×눔물]. 안개[× 앙개]. 한강[× 항강]. 눈감으면[× 눙가므면]. 감기[× 강기].
6. 소리의 첨가
신여성[신녀성] × [시녀성]. 한여름[한녀름] × [하녀름]. 삯일[상닐] × [사길]. 홑이불[혼니불] × [호니불]. 맨밉[맨닙] × [매닙]. 내복약[내:봉냑] × [내:보갹]. 잘입다[잘립따] × [자랍따]. 설익다[설릭따] × [서릭따]. 눈요기[눈뇨기] × [누뇨기]. 스물여섯[스물려섯] × [스무려섯]. 유들-유들[유들류들] × [유드류들]. 남존여비[남존녀비] × [남조녀비]. 못이겨서[몬니겨서] × [모디겨서]. 납량[남냥] × [나뱡].
7. 양성모음, 음성모음
개, 게, 내가, 네가, 애비, 에미
8. 불필요한 추가
좋은[조은] × [조흔]. 낳은[나은] × [나흔].
9. 불필요한 삭제
지혜[× 지예]. 환희[× 화니]. 저희[× 저이] 정확한[× 정와칸]. 영원히[× 영:워니]. 말하는[× 마:라는]. 도저히[× 도:저이]. 토함산[× 토암산]. 대한민국[× 대한민국], [× 대:안민국], [○ 대:한민국].
10. 기타
희노애락[희로애락○]. 계곡[개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