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押韻과 平仄 A.압운 : 韻母가 같은 자끼리 詩行의 끝에 쓰는 것. a.絶句詩의 경우 : 1 , 2 , 4 행의 끝이나 또는2 , 4 행의 끝에 씀. b.律詩의 경우 : 1 , 2 , 4 , 6 , 8 행의 끝에 주로 쓰며, 때로는 1행의 끝에는 쓰지 않음. *押韻은 주로 평성이 많이 쓰였으나 仄聲도 때로 쓰였음. B.평측 : 平聲과 仄聲을 규칙적으로 배열하여 시의 音樂性을 높이려는데 그 목적을 둔 것. *평측의 표시를 앞으로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平聲 ○. 仄聲 ●. 平仄 兼用 ◐. 平韻 ◎. 仄韻 ⊙. a.五言詩의 경우 : 平起式, 仄起式 2가지 경우가 있음. ㄱ. 오언 절구 보기 :
平起式 : |
起句 ○○ ●●◎ (韻目이 仄聲일 때) ○●● |
|
承句 ◑● ●○◎ |
|
轉句 ◑● ○○● |
|
結句 ○○ ●●◎ | |
仄起式 : |
起句 ◐● ●○◎ (운목이 측성일 때) ○○● |
|
承句 ○○ ●●◎ |
|
轉句 ◐○ ○●● |
|
結句 ○○ ●●◎ | |
ㄴ.五言 律詩의 경우
平起式 : |
起聯 ○○ ●●◎ (운목이측성일 때)◐○ ○●●◐● ●○◎ |
|
함聯 ◐● ○○● ○○ ●●◎ |
|
頸聯 ◐○ ○●● ◐● ●○◎ (함련과 경련은 對句이어야 함) |
|
結聯 ◐● ○○● ○○ ●●◎ | |
仄起式 : |
起聯 ◐● ●○◎ (韻目이 仄聲일 때)○○● ○○ ●●◎ |
|
함聯 ◐○ ○●● ◐● ●○◎ |
|
頸聯 ◐● ○○● ○○ ●●◎ (함련과 경련은 對句이어야 함) |
|
結聯 ◐● ○●● ◐● ●○◎ | |
b. 七言詩의 경우 : 平起式 仄起式 2가지가 있음. ㄱ.七言 絶句의 보기
平起式 : |
起句 ◐○ ◐● ●○◎ (韻目이 仄聲일 때) ○○● |
|
承句 ◐● ○○ ●●◎ |
|
轉句 ◑● ◐○ ○●● |
|
結句 ◐○ ◐● ●○◎ | |
仄起式 : |
起句 ◐● ○○ ●●◎ (운목이 측성일 때) ◐○ ○●● |
|
承句 ◐○ ◐● ●○◎ |
|
轉句 ◐○ ◐● ○○● |
|
結句 ◐● ○○ ●●◎ | |
ㄴ.七言 律詩의 보기
平起式 : |
起聯 ◐○ ◐● ●○◎ (운목이측성일 때) ○○● ◐● ○○ ●●◎ |
|
함聯 ◐● ◐○ ○●● ◐○ ◐● ●○◎ |
|
頸聯 ◐○ ◐● ○○● ◐● ○○ ●●◎ (함련과 경련은 對句이어야 함) |
|
結聯 ◐● ◐○ ○●● ◐○ ◐● ●○◎ | |
仄起式 : |
起聯 ◐● ○○ ●●◎ (韻目이 仄聲일 때) ◐○ ○●● ◐○ ◐● ●○◎ |
|
함聯 ◐○ ◐● ○○● ◐● ○○ ●●◎ |
|
頸聯 ◐● ◐○ ○●● ◐○ ◐● ●○◎ (함련과 경련은 對句이어야 함) |
|
結聯 ◐○ ◐● ○○● ◐● ○○ ●●◎ | |
*지금까지 보여준 형식은 韻目이 平聲인 경우만 보인 것임. 만일 韻目 이 측성일 경우는 운목의 안짝이 평성이어야 하고 운목 앞의 한 글자 위가 평성이어야 함. E.평측에서 피하는 것 a. 下三連不許 : 시의 끝부분 3자가 연하여 平聲이든지 仄聲이면 안됨. 보기1. 고시중 삼연평인 경우 報得三春暉 ●● ○○○ 보기2. 고시중 삼연측인 경우 舟楫恐失墜 ○● ●●● 보기3.칠언율시중 삼연측인 경우 朝罷須裁五色詔.○● ○○ ●●● 보기4.칠언 고시중 삼연평인 경우 棗花未落桐陰長.●○ ●● ○○○ F.孤平不許 :칠언시의 4번째 자가 平聲이고 그 앞뒤의 자가 仄聲인 경우 또는 오언시에 2번째 글자가 平聲이고 그 앞 뒤 자가 仄聲인 경우 허리가 짤록한 벌과 같다하여 蜂腰라고 하며 이를 피함. 보기1. 오언 고시중 李白詩에 蜀僧 抱綠綺. ●○ ●●● 보기2. 칠언 고시의 경우 霖雨未晴水滿堤.○● ●○ ●●○ G.同字重出을 피함 보기1. 淸江 一曲 抱村流 長夏 江村 事事幽 a.'村' 자가 위와 같이 줄을 바꾸어 쓸 경우는 피함. b.'事事'와 같이 한 줄에 같은 자를 겹쳐 쓰거나 , '月白雪白天地白'과 같이 한 줄에 같은 자를 여러 개 쓰는 경우는 허용됨.
㉲.四聲表 또는 韻字表
㉳.近體詩 창작의 실제 - 中國 漢詩中에서-
A.五言 絶句 詩 <1>.送別 作者 王維
|
山中 相送罷 ○○ ○●● 日暮 掩柴扉 ●● ●○◎ 春草 明年綠 ○● ○○● 王孫 歸不歸 ○○ ○●◎
|
ㄱ. |
全詩 合律. 五言 絶句.
|
ㄴ. |
押韻 : 上平 微韻. 韻脚 : 扉, 歸
|
ㄷ. |
왕유 : (701-761) 唐 開元年間 사람. 안록산의 난리가 난 뒤 은거생활. 15세 시를 짓기 시작.'洛陽女兒行' 및 '九月九日憶山東 兄弟' 등의 시는 16세 및 17세시 작이라고 함. |
|
ㄹ. |
해설 : 산중에 있는 나는 그대를 보내고, 집으로 돌아와 사립문을 닫으니 날은 이미 저물었다. 봄풀이 내년 이맘 때 다시 푸르거든, 모르겠네. 王孫같이 귀하신 당신은 돌아올 것인지?
|
|
. <2>.雜詩. 작자 왕유 君自 故鄕來 ○● ●○○ 應知 故鄕事 ○○ ●○⊙ 來日 綺窓前 ○● ●○○ 寒梅 着花未 ○○ ●○⊙ ㄱ. 오언 절구. 1 3 兩句는 합률. 2, 4 양구는 모두 拗絶로 平仄이바뀌어 孤平이 되었음. ㄴ. 押韻 : 韻의 事자와 未韻의 未자를 通押. ㄷ. 同字 重出 : 故鄕. 來. ㄹ.解說 : 자네가 고향에서 왔으니 틀림없이 고향일을 알 것일세. 자네 오던 날 창문 앞에 寒梅가 피었든가? <3>.登 雀樓 작자 王之渙 白日 依山盡 ●● ○○● 黃河 入海流 ○○ ●●◎ 欲窮 千里目 ●○ ○●● 更上 一層樓 ●● ●○◎ ㄱ. 오언 절구. 전편 합률. ㄴ. 압운 : 下平 尤韻. 韻脚 : 流. 樓. ㄷ. 해설 : 태양은 산을 넘어가 날은 저물려 하고, 황하는 바다를 향하여 달려간다. 당신이 있는 천리 먼 곳을 다 바라보려고, 한층 위에 있는 누각을 다시 올라간다. ㄹ.王之渙 : (688-742) 당나라 晉陽 사람. <4>夜宿山寺 작자 李白 危樓 高百尺 手可 摘星辰 不感 高聲語 恐 天上人 ㄱ.형식 : 五言 絶句. 平起式 .전편 합률, 高자 중출. ㄴ.압운 : 上平聲 眞韻. 韻脚 : 辰, 人 ㄷ.작자 : 자는 太白. 唐나라 西 사람. 詩仙이라 일컬어짐. ㄹ.해설 :위태롭게 높이 솟은 누각이 백척이나 되니, 손으로 별이라도 만질 듯하구나. 느낀대로 소리높여 말하지 못하는 것은, 하늘에 있는 사람을 놀라게 할까 두려워서일세.
B.五言 律詩 <1>.新年作 작자 : 劉長卿 鄕心 新歲切 天畔 獨 然 ○○ ○●● ○● ●○◎ 老至 居人下 春歸 在客先 ●● ○○● ○○ ●●◎ 嶺猿 同旦暮 江柳 共風煙 ○○ ○●● ○● ●○◎ 已似 長沙傅 從今 又幾年 ●● ○○● ○○ ●●◎ ㄱ.이시는 모범적인 운율임. 은 通高低. ㄴ. 압운 : 下平 先韻. 韻脚 : 然.先.煙,年 ㄷ. 劉長卿 :당나라 開元 年間 사람. 隨州刺史 역임. ㄹ.해설 : 새해 들자 고향생각 더욱 절실하여 하늘가를 바라보며 홀로 눈물 흘리네. 나이는 늙었으나 남의 밑에 있는 처지이고, 봄이 돌아왔지만 나그네 생활로 남아 있어야 하네. 저 산 위에 있는 원숭이와 아침저녁으로 벗하고, 강가의 버드나무와 함께 봄바람을 맞이한다. 나는 이미 옛날 한나라의 長沙王 賈太傅처럼 오랜 세월 지방의 작은 벼슬로 지나는 나그네의 신세인걸, 지금부터 몇 년 뒤에나 고향에 돌아갈 것인가? ㅁ. 聯과 頸聯의 對句도 잘 되어 있음. <2>旅夜書懷 作者 杜甫 細草 微風岸 危檣 獨夜舟 星垂 平野闊 月湧 大江流 < 聯 對句> 名豈 文章著 官因 老病休 <頸聯 對句> 瓢瓢 何所似 天地 一沙鷗 ㄱ.형식 : 仄起式 오언 율시. 평측이 모범적으로 맞음. ㄴ.압운 : 下平聲 尤韻. 舟,流,休,鷗 ㄷ.杜甫 : 자는 子美. 당나라 天寶 말년의 시인. 檢校工部員外郞의 직책을 가졌음. 詩聖이라고 일컬음. 54세 때 지은 시. 직책에서 물러난 뒤에 가족을 데리고 成都草堂으로 갈 때 지음. ㄹ.해설 : 강 언덕에는 미풍에 따라 가는 풀이 휩쓸리는데, 텅 빈 밤하늘을 바라보며 홀로 강물 따라 배를 저어간다. 별이 쏟아지는 평야는 넓기도 하고, 달이 용솟음 치듯 하는 큰 강물은 도도히 흐른다. 문장이 뛰어나다 고 이름까지 드러날 것인가? 벼슬은 늙어가는 병으로 물러났는 걸. 외롭고 쓸쓸함이 꼭 무엇과 같을까? 마치 저 강가 모래 위에 앉은 한 마리 갈매기 같구려. <3>山居秋暝 작자 王維 空山 新雨後 天氣 晩來秋 明月 松間照 淸泉 石上流 竹暄 歸浣女 蓮動 下魚舟 隨意 春芳歇 王孫 自可留 ㄱ.형식 : 오언 율시. 평기식. 전시 합률. ㄴ.압운 : 하평성 尤韻. 韻脚 :秋,流,舟,留 ㄷ.해설 :텅 비었던 산 비온 뒤에 드디어 가을이 왔네. 밝은 달은 소나무사이에 스며들고, 맑은 샘물은 돌틈에서 흘러나온다. 대나무가 버스럭 거리니 빨래하는 여자가 돌아가고, 연잎이 움직이더니 고깃배가 지나간다. 봄 뜻 따라 노닐던 사람, 봄 향기는 끝났지만, 아무리 지위 높은 그대이지만 이 가을의 풍경에도 머무를 만하여라.
C.七言 絶句 <1>桃花谿 작자 張旭 隱隱 飛橋 隔野煙 石磯 西畔 問漁船 ●● ○○ ●●◎ ●○ ○● ●○◎ 桃花 盡日 隨流水 洞在 淸谿 何處邊 ○○ ●● ○○● ●● ○○ ○●◎ ㄱ.형식 : 仄起式 合律 ㄴ.압운 : 上平聲 眞韻. 韻脚 煙, 船, 邊 ㄷ.작자 : 자는 伯高.당나라 시대 蘇州人. 초서로 유명. ㄹ.해설 : 나는 듯한 시내 다리가 아지랑이 속에 은은히 가렸는데, 바윗돌 서쪽 언덕에 서서 고깃배를 보고 묻노라. 저 복숭아꽃이 온종일 물위에 떠서 내려오는데, 그 복숭아꽃 마을이 도대체 이 시내의 어디쯤 있답디까? <2>.春怨 작자 : 劉方平 紗窓 日落 漸黃昏 金屋 無人 見淚痕 寂寞 空庭 春欲晩 梨花 滿地 不開門 ㄱ.형식 : 平起式 합률. ㄴ.압운 : 上平聲 元韻. 韻脚 : 昏,痕,門 ㄷ. 작자 : 당나라 河南 사람. <唐才子傳>에 劉先生으로 일컬었음. ㄹ.해설 : 서쪽에 지는 해가 비단을 입힌 창문에 비치니 날이 저물어 감을 알겠는데, 이 화려한 집안에 임이 없으니 눈물만 볼을 적신다. 쓸쓸한 빈 뜰에는 봄도 늦어, 배 꽃이 땅에 가득 떨어졌는데도 문 한번 열어 보지 않는구나. ㅁ.시의 배경 : 金屋은 임금이 거처하는 궁궐을 표현하는 말로, 白樂天의<長恨歌>에도 나온다. 이것으로 보아 이글의 주인공은 궁전의 妃嬪을 지적하는 듯하다. <3>早發白帝城 작자 李白 早辭 白帝 彩雲間 千里 江陵 一日還 兩岸 猿聲 啼不住 輕舟 已過 萬重山 ㄱ.형식 : 平起式 전시 합률 ㄴ.압운 : 상평성 刪韻. 韻脚 間,還,山 ㄷ.해설 : 아침에 채색 구름으로 둘러싸인 높은 백제성에서 출발하여 천리먼길 강릉까지를 단 하루만에 돌아갔네. 양쪽 강 언덕에는 원숭이들이 나와의 이별을 슬퍼하듯이 울어대는데, 내가 탄 조그마한 배는 이미 만 겹으로 둘러싸인 산을 벗어나 버렸네. ㄹ.작품 배경 : 이백이 유배되어 夜郞이라는 곳으로 가는 도중에 백제성에 이러러 赦免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급히 강릉으로 돌아가면서 지은 시. <4> 登冠嶽山 2000.4.22.(日曜日) 작자 : 웹지기 拙作 冠嶽 靈峯 秀衆山 群紅 嫩綠 繡巖間 ○● ○○ ●●◎ ○○ ●● ●○◎ 時時 好鳥 啼相喚 緩步 尋眞 却忘還 ○○ ●● ○○● ●● ○○ ●●◎ ㄱ.形式 : 仄起式 七言絶句. 全體 合律 ㄴ.韻目 : 上平聲 刪韻. 韻脚 山,間,還 ㄷ.해설 :관악산 신령스러운 봉우리, 많은 산들 중에 빼어났는데, 지려는 꽃들과 피어나는 잎들은 바위들 사이에서 수를 놓은 듯하네. 때때로 아름다운 새들은 지저귀며 서로 짝을 부르는데, 나는 천천히 걸으며 참된 경치를 찾느라고 집에 돌아 오는 것을 잊어 버렸네.
E.七言 律詩 <1>,登高 作者 : 杜甫 風急 天高 猿嘯哀 渚淸 沙白 鳥飛廻 無邊 落木 蕭蕭下 不盡 長江 滾滾來 萬里 悲秋 常作客 百年 多病 獨登臺 艱難 苦恨 繁霜 倒 新停 濁酒杯 ㄱ.形式 : 全詩 合律. 仄起式. 全體 對句 ㄴ.押韻 : 上平聲 灰韻. 韻脚 哀,廻,來,臺,杯 ㄷ.解說 : 바람은 거세 지고 하늘은 높아 가는 계절에 원숭이의 휘파람도 슬픔을 호소하는 듯한데, 모래가 흰 깨끗한 물가에는 새만 날아 돌아온다. 끝없이 떨어지는 나뭇잎들은 쓸쓸히 흩날리고, 한없이 흐르는 강물은 계속하여 달려오는구나. 고향과 멀리 떨어진 나그네 신세로 가을을 맞이하니 슬퍼지기 만 하고, 게다가 많은 병에 시달리는 이 몸은 홀로 樓臺에 올랐다. 오늘날 시국도 어려운데 귀밑머리가 요란스럽게 희어지는 것이 너무 한스럽고, 곤궁한 신세에다가 병든 몸에 탁주 한잔 손에 들고 마시지 못하네. <2>蜀相 작자 : 杜甫 丞相 祠堂 何處尋 錦官 城外 柏森森 映 碧草 自春色 隔葉 黃 空好音 三顧 頻煩 天下計 兩朝 開濟 老臣心 出師 未捷 身先死 長使 英雄 淚滿襟 ㄱ. 형식 : 仄起式. 聯 孤平 拗救(出句.內句)의 5.6째字는 仄 平으로 平仄이 순서가 바뀌어 있어나 對句의 5째 자가 본래 仄聲이라야 하는데 平聲이되어 서로 보충해 주었음. 相자는 여기서 仄聲임. ㄴ.押韻 : 下平聲 侵韻. 尋,森,音,心,襟 ㄷ.해설 : 승상인 제갈량의 사당은 어디 있는가 금관성 밖에 잣나무가 울창한 곳에 있지. 사당 앞 층계에 비쳐있는 푸른 풀은 봄빛을 띄었고, 나뭇잎에 가려 보이지는 않지만 경쾌히 들려오는 꾀꼬리 소리는 봄을 맞이한 기쁨을 노래하는구나. 3번씩이나 초가집을 찾아본 劉備의 심정은 천하를 위함 이었고, 先主와 後主 두 임금을 섬기며 천하를 보좌하여 나라를 일으키려고 한 것은 老臣인 제갈량의 마음이다. 적을 소멸하려고 나갔으나 이기지 못하고 오장원에서 먼저 죽게 되니, 영원히 영웅을 그리는 사람으로 하여금 눈물을 흘리게 한다. <3>.登金陵鳳凰臺 作者 李白 鳳凰 臺上 鳳凰遊 鳳去 臺空 江自流 吳宮 花草 埋幽徑 晉代 衣冠 成古丘 三山 半落 靑天外 二水 中分 白鷺洲 總爲 浮雲 能蔽日 長安 不見 使人愁 ㄱ.형식 : 聯 平仄이 起聯의 평측과 순서가 같은데 이것을 拗對 또는 拗이라고도 함. 平起式 同字 重疊. ㄴ.押韻 : 下平聲 尤韻. 韻脚 遊,流,丘,洲,愁 ㄷ.작자 : 자는 太白. 唐나라 西 사람. 詩仙이라 일컬어짐. ㄹ.해설 :봉황대에는 일찍이 봉황이 와서 모였었는데, 이제 와서 보니 봉황은 가고 누각만 남았는데 그 밑에 강물만 흘러간다. 옛날 삼국시대의 吳나라 궁궐에 피었던 화초밭은 황폐하여 작은 길로 변했고, 역시 번화하였던 晉나라 衣冠과 문물들은 묵은 무덤 터로 변해버렸다. 南京 長江가의 三峯의 산은 하늘 높이 솟아 있어서 흐릿해 보이고, 長江이 흘러오다가 白鷺洲라는 섬을 만든 뒤에 그 섬을 둘러싸고 물줄기가 갈라져 있다. 저 하늘의 태양이 뜬구름에 자주 가리듯 간신들의 陰謀가 임금의 총명을 가릴까 두려운데, 임금 계신 長安이 안 보이니 내 마음 근심스러워진다. ㅁ.낱말 풀이 a.봉황대 : 금릉 곧 南京 봉황산에 옛터가 있음. b.浮雲蔽日: 浮雲은 간신을 폐일은 임금의 총명을 가림을 뜻함. c.장안 : 당나라 都城. <4>新年有感 웹지기拙作(1999.2.28. 觀水會) 山溪 氷解 水聲佳 乃覺 東君 御市街 北壁 煙塵 寒望眼 南江 雲霧 起愁懷 恢恢 天網 誰能脫 屑屑 人心 自不偕 交契 今年 從此始 以祈 斯會 與時諧 ㄱ.형식: 平起式. 七言 律詩 ㄴ.押韻:上平聲 佳韻. 韻脚:佳,街,懷,偕,諧 ㄷ.作品 背景: 지난회 牛耳洞 韓美莊에서 詩會인 觀水會를 열 때 지은 것임. ㄹ.解說 : 산속의 개울에 얼음이 녹으니 흐르는 물소리 아름다움을 느끼며, 마침내 봄을 맡은 귀신이 이 도시에도 내린 것을 깨닫겠구나. 북쪽 절벽 곧 北韓지방에는 연기와 티끌 곧 전쟁의 砲煙이 바라보는 눈을 시리게 하고, 남쪽 강물의 구름과 안개 곧 IMF의 國難이 근심스러운 懷抱를 일으킨다. 넓고넓은 하늘의 법칙을 누가 능히 벗어날 것인가, 갈래갈래 찢어진 사람의 마음도 합쳐지지 못하는 것을. 올해의 우리 모임은 이번이 처음인데, 우리의 이 모임, 오늘 날의 시대와 함께 올 한해, 화평하기 바란다.
2.한시사랑 http://cafe.daum.net/hansisarang
고, 측성이면 仄起式이라고 합니다. 왜 하필 두번째 글자로 이를 구분하는가 하는 것은 뒤에서 설명.
위에서 예를 든 것은 두번째 글자가 평성이므로 평기식입니다. 그럼 측기식의 예를 들어보면,
仄仄/平平/仄 (不入韻式)
이와 같이 됩니다. 그럼 入韻式은 어떤 것인가 하면,
仄仄/仄平/平 (入韻式)
이와 같이 됩니다. 3번째 글자와 5번째 글자의 평측은 달라야 하기 때문에, 3번째 글자가의 평측이 바뀌게 됩니다.
5언절구는 측기식이 正格이며, 不入韻式이 대다수입니다. 여기서 正格이라고 한 것은 그것이 우월하다는 뜻이 아니라, 다만, 古人들이 평기식보다는 측기식을 많이 지었기 때문입니다.
이제 두번째 句로 넘어갑시다. 두번째 句에서는 평측이 뒤바뀝니다.
(1) 평평/평측/측 (平起式/不入韻式) (2) 측측/측평/평
이와 같이 됩니다. (1)의 3번째 글자가 평성인 것과 (2)의 3번째 글자가 측성이 된 것은 5번째 글자의 평측과 달라야 하기 때문에 바뀐 것입니다.
(1) 평평/측측/평 (平起式/入韻式) (2) 측측/측평/평
仄起式은 혼자 해보세요. 외울 필요가 전혀 없습니다. 그냥 평측만 2글자씩 번갈아 배치하면 됩니다. 그리고 3번째와 5번째 글자는 평측이 달라야 합니다.
3번째 구는 2번째 구와 粘(점)을 이루어야 합니다. 즉, 짝수구의 평측이 같아야 합니다.
(1) 평평/측측/평 (平起式/入韻式) (2) 측측/측평/평 (3) 측측/평평/측
즉, (2)와 (3)의 짝수구의 평측이 동일해야 합니다.
(4)는 당연히 아래와 같이 되어야겠죠.
(4) 평평/측측/평
------------------------------------ 지금까지는 정격의 운율을 다룬 것이고, 이를 다 지키기는 어렵기 때문에 몇가지 허용사항을 두고 있습니다.
■ 一三五不論, 二四六分明. ■ (오언시는 1.3/ 2.4만 해당)
즉, 1.3.5의 평측은 논하지 않고, 2.4.6의 평측만 분명히 한다는 뜻인데, 2.4.6은 의미가 분절되는 지점이고 평측이 바뀌는 지점이기 때문에 반드시 평측을 따라야 합니다. 5언시의 경우에는 1.3은 평측을 따지지 않고, 2.4만 분명히 하고, 5번째 글자는 운을 맞추는 자리이기 때문에 논할 필요가 없습니다. 韻은 거의 대부분은 평성으로만 맞춥니다. 지금까지의 논의도 韻字는 평성을 기준으로 하여 논한 것입니다. 측성을 韻字로 할 수도 있으나, 이는 거의 드문 경우입니다.
위와 같은 허용사항을 두되, 다음과 같은 제약조건이 있습니다.
■孤平不許■
5언시의 2번째 글자, 7언시의 4번째 글자가 평성인 경우 그 좌우의 글자가 측성으로 둘려 싸이면 안됩니다.
(1) 측평측측평 (평기식/입운식)
위에서 1번째 글자는 원래 평성이어야 하나, 1.3.5불론에 따라 논하지 않고 측성으로 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이때 2번째 글자가 평성인데, 그 좌우의 글자가 모두 측성으로 둘려져 있어 평성이 외롭게 되버립니다. 이를 孤平이라 하는데, 이는 피해야 합니다. 즉, 1번째 글자를 평성으로 하던가, 3번째 글자를 평성으로 하던가 해서, 고평을 피해야 합니다. 이때는 3번째 글자와 5번째 글자의 평측이 같아도 상관없습니다. 위에서는 정격을 논한 것이고, 여기서는 변칙을 논하는 것이므로 별개의 것입니다.
■ 下三平, 下三仄 ■
이것 역시 1.3.5불론을 적용할 때 피해야 할 사항입니다. 5언시나 7언시의 마지막 세글자가 연달아 평성이거나 연달아 측성이면 안됩니다. 운율이 단조로와지기 때문입니다.
(1) 평평측측측 (평기식/불입운식)
아래 세글자가 연달아 측성이므로 피해야 합니다.
---------------- 맨 처음에 설명한 정격에 따라 시를 지으면 고평이니, 하삼평이니 이를 고려할 필요도 없습니다. 고평과 하삼평 등의 제약조건은 단지 1.3.5불론/2.4.6분명이라는 허용사항을 적용할 때에만 적용되는 제약조건입니다.
7언시는 5언시를 연장해서 생각하면 됩니다.
-청련거사-
3.근체시의 형식.당시개요-안병국
http://course.knou.ac.kr/%EC%95%88%EB%B3%91%EA%B5%AD/index.html 안병국
近體詩의 形式 |
|
oo중국어에 사성이 있는 것을 착안하여 사성(四聲)의 안배에 의해 시문의 성조(聲調)를 조정하는 것이 제,량 무렵 부터 강구되었다. 특히 양의 심약(沈約)은 팔병설(八病說)을 내세워 오언시를 지을 때 성률면에서 피해야만 하는 8가지를 아래와 같이 정리하였다.
· 평두(平頭) |
한 연 가운데 상구(上句)의 첫 2자와 아랫 구의 2자가 같은 성조가 되는 것. |
· 상미(上尾) |
같은 상구의 끝 2자와 하구(下句)의 끝 2자가 같은 성조 가 되는 것. |
· 학슬(鶴膝) |
첫째 구의 끝자(다섯번째 글자)와 세번째 구의 끝자(15 번째 글자)가 같은 성조가 되는 것. |
· 봉요(蜂腰) |
5언구의 두번째 글자와 다섯번째 글자가 같은 성조가 되는 것. |
· 대운(大韻) |
오언시 열번째 글자에 압운할 때, 다른 아홉자 가운데 같은 성조를 사용하는 것. |
· 소운(小韻) |
운각인 글자를 제외하고,아홉자 가운데 다른 동운(同韻) 의 자를 2개 사용하는 것. |
· 정뉴(正紐) |
한 구 가운데 이성동음(異聲同音)을 사용하는 것. |
· 방뉴(旁紐) |
한 구 가운데 쌍성(雙聲)을 이루는 글자를 사용하는 것. (그러나 연속해서 쌍성을 이루는 것은 무방하나, 글자를 띠어서 쌍성을 이루는 것을 금한다) |
oo이상의 팔병설은 처음 사용할 때 다양한 시도가 있었고, 당에 들어와 고정되기 시작하여 진자앙,두심언,심전기,송지문에 이르러 평측의 법칙이 확립되었다. 시의 형식은 오언율시에 있어서 측기(仄起)(두번째 글자가 仄字로 된 것)를 정격(正格)으로 하는데, 그 평측의 형식은 아래와 같다.
◈ 五言仄起(正格) |
◈ 五言平起(偏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尾 聯 |
頸 聯 |
聯 |
首 聯 |
|
|
|
|
|
|
|
|
天 |
飄 |
官 |
名 |
月 |
星 |
危 |
細 |
地 |
飄 |
應 |
豈 |
湧 |
垂 |
檣 |
草 |
一 |
何 |
老 |
文 |
大 |
平 |
獨 |
微 |
沙 |
所 |
病 |
章 |
江 |
野 |
夜 |
風 |
鷗 |
似 |
休 |
著 |
流 |
闊 |
舟 |
岸 |
(平聲尤韻)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尾 聯 |
頸 聯 |
聯 |
首 聯 |
|
|
|
|
|
|
|
|
漁 |
君 |
山 |
松 |
空 |
自 |
萬 |
晩 |
歌 |
問 |
月 |
風 |
知 |
顧 |
事 |
年 |
入 |
窮 |
照 |
吹 |
返 |
無 |
不 |
惟 |
浦 |
通 |
彈 |
解 |
舊 |
長 |
關 |
好 |
深 |
理 |
琴 |
帶 |
林 |
策 |
心 |
靜 |
(平聲侵韻) | | |
◈ 七言平起(正格) |
◈ 七言仄起(偏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尾 聯 |
頸 聯 |
聯 |
首 聯 |
|
|
|
|
|
|
|
|
分 |
千 |
環 |
畵 |
獨 |
一 |
生 |
群 |
明 |
載 |
|
圖 |
留 |
去 |
長 |
山 |
怨 |
琵 |
空 |
省 |
書 |
紫 |
明 |
萬 |
恨 |
琶 |
歸 |
識 |
塚 |
臺 |
妃 |
壑 |
曲 |
作 |
月 |
春 |
向 |
連 |
尙 |
赴 |
中 |
胡 |
夜 |
風 |
黃 |
朔 |
有 |
荊 |
論 |
語 |
魂 |
面 |
昏 |
漢 |
村 |
門 |
(平聲元韻) |
(이 경우도 첫째구를 압운하지 않으면 ○○●●○○●이 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尾 聯 |
頸 聯 |
聯 |
首 聯 |
|
|
|
|
|
|
|
|
|
艱 |
百 |
萬 |
不 |
無 |
渚 |
風 |
倒 |
難 |
年 |
里 |
盡 |
邊 |
淸 |
急 |
新 |
苦 |
多 |
悲 |
長 |
落 |
沙 |
天 |
停 |
恨 |
病 |
秋 |
江 |
木 |
白 |
高 |
濁 |
繁 |
獨 |
常 |
滾 |
蕭 |
鳥 |
猿 |
酒 |
霜 |
登 |
作 |
滾 |
蕭 |
飛 |
嘯 |
杯 |
|
臺 |
客 |
來 |
下 |
廻 |
哀 |
(平聲灰韻) |
(첫번째 구를 압운하지 않으면 ●●○○○●●이 된다 ) | | |
|
|
oo이러한 형식의 평측은 '二四不同' 과 '二六對'가 되는 것과 두 번째 구 두 번째 자의 평측을 다음 연의 첫 째구 두 번째 자와 중복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粘法) oo오언의 세 번째 자에 따라 아래에 운을 따르지 않을 때에는 평운(平韻)을, 따를 때에는 측운(仄韻)으로 하는 것이 상례이다. 오언은 위 2자와 아래 3자, 칠언은 위 2 2 와 아래 3으로 끊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아래 세 글자의 첫 번째 글자와 구의 끝자가 서로 반대가 되는 것이 보통이지만 반드시 이러한 법칙이 지켜지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도식에 따르지 않는 것을 요체(拗體)라고 말하는데, 시인에 따라서는 이러한 요체를 즐겨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oo율시에 있어서는 대우(對偶)가 가장 중요한데, 가운데 2연(함련(
聯)과 경련(頸聯),또는 전련(前聯)과 후련(後聯)이라고도 말한다)에 반드시 대우를 사용한다. (단 수련(首聯)에 대우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배율은 이러한 대우를 몇 연 중복해 가는 형식을 취한다. 율시의 평측 법칙이 5,7언 4구의 절구(絶句)에도 사용되었다. 절구는 율시를 반으로 절단한 것으로 말하는 설도 있지만 이는 잘못된 것으로, 실은 한,위,육조의 소악부(小樂府)(민간에서 노래되던 짧은 시형의 노래)에서 생겨난 것이다. 처음에는 민간 가요로 출발하여 왕왕 수수께끼의 문사를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남조(南朝)의 <子夜歌>,<讀曲歌>와 같은 염정적인 가요도 모두 4구의 단시로 되어 있었다. oo당에 들어와 심전기와 송지문 이전에 초당사걸이 많은 절구의 작품을 남기고 있다. 가령 왕발의 <蜀中九日>시는 그 대표적인 작품인데, 다만 왕발의 절구는 4구 모두 대구를 사용하고 있는 점으로 미루어 초당까지는 아직 고시,율시,절구의 구별이 명확하지 않았던 것으로 짐작된다. 한편 성당의 시인들은 절구를 지을 때 대구를 사용하지 않고 산체(散體)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어서 절구의 평측은 율시의 전반구와 차이가 없었다.
仄起(정격) 平韻
◑ ◐ ◐ ◑ 更 欲 黃 白 ● ○ ○ ● 上 窮 河 日 ● ○ ◑ ○ 一 千 入 依 ○ ● ● ○ 層 里 海 山 ◎ ● ◎ ● 樓 目 流 盡 (平聲尤韻)
平起(편격)
◐ ◑ ◐ ◐ 高 可 春 出 ○ ● ● ○ 陽 歎 色 門 ◑ ○ ● ○ 一 無 滿 無 ● ○ ○ ● 酒 知 平 所 ◎ ● ◎ ● 徒 己 蕪 見 (平聲虞韻)
5언 절구에는 측운을 사용하는 경우가 적지 않은데, 그 때에는 세번째 구의 끝에 평성을 사용한다.
칠언절구 平起(정격)
◐ ◑ ◑ ◐ 悔 忽 春 閨 ○ ● ● ○ 敎 見 日 中 ◑ ◐ ◐ ◑ 夫 陌 凝 少 ● ○ ○ ● 壻 頭 粧 婦 ● ○ ◑ ● 覓 楊 上 不 ○ ● ● ○ 封 柳 翠 知 ◎ ● ◎ ◎ 侯 色 樓 愁 (平聲尤韻)
仄起(편격)
◑ ◐ ◐ ◑ 一 洛 平 寒 ● ○ ○ ● 片 陽 明 雨 ◐ ◑ ◑ ◐ 氷 親 送 連 ○ ● ● ○ 心 友 客 江 ◑ ○ ● ◑ 在 如 楚 夜 ● ○ ○ ● 玉 相 山 入 ◎ ● ◎ ◎ 壺 問 孤 吳 (平聲虞韻)
oo절구에 있어서도 '二四不同'(두번째 자와 네번째 자의 평측이 달라야 한다),'二六對'(두번째 자와 여섯번째 자의 평측이 반대가 되어야 한다), '孤平'(仄字의 사이에 平字가 한 개 끼이게 되는 것),'下三連'(아래 세 글자가 모두 평운 내지는 측운이 되는 것)을 금하고 있는 것은 동일하다. 압운에 있어서 율시나 절구 모두 5언의 첫번 째 글자는 압운하지 않으나 칠언의 경우는 첫구도 압운하는 것이 보통이다. oo그러면 운서(韻書)의 편찬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겠다. 수(隋)의 육법언(陸法言)이 먼저 절운(切韻)을 편찬하였는데, 당 천보 말년에 손면(
)이 당운(唐韻)을 편찬하면서 완전히 육운(陸韻)에 의거하였다. 송에 이르러 당운을 수정한 광운(廣韻)이 편찬되었지만 같은 206운으로 분류하고 있다. 송의 경우(景祐) 년간에 예부운략(禮部韻略)이 출간되어 고운(古韻)의 통용을 논하였고, 금대(金代)에 평수(平水)의 왕문욱(王文郁)이 그 통용을 합쳐서 107부로 정리하였고, 남송(南宋)의 류연(劉淵)이 이것을 계승하여 임자예부운략(壬子禮部韻略)이라는 이름으로 출간하였는데, 이것이 오늘날 전하는 평수운(平水韻)이다. 원대(元代)에 이르러 음시부(陰時夫)가 평수운(平水韻)을 다시 운부군옥백육운(韻府群玉百六韻)이라는 이름으로 고치니 이것이 후일 시운(詩韻)의 모범이 되었다.(당에는 206운의 통용을 허용하였다) oo이상과 같이 하여 율시와 절구의 근체 형식이 확립되었다. 율시와 장율은 원래 궁정문학으로 생겨난 것이고, 절구는 민간가요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 어떤 때에는 시인이 민간 가요의 곡에 맞추어 시를 짓고, 어떤 때에는 시인이 지은 절구가 민간의 곡에 맞추어 노래되기도 하였다. 따라서 율시와 절구는 그 발생의 기반이 다른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겠다. oo그러나 이러한 근체의 성률에 구속되는 것을 피하고, 자유스러운 표현을 추구한 시인들도 있었다. 근체의 형식에 따르지 않는 것을 고시(古詩)라고 말한다. 이백과 같은 사람은 오히려 이러한 고시의 창작을 통하여 놀랄만한 재주를 보여준 대표적인 인물이라고 하겠다. 이 고시의 평측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율법(律法)을 따르지 않고 근체의 법에서 벗어난 것으로 정의해도 좋을 것이다. 따라서 근체(近體) 성립 이전의 한, 위, 초당의 시는 물론 금일의 시 가운데 근체의 법칙에 따르지 않는 시는 모두 고시라고 부를 수 있겠다.
중국 당시 개요
1) 서설
위진남북조의 분열상태는 隋文除(수문제)에 의해 통일 되었으나 隋(수)는 煬帝(양제)의 실정으로 인하여 30년도 존속하지 못하고 다시 唐(당) 의해 멸망당한다. 중국을 통일한 당 왕조는 체재를 정비하여 민생안정을 위한 정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정치적인 안정을 이룩하게 된다. 특히 太宗(태종) 貞觀(정관) 연간(627-649)에서 玄宗(현종) 開元(개원)연간(713-741)에 걸치는 시기에는 경제력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문물제도가 완비되었다. 그리고 이처럼 사회가 안정됨과 아울러 文宗(문종).高宗(고종).則天武后(측천무후).玄宗(현종)등이 문학을 애호하고 科擧(과거)에 詩賦(시부)로 取士(취사)함으로 인해 문사들이 문학 창작에 열중하여 문학발전에 일대 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天寶(천보) 연간(742-755)부터 드러나기 시작한 정치적인 혼란은 결국 安史(안사)의 난을 초래하고 이후 당 제국은 쇠망의 길을 걷게 된다. oo당 문학은 한 이래의 문학이 점차로 변화 발전하여 정점에 달했던 시기라고 하겠는데, 이 가운데 가장 뛰어난 성과를 보여주었던 문학 장르는 말할 필요도 없이 시에 있었다. 전통적으로 한문(漢文). 당시(唐詩). 송사(宋詞). 원곡(元曲)으로 불리우고 있는 것처럼 당의 문학를 시가 대표한다는 데는 이견이 없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국문학의 정화는 시라고 할 수 있겠는데, 중국의 역대 시 가운데 육조시의 기려함, 송시의 청신함, 청시의 근대적 감각이 각각 특색이 있지만 당 시인들의 숲에서 울려나는 자연의 소리를 듣노라면 저절로 찬탄이 터져나오게 된다. 시는 우선 양적으로 놀랄 만큼 발전하였다. 당시를 수록하고 있는 <全唐詩>에 의거하더라도 시인의 수가 2,200여 명이고, 수록된 시가 48,900여 수나 된다. 이는 당 이전의 것을 모두 합친 것보다도 많은 양이니 당대에 시가 얼마나 급격히 발전했는지를 이것만 보아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2) 당시 발전 요인
oo당시가 이처럼 발전할 수 있었던 주요한 원인으로 다음과 같은 네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로 당대에는 시에 있어서 풍부한 유산을 임 전대로부터 물려받았으며, 둘째로 황제들이 모두 시를 짓거나 읽기를 좋아하고 문인들의 詩作(시작)을 격려하여 시 창작에 유리한 분위기가 조성되었으며, 셋째로 詩賦(시부)로 取士(취사)하는 과거제도가 많은 사람들이 시를 존중하게 하였고, 경제적인 번영과 교육의 보급 및 가무와 음악의 성행 등은 시의 일반화를 촉진 시켰으며 끝으로 안사의 란 이후 전쟁으로 인한 참혹한 사회상은 시인들로 하여금 깊은 자각을 하게 하였다.
3) 당시 2期 구분론
oo당 문학은 천보(天寶)와 안사(安史)의 난을 정점으로 하여 두 시기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겠다. 전기는 당 건설로부터 태종(太宗)의 정관지치(貞觀之治)에 의해서 국력을 충실히 쌓아가면서 변방으로 세력을 확대하여 대당제국의 활기 있는 국력과 문화를 쌓아올린 시기에 해당한다. 시인들은 초당(初唐)에서부터 고종(高宗)과 측천무후(則天武后)의 조정, 이어서 태평성대를 이룩한 현종(玄宗) 시대에 이르기까지 국가의 번영을 시로 찬양하였다. 국가의 번영은 또한 시인들의 마음을 해방시켜 술에 취하고 음악에 탐닉하는 자유분방한 기풍 속에서 마음껏 그 천재성을 발휘하였다. 이 시기의 문학은 육조문학이 한 단계 발전되어 내용과 형식이 모두 정비되었고 시대의 분위기와 어울려 찬란한 꽃을 피우게 되었다. 그러나 초당의 말경부터 당의 제도상에 균열이 생겨나 전제(田制)나 병제(兵制)가 처음과 같이 시행되지 않았고, 현종때에 이르면 천하가 태평하였다고 말하지만 실은 붕괴로 향하는 위기감이 도사리고 있었다. 얼마 후 안사의 난이 일어나자 태평의 꿈은 일순간에 깨어지고 구년간에 걸친 동란으로 당 왕조의 기반은 뿌리 채 흔들리게 되었다. 그 후로 당의 멸망에 이르기 까지 백오십년간은 세법의 개혁을 통하여 국가 재정의 확립이 시도되었지만 점차 국가 경제는 피폐해 졌고, 밖으로는 절도사의 폐해가 심해지고 안으로는 환관이 발호하여 당조는 와해되고 말았다. oo전기의 시인들은 궁정의 응제시인으로서 전아한 형식과 수사의 기교를 사용하여 국력의 발전과 외정의 공로를 찬양하였다. 시인들은 술에 탐닉하면서 인생의 향락을 노래하기도 하였지만 안사의 란을 계기로 하여 참된 인생에 눈을 뜨기 시작하면서 사회의 모순을 사실적인 수법으로 묘사하는 작품이 대량으로 생겨나게 되었다. oo헌종(憲宗)이 왕위에 오르자 어지러운 정치를 수습하려고 시도하였지만 그 계획은 수포로 돌아가고 더욱 혼란에 빠지게 되었다. 조정은 붕당(朋黨)을 지어 서로 다투고 환관들도 횡포를 일삼게 되자 민심은 불안해져 갔고, 시인들은 차가운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보거나 현실 외면하고자 관능적이고 탐미적인 분위기를 추구하였다.
4) 당시 4期 구분론
oo당의 시를 편의상 초(初), 성(盛), 중(中), 만당(晩唐)의 네 시기로 나누는 방법이 보편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그것은 송 엄우(嚴羽)의 창랑시화(滄浪詩話)에서 시작된 것으로, 엄우는 명확히 네 시기로 구분하지 않고 '盛唐, 大曆以後,晩唐'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시체(詩體)를 논할 때 '唐初體, 盛唐體'로 말하고, 초, 성, 중, 만당의 명칭을 사용하고 있지는 않지만 그 대체적인 의미는 파악되고 있다. 명(明) 고병(高棅)은 확실히 당시를 네 개의 시기로 나누면서 무덕(武德)에서 개원초(開元初) 까지를 초당, 개원에서 대력(大曆) 이전까지를 성당, 대력에서 원화말(元和末) 까지를 중당, 개성(開成)에서 오대 까지를 만당으로 나누었고, 초당을 정시(正始),성당을 정종(正宗), 중당을 접무(接武), 만당을 정변 여향(正變餘響)으로 보았다.
初唐(618-- ): 高祖武德元年-- 睿宗太極元年(약 95년) 盛唐(713-- ): 玄宗開元元年-- 代宗永泰元年(약 53년) 中唐(766-- ): 代宗大曆元年-- 敬宗寶曆二年(약 61년) 晩唐(827-905): 文宗太和元年-- 昭宣帝天祐二年( 약 80년) 으로 된다.
oo이러한 시기구분은 당시(唐詩)의 성쇠를 살피는 점에서 아주 편리하다. 물론 시의 변천을 몇 년에서 몇 년까지로 선을 긋는 것에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대략적으로 구분해 본다는 뜻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다만 앞에서 이미 언급한 바처럼 문학의 풍격에서 볼 때 안사의 난을 기점으로 하여 전기는 이전 육조문학을 계승 발전시킨 시대로, 후기는 송으로 점차 연결되어가는 시대라는 점을 주의할 필요가 있겠다.
4.漢詩의 格律
http://cafe.daum.net/ocstudy
근체시(近體詩)에서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는 압운(押韻)과 평측(平仄), 반점(反粘)을 들 수 있다. 물론 율시(律詩)의 경우 함련(함聯)과 경련(頸聯)에 대우(對偶)를 갖추어야 한다는 격률이 요구되기도 하나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율시에는 전혀 대우를 쓰지 않는 이른바 전산격(全散格)과 함련에 대우를 쓰지 않고 기련(起聯)에 대우를 쓰는 투춘격(偸春格), 경련에만 대우를 쓰는 봉요격(蜂腰格) 등이 있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압운(押韻)의 원칙】
한시에 있어서 평측(平仄)과 더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운(韻)이다. 시(詩)에는 평측을 따지지 않는 시(=古體詩)는 있어도 운이 없는 시는 없다. 근체시는 오언(五言), 칠언(七言)을 막론하고 통운(通韻)이나 전운(轉韻), 환운(換韻)을 허용하지 않으며 절대다수가 평성일운도저격(平聲一韻到底格)을 취한다. 오언절구(五言絶句)의 경우 측성(仄聲)으로 압운(押韻)하는 시가 심심찮게 보이나 보편적인 것은 아니다.(孟浩然의 <春曉>, 柳宗元의 <江雪>이 측성으로 압운한 예임) 압운하는 곳은 오언은 각 우수구(偶數句 : 짝수구)의 끝, 칠언은 제1구와 각 우수구의 끝이다. 오언 제1구에 압운하거나〔韻添〕, 칠언 제1구에 압운하지 않는 경우〔韻落, 押落〕는 편격(偏格)으로 간주하지만 이 역시 근체시에서 허용되는 압운 원칙의 하나임에는 틀림이 없다. 평성으로 압운한 시에서 무운자구(無韻字句 : 운자가 없는 구라는 뜻으로 압운하지 않는 구를 말함)의 마지막 글자는 측성을 쓰며, 반대로 측성으로 압운한 시에서 무운자구의 마지막 글자는 평성을 쓰는 것이 원칙이다.
【평측(平仄)의 기본 원칙】
구절마다 성조의 높낮이가 잘 배합되어야 그 시를 읊거나 노래할 때 음악적 조화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은 상식에 속하는 일이다. 이렇게 시어(詩語)의 높낮이를 고르는 것을 평측법(平仄法)이라 한다. 이 평측법은 통상 한 행의 시구(詩句) 안에서 따지는 격률로 이해되지만 시의 전체 기조를 결정하는 격률이기도 하다. 시를 어떤 기조로 일으키느냐(시작하느냐)에 따라 평기식(平起式)과 측기식(仄起式)의 구별이 있는데 평기식이란 제1구의 제2자가 평성인 시를, 측기식이란 제1구의 제2자가 측성인 시를 가리킨다. 오언시는 측기식을, 칠언시는 평기식을 정격(正格)으로 삼으며, 이와는 반대로 오언시를 평기식으로 하거나 칠언시를 측기식으로 한 경우는 변격(變格 : 혹은 偏格)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정격과 변격 사이에는 음악상의 차이 외에 별다른 구별이 없다.
한 행의 시구 내에서 따지는 평측법의 기본 원칙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 각종 부호 ※
○ : 평성자
● : 측성자
◐ : 원래는 측성이나 평성도 가능한 글자(횡서의 경우는 반대. 횡서의 기준은 오른쪽임)
◑ : 원래는 평성이나 측성도 가능한 글자(횡서의 경우는 반대. 횡서의 기준은 오른쪽임)
* ‘◐’과 ‘◑’의 문제는 따지기 번거로우므로 여기서는 동일한 의미로 파악하여 ‘◐’로 통일해 사용하기로 한다.
◎ : 평성 압운자
⊙ : 측성 압운자
□ : 평측이 미정인 글자(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하는 부호임)
(×) : 절대금지(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하는 부호임)
(△) : 경우에 따라 허용(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하는 부호임)
1. 이사부동(二四不同)과 이륙대(二六對)
오언시의 제2자와 제4자, 칠언시 제2자와 제4자, 제6자의 평측은 특히 중요한데 일반적으로 이 위치(의 글자)를 절주점(節奏點)이라 부른다. 이사부동(二四不同)과 이륙대(二六對)는 바로 이 절주점에 대한 평측 규정이다.
이사부동이란 한 행의 시구에서 두 번째 글자와 네 번째 글자의 평측을 서로 다르게 한다는 격률이다. 곧 두 번째 글자가 평성이면 네 번째 글자는 측성, 두 번째 글자가 측성이면 네 번째 글자는 평성이 되도록 한다는 것인데 오언, 칠언에 두루 적용된다.
이륙대는 당연히 칠언시에 적용되는, 두 번째 글자와 여섯 번째 글자의 평측을 같게 한다는 격률이며 달리 “이륙당동(二六當同)이라고도 한다.(“당동(當同)”이란 “마땅히 같아야 한다”는 뜻)
2. 불용하삼련(不用下三連) - “하삼련”은 쓰지 말아야
하삼련이란 오언이든 칠언이든 시구의 마지막 세 글자를 모두 같은 성(聲)으로 쓴 것을 말한다. 여기에는 평성자만 쓴 평하삼련〔下三平이라고도 함〕과 측성자만 쓴 측하삼련〔下三仄이라고도 함〕이 있는데 하삼평은 과거(科擧)에서 실격 처리할 정도로 엄격히 금지하였던 것이다. 하삼측이 통상 용인되는 것은 측성의 범주가 평성보다 넓기 때문이지 측성에 대해 특별히 관대한 때문은 아니다. 실제로 당인(唐人)들이 사용한 하삼측을 살펴보면 상성과 거성, 입성 가운데 어느 한 성(聲)으로만 세 글자를 연이은 예는 거의 없다. 이것은 어느 한 성으로만 세 글자를 연이어 쓰면 하삼평과 마찬가지로 음(音)의 화해미(和諧美)를 해치는 것으로 이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하삼평 : … ○○○(×)
하삼측 : … ●●●(△)
3. 무운자구요자평(無韻字句腰字平)과 유운자구요자측(有韻字句腰字仄)
앞서 언급한 것처럼 “무운자구”란 운자가 없는 구라는 뜻으로 압운하지 않는 구를 가리키며 “유운자구”란 운자가 있는 구라는 뜻으로 압운한 구를 가리킨다. “요자”는 가운데(허리) 글자란 뜻으로 오언의 경우는 제3자를 가리키지만 칠언의 경우는 제4자가 아니라 제5자를 가리킨다. 이는 칠언시가 오언의 시구 앞부분에 두 글자가 더해져 만들어진 것으로 인식했기 때문이라 한다. 이를 간단히 오언이든 칠언이든 끝에서 세 번째 글자가 ‘요자’라고 이해해두는 것이 무난하다.
무운자구요자평 : … ‘○’●●, … ‘○’○●
유운자구요자측 : … ‘●’●◎, … ‘●’○◎
그러나 무운자구요자평과 유운자구요자측의 원칙은 평성으로 압운한다는 전제하에 용인되는 격률이라는 사실을 기억해둘 필요가 있다. 가령 측성으로 압운한 시라면 무운자구의 마지막 글자는 평성이 되어(앞에서 설명하였음) 오언의 제4자, 칠언의 제6자가 평성인 시에서는 엄격히 금하는 하삼평(… ‘○’○○)이 발생하고, 유운자구의 제4자(오언), 제6자(칠언)가 측성인 시에서는 경우에 따라 금기시하는 하삼측(… ‘●’● ⊙)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 격률을 간단히 이해하고 하삼련을 범하지 않기 위해서는 본인이 나름대로 만든 “오삼부동(五三不同 : 다섯 번째 글자의 평측과 세 번째 글자의 평측을 달리 한다는 뜻)”과 “칠오부동(七五不同 : 일곱 번째 글자의 평측과 다섯 번째 글자의 평측을 달리 한다는 뜻)”이라는 규칙을 숙지해두기 바란다. 오언이든 칠언이든 마지막 글자의 평측은 압운할 운목이 선택되는 순간 자동으로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가변적이 아니라 고정적이다. 그러므로 이를 기준으로 삼아 오언의 경우에는 오삼부동을, 칠언의 경우에는 칠오부동을 적용시킨다면 시를 지을 때 범죄(犯罪 : 시율을 범하는 것을 칭하는 말)하는 폐단이 결코 생기지 않게 된다.
4. 피고평고측(避孤平孤仄) - 고평과 고측을 피하라
고평이란 시구 내에서 평성이 고립되는 현상을, 고측이란 시구 내에서 측성이 고립되는 현상을 말하는데 옛 시인들은 평성이 고립되는 현상을 특히 꺼렸다. 절주점을 제외한 글자는 평측의 운용이 절주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유롭지만 고평과 고측을 범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의 자유라고 할 수 있다. 한 가지 주의할 사실은 뒤에서 다루게 될 요구(拗救)를 목적으로 평측을 호환(互換 : 서로 바꿈)한 경우에는 고평과 고측을 따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고평이나 고측은 이사부동, 이륙대의 원칙이 지켜진 시에서 따지는 격률이기 때문이다. 고평과 고측 현상을 도식화하면 아래와 같다.
고평 : ●‘○’●(×)
고측 : ○‘●’○(△)
이제 평성자로 압운된 시라는 가정하에 고평, 고측과 관련하여 시구 내에서의 평측을 따져보기로 하자.
<오언시>
1. 출구의 제2자가 측성인 시구의 예
□●○○●(出句)
□○○●◎(對句)
오언의 경우 제1자를 제외한 나머지 글자의 평측은 이사부동과 오삼부동의 원칙에 따라 이미 결정된 상태이다.(대구의 제2자가 왜 평성인가 하는 문제는 후술됨) 아직 미결정 상태인 제1자의 평측을 따질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이 바로 고평과 고측의 문제이다.
출구의 제1자 자리에 평성자를 쓰면 어떻게 될까? “○●○”이니 이른바 고측이 된다. 고측은 당연히 피해야 하는 것이므로 출구의 제1자는 반드시 측성을 써야하는 것이다. 대구의 제1자는 또 어떤가? 어떤 글자를 쓰던 고평, 고측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측성이나 평성을 써야할 이유가 없다.(평성을 쓰면 하삼평이 아닌가고 생각하는 분이 혹 있다면 하삼평의 정의를 다시 한번 읽어보시기 바란다.) 그러므로 이 자리에는 ‘◐’ 부호가 적당하다.
이제 완성된 격률을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다.
●●○○●(출구)
◐○○●◎(대구)
2. 출구의 제2자가 평성인 시구의 예
□○○●●(출구)
□●●○◎(대구)
출구와 대구 제1자는 모두 무슨 글자를 쓰던 고평, 고측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 부호를 쓸 수 있다. 아래는 완성된 격률이다.
◐○○●●(출구)
◐●●○◎(대구)
<칠언시>
1. 출구의 제2자가 측성인 시구의 예
□●□○○●●(출구)
□○□●●○◎(대구)
칠언의 경우는 이사부동, 이륙대와 칠오부동의 원칙에 따라 제1자와 제3자를 제외한 글자의 평측이 이미 결정되어 있다. 아직 평측 미정의 상태로 있는 제1자와 제3자의 평측은 오언과 마찬가지로 고평과 고측을 피하는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운용할 수 있는데 이들의 평측은 상호 관계에 따라 결정된다. 곧 제1자나 제3자를 무슨 글자로 하느냐에 따라 제3자나 제1자의 평측이 결정되는 것이다. 이때 제1자를 기준으로 삼을 것인지 제3자를 기준으로 삼을 것인지 하는 문제는 시인 스스로가 결정할 사항이다. 가령 제1자에 다른 시어로 대체하기 곤란한 고유명사를 써야 한다면 제1자를 기준으로 삼아 제3자의 평측을 정할 수 있다는 뜻이다.(제3자의 경우도 마찬가지임) 기술의 편의상 제3자의 평측을 기준으로 삼아보자.
출구의 제3자 자리에 측성을 쓴다면 “□●●○○●●”이 되어 제1자는 평측 아무거나 쓸 수 있지만 제3자의 자리에 평성을 쓴다면 “□●○○○●●”이 되어 제1자는 (고측을 피하기 위하여) 반드시 측성을 써야 한다.
대구의 제3자 자리에 측성을 쓴다면 “□○●●●○◎”이 되어 제1자는 (고평을 피하기 위하여) 반드시 평성을 써야 하지만 제3자의 자리에 평성을 쓴다면 “□○○●●○◎”이 되어 제1자는 평측 아무거나 쓸 수 있다.
2. 출구의 제2자가 평성인 시구의 예
□○□●○○●(출구)
□●□○●●◎(대구)
출구의 제3자는 고측을 피하기 위하여 측성을 써야 하며 제1자는 고평을 피하기 위하여 평성을 써야 한다.(○○●●○○● ) 같은 이치로 대구의 제3자는 평성, 제1자는 측성을 써야 한다. (●●○○●●◎)
* 오언이든 칠언이든 제1구에 압운된 경우의 평측은 위에서 살펴본 대구의 예를 준용하면 된다.
시가(詩家)의 금언인 일삼오불론(一三五不論 : 시를 짓거나 논할 때 제1자와 제3자, 제5자의 평측은 심각하게 따지지 않는다는 뜻)과 이사륙분명(二四六分明 : 시를 짓거나 논할 때 제2자와 제4자, 제6자의 평측은 분명하게 한다는 뜻)은 대전제격의 원칙으로 운위(云謂)되는 것일 뿐 각론으로 들어가면 절대적인 격률이 결코 되지 못한다는 것이 자명하다. 요컨대 시에서는 어느 한 글자의 평측도 결코 가벼이 넘길 수 없다는 사실을 명심해두시기 바란다.
【반점법(反粘法)】
반점법이란 시 전체의 평측에 변화를 주고 시의 절주(節奏)를 아름답게 하기 위해 각구(各句) 상호간의 평측 전개(展開)에 설정해둔 법칙을 가리키는데 간단히 구와 구 사이에 적용되는 평측법이라 할 수 있다. 이 반점법은 달리 대점법(對粘法)이라고도 한다.
反 : 각 구 상호간의 평측 배열이 상반(相反)되도록 하는 것.
粘 : 각 구 상호간의 평측 배열이 같도록 하는 것.
시구는 반과 점의 연속으로 엮어지게 되는데 제1구와 제2구 사이에는 반의 원칙이(당연히 위의 구가 기준이 된다), 제2구와 제3구 사이에는 점의 원칙이, 제3구와 제4구 사이에는 다시 반의 원칙이 쓰인다. 절구뿐만 아니라 율시나 배율도 이런 방식으로 연역해 갈 수 있지만 운자(韻字)와 요자(腰字)의 평측은 반점법의 영향을 받지 않고 그 구절 내에서 결정된다는 사실에 주의를 요한다. 이 반점의 운용이 완정하지 못하면 실대(失對), 실점(失粘)이라 하여 통상 요(拗 : 기본적인 격률을 벗어난 시, 혹은 구)로 간주한다.
한 편의 시에서 기준이 되는 글자는 제1구의 제2자이고, 각 구의 제2자는 어떤 예외도 없이 규칙에 따라 평측이 정해지는 까닭에 각 구의 제2자들만 살펴보면 반점법이 제대로 지켜지고 있는가 하는 문제를 가늠할 수 있다. 제1구의 제2자가 평성이면 평기식, 측성이면 측기식으로 부른다는 점은 상기(上記)한 바이다.
이제 간단히 각 구의 제2자만 도식화시킨 율시의 예를 살펴보기로 하자.(절구의 경우는 제4구까지만 고려하면 됨)
평기식
○
反
●
粘
●
反
○
粘
○
反
●
粘
●
反
○
측기식
●
反
○
粘
○
反
●
粘
●
反
○
粘
○
反
●
여기서 우리는 흥미로운 사실을 하나 발견할 수 있는데 제2자의 평측만 따질 때 율시의 형식이 평기식은 “○●●○”이, 측기식은 “●○○●”이 반복된다는 것이다. 절구를 “율시의 절반”으로 보는 견해나 배율의 구수(句數)가 통상 4의 배수로 구성되는 까닭은 따지고 보면 이 반점법과 결코 무관하지 않다.
* 각 시형(오언절구와 율시의 평기식,측기식 / 칠언절구와 율시의 평기식, 측기식 등)별 평측도(平仄圖)는 각자가 반드시 작성해보고 실제 시로 검증해보라는 뜻에서 싣지 않았음.
아래에 설명할 요구(拗救)는 시율의 최고봉으로 칭해지는, 너무 전문적인 내용이라 굳이 한글과 한자를 병기하지 않았습니다. 이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알고싶으신 분은 메일을 주시기 바랍니다.
【 拗救 】
근체시 가운데 平仄 배열이 기본 원칙과 다른 것을 拗體라 하는데 이 拗體의 破格을 구제하는 것을 拗救라 칭한다. 拗救는 통상 合律로 취급하지만 拗體인데도 구하지 않으면 不合律이 되어 엄격한 의미에서 근체시라 할 수 없게 된다. 拗救의 방식에는 크게 다음 세 가지가 있다.
1. 單拗
單拗는 本句를 自救하는 방식을 일컫는다. 발생하는 곳은 5언 出句의 제3자와 7언 出句의 제5자인데 仄韻을 쓴 시에서는 對句의 해당자에서도 발생한다. 본래 平聲을 써야 할 제3자의 자리(○○'○'●●)나 제5자의 자리(●●○○'○'●●)에 仄聲을 써서 律에 不合하여 拗가되면 본래는 仄이라야 하는 同句의 제4자(5언의 경우)나 제6자(7언의 경우)를 平聲으로 고쳐서 위의 拗를 救한다.(○○●○● , ●●○○●○●) 이러한 平仄互換의 방법이 單拗이다. 외형상으로 제4자와 제6자가 孤平이 된 것 같으나 拗救를 목적으로 平仄을 호환했기 때문에 孤平으로 여기지 않는다.
移舟泊煙渚, 日暮客愁新. (孟浩然 <宿建德江>)
○○●○● ●●●○○
獨坐幽篁裏, 彈琴復長嘯. (王維 <竹里館>)
●●○○● ○○●○●
正是江南好風景, 落花時節又逢君. (杜甫 <江南逢李龜年>)
●●○○●○● ●○○●●○○
2. 雙拗
雙拗는 對句로 出句의 拗를 救하는 것이다. 5언 出句의 제2자와 제4자를 모두 仄聲으로 쓰거나, 7언 出句의 제4자와 제6자를 모두 仄聲으로 써서 律에 不合하여 拗가 되었다면 5언 對句의 제3자와 7언 對句의 제5자에 반드시 平聲을 써서 出句의 拗를 구한다. 이렇게 對句가 出句를 구하는 것이 雙拗이다.
人事有代謝, 往來成古今. (孟浩然 <與諸子登峴山>)
○●●●● ●○○●○
南朝四百八十寺, 多少樓臺煙雨中. (杜牧 <江南春絶句>)
○○●●●●● ○●○○○●○
3. 孤平拗救
孤平拗救도 對句로 出句의 拗를 救하는 것이다. 出句가 '●●○○●'인 5언에서 平으로 써야할 제3자를 측으로 쓰면 '●●●○●'가 되어 孤平을 범하게 된다. 그러면 對句 제3자를 반드시 평을 써서 이를 구해야 한다.(경우에 따라 제1자를 평으로 써서 拗를 救하기도 하나 일반적이지 않다) 7언에서는 '○○●●○○●'을 '○○●●●○●'으로 쓴 경우인데 對句 제5자를 平으로 써서 구한다. 5,7언 공히 제2자가 孤平이면 對句 제1자를 平으로 써서 拗를 救한다. 이와는 달리 出句에 孤平이 있으면(7언의 제4자 孤平 포함) 對句에 孤仄을 이루어 拗를 救하는 방법도 있다.
但見淚痕濕, 不知心恨誰. (李白 <怨情>)
●●●○● ●○○●○
兒童相見不相識, 笑問客從何處來? (賀知章 <回鄕偶書>)
○○○●●○● ●●●○○●○
祗應守索寞, 還掩故園扉. (孟浩然 <留別王侍御維>)
●○●●● ○●●○○
* '○○●●○'에서 제1자를 만약 仄聲字를 써서 孤平을 만들었다면 本句 제3자를 平聲으로 써서 救할 수 있다. 즉, '●○○●○'의 법식이 되는데 이는 單拗의 일종이라 할 수 있다.
* 拗와 결부한 失粘과 失對
失粘과 失對는 달리 拗粘과 拗對라 하기도 한다. 盛唐 이전에는 對粘을 별로 따지지 않고 보통 對句의 平仄을 出句의 平仄과 달리하는 것만으로 合律한다고 보았으나 後人들은 이런 현상에 대하여도 失對, 失粘이라 일컬었다.(孟浩然의 <春曉>와 王維의 <送元二使安西>는 제2자의 평측이 모두 “○●○●”으로 되어 있음)
운자 (韻字)란? |
|
한자는 초성(初聲).중성(中聲).종성(終聲)의 세가지 소리로 갈라서 초성을 자모(字母)라 하고 중성과 종성을 합해서 운모(韻母)라 하며, 운모가 같은 글자로 맞추는 것을 압운(押韻)이라 하고, 한 수(首)의 시 안에서 압운된 글자를 운자(韻字)라 한다.
그러나 간혹 운모(韻母)가 다른데도 같은 운자(韻]字)로 보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같은 한자라도 옛음과 현대음의 차이. 또는 중국음과 우리음의 차이에서 생기는 것이다.
|
|
압운법 (押韻法)이란? |
|
가. 한자는 초성 중성 종성의 세 가지 소리로 나뉘는데, 초성을 자모(字母)라 하고, 중성과 종성을 합해서 운모(韻母)라 한다. 이 운모가 같고 성조도 같은 계열의 글자로 맞추는 것을 '압운(押韻)'이라 하고, 한 수의 시 안에서 압운된 글자를 '운자(韻字)'라 한다.
나. 짝수 구 끝에 압운하고, 첫째 구 끝에는 압운을 해도 되고 하지 않아도 된다.
<5언 절구> <7언 절구> ○○○○○ ○○○○○○X 운자 ○○○○X ○○○○○○X ○○○○○ ○○○○○○○ ○○○○X ○○○○○○X
<5언 율시> <7언 율시> ○○○○○ ○○○○○○X ○○○○X ○○○○○○X ○○○○○ ○○○○○○○ ○○○○X ○○○○○○X ○○○○○ ○○○○○○○ ○○○○X ○○○○○○X ○○○○○ ○○○○○○○ ○○○○X ○○○○○○X
다. 한시에 있어서 정해진 위치 즉 짝수 구절 끝에 운이 같은 한자를 배열하는 법을 말한다. 7언시일 경우 1구 끝에도 운자를 배열한다.
採藥忽迷路 (채약홀미로)약캐다 홀연히 길을 잃고서 千峰秋葉裡 (천봉추엽리) 천봉을 휘감은 단풍속에 섰네. 山僧汲水歸 (산승급수귀)스님이 물길어 돌아 들더니 林末茶煙起 (임말차연기)수풀속 차연기 피어 오르네. |
|
한시의 평측(平仄) |
|
가. 사성은 평성(平聲), 상성(上聲), 거성(去聲), 입성(入聲)의 네 가지 성조로 상성 거성 입성을 뭉뚱거려 측성(仄聲)이라고 한다. 한시에서는 낮고 평평한 소리인 평성에 해당하는 글자와, 올라가거나 낮아지거나 하는 소리인 측성에 해당하는 글자를 일정하게 배치하는 방식이 있는데, 이를 '평측법'이라 한다.
나. 평측법 중 첫째 구 둘째 자가 평성으로 시작하는 것을 '평기식(平起式)'이라 하고, 측성으로 시작하는 것을 '측기식(仄起式)'이라 한다. 오언 근체시는 측기식이 정격(正格)이고, 칠언 근체시는 평기식이 정격이다.
평기식(平起式) 측기식(仄起式) <5언 절구> <5언 절구> ○○○●● ●●○○○ 평성자 ●●●○X ○○●●● 측성자 ●●○○○ ○○○●● 운자(평성자) ○○●●X ●●●○X
<7언 절구> <7언 절구> ○○●●○○● ●●○○○●● ●●○○●●X ○○●●●○X ●●○○○●● ○○●●○○● ○○●●●○X ●●○○●●X |
압운(押韻)과 평측(平仄)
1. 압운 : 韻母가 같은 자끼리 詩行의 끝에 쓰는 것. (1) 絶句詩의 경우 : 1 , 2 , 4 행의 끝이나 또는2 , 4 행의 끝에 씀. (2) 律詩의 경우 : 1 , 2 , 4 , 6 , 8 행의 끝에 주로 쓰며, 때로는 1행의 끝에는 쓰지 않음. *押韻은 주로 평성이 많이 쓰였으나 仄聲도 때로 쓰였음. 2. 평측 : 平聲과 仄聲을 규칙적으로 배열하여 시의 音樂性을 높이려는데 그 목적을 둔 것. *평측의 표시를 앞으로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平聲 ○. 仄聲 ●. 平仄 兼用 ◐. 平韻 ◎. 仄韻 ⊙. (1) 五言詩의 경우 : 平起式, 仄起式 2가지 경우가 있음. 가. 五言 絶句 보기 :
平起式 |
起句 ○○ ●●◎ (韻目이 仄聲일 때) ○●● |
|
承句 ◑● ●○◎ |
|
轉句 ◑● ○○● |
|
結句 ○○ ●●◎ | |
仄起式 |
起句 ◐● ●○◎ (운목이 측성일 때) ○○● |
|
承句 ○○ ●●◎ |
|
轉句 ◐○ ○●● |
|
結句 ○○ ●●◎ | |
나. 五言 律詩의 경우
平起式 |
起聯 ○○ ●●◎ (운목이측성일 때)◐○ ○●●◐● ●○◎ |
|
함聯 ◐● ○○● ○○ ●●◎ |
|
頸聯 ◐○ ○●● ◐● ●○◎ (함련과 경련은 對句이어야 함) |
|
結聯 ◐● ○○● ○○ ●●◎ | |
仄起式 |
起聯 ◐● ●○◎ (韻目이 仄聲일 때)○○● ○○ ●●◎ |
|
함聯 ◐○ ○●● ◐● ●○◎ |
|
頸聯 ◐● ○○● ○○ ●●◎ (함련과 경련은 對句이어야 함) |
|
結聯 ◐● ○●● ◐● ●○◎ | |
(2) 七言詩의 경우 : 平起式 仄起式 2가지가 있음. 가. 七言 絶句의 보기
平起式 |
起句 ◐○ ◐● ●○◎ (韻目이 仄聲일 때) ○○● |
|
承句 ◐● ○○ ●●◎ |
|
轉句 ◑● ◐○ ○●● |
|
結句 ◐○ ◐● ●○◎ | |
仄起式 |
起句 ◐● ○○ ●●◎ (운목이 측성일 때) ◐○ ○●● |
|
承句 ◐○ ◐● ●○◎ |
|
轉句 ◐○ ◐● ○○● |
|
結句 ◐● ○○ ●●◎ | |
나.七言 律詩의 보기
平起式 |
起聯 ◐○ ◐● ●○◎ (운목이측성일 때) ○○● ◐● ○○ ●●◎ |
|
함聯 ◐● ◐○ ○●● ◐○ ◐● ●○◎ |
|
頸聯 ◐○ ◐● ○○● ◐● ○○ ●●◎ (함련과 경련은 對句이어야 함) |
|
結聯 ◐● ◐○ ○●● ◐○ ◐● ●○◎ | |
仄起式 |
起聯 ◐● ○○ ●●◎ (韻目이 仄聲일 때) ◐○ ○●● ◐○ ◐● ●○◎ |
|
함聯 ◐○ ◐● ○○● ◐● ○○ ●●◎ |
|
頸聯 ◐● ◐○ ○●● ◐○ ◐● ●○◎ (함련과 경련은 對句이어야 함) |
|
結聯 ◐○ ◐● ○○● ◐● ○○ ●●◎ | |
*지금까지 보여준 형식은 韻目이 平聲인 경우만 보인 것임. 만일 韻目 이 측성일 경우는 운목의 안짝이 평성이어야 하고 운목 앞의 한 글자 위가 평성이어야 함.
## 평측에서 피하는 것 ## (1) 下三連不許 : 시의 끝부분 3자가 연하여 平聲이든지 仄聲이면 안됨. 보기1. 고시중 삼연평인 경우 報得三春暉 ●● ○○○ 보기2. 고시중 삼연측인 경우 舟楫恐失墜 ○● ●●● 보기3.칠언율시중 삼연측인 경우 朝罷須裁五色詔.○● ○○ ●●● 보기4.칠언 고시중 삼연평인 경우 棗花未落桐陰長.●○ ●● ○○○ (2). 孤平不許 :칠언시의 4번째 자가 平聲이고 그 앞뒤의 자가 仄聲인 경우 또는 오언시에 2번째 글자가 平聲이고 그 앞 뒤 자가 仄聲인 경우 허리가 짤록한 벌과 같다하여 蜂腰라고 하며 이를 피함. 보기1. 오언 고시중 李白詩에 蜀僧 抱綠綺. ●○ ●●● 보기2. 칠언 고시의 경우 霖雨未晴水滿堤.○● ●○ ●●○ (3). 同字重出을 피함 보기1. 淸江 一曲 抱村流 長夏 江村 事事幽 a.'村' 자가 위와 같이 줄을 바꾸어 쓸 경우는 피함. b.'事事'와 같이 한 줄에 같은 자를 겹쳐 쓰거나 , '月白雪白天地白'과 같이 한 줄에 같은 자를 여러 개 쓰는 경우는 허용됨.
| |
");
}
else {
document.writeln(" ");
}
//-->
| function popupMyAvatar() { mname = "%D8%B9%E2%D3%D3%D1"; rurl = "http://cafe172.daum.net/reload.html"; url = "http://mall.avatar.daum.net/cgi-bin/MyAvatar?TYPE=POPUP&MNAME="+mname+"&URL="+rurl; /*window.open*/(url, '', 'toolbar=0,status=0,width=610,height=402,scrollbars=1'); } //친구 앨범 function popupAlbum() { mname = "%D8%B9%E2%D3%D3%D1"; rurl = "http://cafe172.daum.net/reload.html"; url = "http://mall.avatar.daum.net/cgi-bin/ViewFriendAlbum?TYPE=POPUP&EUSERID=cTfoBNK5bVI0&MNAME="+mname+"&URL="+rurl; /*window.open*/(url, '', 'toolbar=0,status=0,width=610,height=402,scrollbars=1'); } //찜목록 function popupZim() { url = "http://mall.avatar.daum.net/cgi-bin/ViewFriendWishList?TYPE=POPUP&EUSERID=cTfoBNK5bVI0&MNAME=%D8%B9%E2%D3%D3%D1&URL=http://cafe172.daum.net/reload.html" /*window.open*/(url, '', 'toolbar=0,status=0,width=610,height=402,scrollbars=1'); }
|
|
");
}
else {
document.writeln(" ");
}
//-->
| function popupMyAvatar() { mname = "%D8%B9%E2%D3%D3%D1"; rurl = "http://cafe172.daum.net/reload.html"; url = "http://mall.avatar.daum.net/cgi-bin/MyAvatar?TYPE=POPUP&MNAME="+mname+"&URL="+rurl; /*window.open*/(url, '', 'toolbar=0,status=0,width=610,height=402,scrollbars=1'); } //친구 앨범 function popupAlbum() { mname = "%D8%B9%E2%D3%D3%D1"; rurl = "http://cafe172.daum.net/reload.html"; url = "http://mall.avatar.daum.net/cgi-bin/ViewFriendAlbum?TYPE=POPUP&EUSERID=cTfoBNK5bVI0&MNAME="+mname+"&URL="+rurl; /*window.open*/(url, '', 'toolbar=0,status=0,width=610,height=402,scrollbars=1'); } //찜목록 function popupZim() { url = "http://mall.avatar.daum.net/cgi-bin/ViewFriendWishList?TYPE=POPUP&EUSERID=cTfoBNK5bVI0&MNAME=%D8%B9%E2%D3%D3%D1&URL=http://cafe172.daum.net/reload.html" /*window.open*/(url, '', 'toolbar=0,status=0,width=610,height=402,scrollbars=1');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