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댐퍼(Damper) ***
댐퍼는 공조기의 시작점에서 부터 각 덕트의 가지관과 실내에 인접한 덕트 등의, 덕트시스탬에 단일 기종으로는
상당히 많이 사용되며, 거의 비슷한 형태에 비해 여러가지의 다양한 기능적 분류가 요구 된다. 따라서 댐퍼의
다양한 기능을 크게 두가지로 분류 한다면, 폐쇄적기능 (Isolation damper)과 조절기능(Mudulation damper) 으로
나뉘게 된다. 따라서 이들을 두 기능 으로 분류하고 그 에 따른 기술동향과 국내외 적으로 비교가 필요 되는
내용을 알아보기로 한다.
1) 폐쇄형 댐퍼(Isolation damper)
폐쇄형 댐퍼에는 우선 스모크댐퍼와 방화댐퍼 등이 가장 대표적인 예라 할 것이다. 또한 급기나 배기 시스탬에서
기류의 통제에 사용되는 댐퍼도 폐쇄형 댐퍼이며, 닫히고 열리는 두가지의 기능만을 가지고 있다하여, 이를
2 포지션댐퍼(2 Position damper) 로 불리기도 한다. 따라서 각도의 조절이 필요치 않고 차단용으로만 쓰이기
때문에 날개의 설치형태가 정렬형 (Parallel blade)으로 설치되며, 요구되는 중요기능은 닫혔을 때 통과기류의
기밀성 이다.
스모크댐퍼(Smoke damper) :
국내 스모크댐퍼는 외국어 표기이기 때문에 사용용어가 다소 애매하기도 하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이를 제연댐퍼에
적용하는 예가 일반적이라할 것이다. 제연댐퍼는 고층빌딩 또는 아파트 등에 화재시에 비상구를 통해 탈출하는
사람들에 대해 질식사를 막기 위하여, 급기또는 배기덕트에 설치되어 통과기류를 통제하는 댐퍼인 것이다.
이때 댐퍼는 통제실의 자동 콘트롤에 의하여 작동되어지는데, 문제는 급기되는 덕트시스탬에 심각한 설계적
오류가 있다는 것이다. 옥상에서 건물의 측면 건축구조물인 콘크리트 관통로에 각층에 설치될 댐퍼개구부를 뚫어
이곳에 댐퍼가 설치되고, 전면에 루버(Louver)로 마감 되는데, 만약 저층에서 화재가 발생 하였다고 가장
하여보자, 옥상의 홴에서 하강기류(Down flow)로 1:1 면적 비율의 구조물에 급기할시, 댐퍼는 기밀성이
제로(Zero) 가 되었다 할지라도 요구풍량이 공급되기는 어려운 실정인 것이다. 또한 근접거리에 따른 유속의
편차를 방지할 아무런 방법이 없어 결국은 효율 이 없는 단지 부착해야 되기 때문에 설치하는 조건 반사적인
낭비가 실현되고 있다. 따라서 등각 법이 적용된 덕트의 설치가 시급하나, 엄청난 공사비 증가로 실현이 어려운
실정이다.
스모크댐퍼(Smoke damper) :
국외 그림 [2.2] 참조 우리들이 사용하는 제연댐퍼와는 사용용도가 다르나, 국내에서는 일반 건축에서 거의
적용되지 않고 있어 이를 소개하고져 한다. 먼저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연기감지기(Smoke detactor)에 의하여
감지신호가 통제실에 접수되면 통제실에서는 스모크댐퍼에 100VAC 의 전류를 보내어 스프링의 반력을 통제하고
있는 바이메탈(Bimetal) 링크(Link)의 열선(Heating coil)으로 하여금 링크를 팽창시켜, 스프링힘므로 닫히게하고,
버팀목형태로 구속(Lock)시키므로서 미연에 덕트를 통한 연기의 확산 방지는 물론, 방화댐퍼의 구실까지 겸 할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 댐퍼이다. 여기에 사용되는 바이메탈 링크는 미국의 PHL 사에서 생산하고 있으며, 맥케이브
(Mc cave) 라는 상품명으로도 유명하다. 우리의 경우, 모터(Motor) 컨트롤 형식의 스모크 댐퍼가 있으나, 기밀성,
작동성에서 상대적으로 열세에 놓여있어, 이에대한 발전이 시급하다 하겠다.
.......................

그림 [2.2] 스모크댐퍼(Smoke damper)
방화댐퍼(Fire damper) :
그림 [2.3] 참조 방화댐퍼는 화재발생지역의 자동봉쇄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것이 가장 큰목적이라 하겠다.
따라서 방화댐퍼는 그구조가 열에 견디어야 하며, 진화작업시 진화용 수압에 열리지 않아야 되는 구조적 특징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덕트뿐만이 아니라, 건물과 건물의 유통로인 벽면과, 각 층과의 사이에서 설치되므로서
그 규격이 상당히 커지는 경우가 많이 있으며, 평상시에는 항상 열려있는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구조적 특징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요구되는 구조적 특징을 입증받기 위하여 국제적인 인증업체인 UL 의 시험을 받기도
하는 것이다. 외국의 경우 방화댐퍼는 재질의 팽창계수를 감안한 설계로서 롤포밍(Roll forming) 공법으로
방화댐퍼를 생산하고 있는데 이는 UL 에서 입증한 시험을 거친 제품들인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국내의
소방법이 재질의 변태점을 감안하여 책정된 스틸1.6mm 이상의 재질만을 사용하여야하는 획일적 규제로 인하여,
이를 사용할 수가 없어 일반적인 평행형 날개 구조의 댐퍼만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이는 구조적으로
많은 모순을 가지고 있는데, 롤포밍형식은 브레이드가 커튼타입으로 개구부가 완전히열려, 단면요율이 뛰어나고,
설치형태가 스리브(Sleeve)형태의 외관에 벽또는 바닥의 양쪽면에 앵글(Angle)로서 구속시키지 않고 설치 하므로서
열에 의한 팽창시에도 그 간격이 유지될수 있도록 고려된 제품인 것이다. 반면에 우리의 것은 플렌지(Flange) 형식
으로 열팽창시 균열을 발생시킬수 있는 구조적 모순과 화재시에 대비한 어떠한 입증도 요구되지 않아 인명과
관련된 제품의 선정에서 선진국과 대조적인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근래에 국내소방법의 저촉을 받지 않는
원자력발전소 건설 분야와 해외 수출의 경우, 오히려 국내의 생산방법으로 제작되는 댐퍼는 구매자로 부터,
거부 되고 있으며, 커탠타입의 방화댐퍼만이 납품할수 있는 것만으로도 분명 개선되어야할 사항이다. 국내에서는
현재 유일하게 삼광공조(주) 에서만 커탠타입댐퍼를 UL인증을받아 생산하고 있다.
단순형(Single section typer) ..................................복합형(Multiple type)
.....................

그림 [2.3] 방화댐퍼(Fire dam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