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서는 “개혁주의 신학과 신앙 총서” 11번째 책으로, 이미 발행된 10권과 더불어 인간 삶의 모든 영역에 하나님의 주권과 영광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님의 나라 건설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11권에서는, 이 글들은 종교개혁 당시인 16세기와 종교개혁이 더욱 정교화 되어 정립되고 꽃을 피우기 시작한 17세기의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졌는가를 주로 신학교육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교육’이라는 주제는 방대한 주제이지만 이 주제를 통해서 종교개혁의 정신이 어떻게 다음 세대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는가를 살펴보는 가운데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이하는 한국교회가 어떻게 다음 세대들을 신앙으로 올바르게 교육할 수 있는가를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기를 진심으로 바라는 책이다.
PART Ⅰ 인물
1. 종교개혁의 격동기(1520-1530)의 글들에 나타난 루터의 교육론 11
2. 필립 멜랑흐톤과 교육 37
3. 요한 슈투름의 교육 사상: 1538년에 출간된 그의 작품을 중심으로 61
4. 기스베르투스 푸티우스(1589-1676)의 신학교육론 101
PART Ⅱ 대학
5. 하이델베르크 대학과 신학교육(1555-1623) 139
6. 개혁교회의 요람 제네바아카데미에 관한 연구 175
7. 레이든 대학의 신학교육 205
8. 위트레흐트 대학의 설립, 운영, 그리고 교육 231
9. 스코틀랜드 종교개혁과 교육 개혁: 에든버러대학을 중심으로 261
PART Ⅲ 주제
10. 종교개혁과 인문학 299
11. 신학교육: 종교개혁과 개혁신학 관점에서의 한국교회의 신학교육 331
12. 종교개혁과 교리교육 359
내용출처. 생명의 말씀사 lifeboo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