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미지를 오른쪽부터 클릭하시면 청화스님 친필을 순서대로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一. 오법전의(悟法傳衣) (5) 呈偈 : 게송을 바침 2
惠能(혜능)이 答曰(답왈)
我此踏碓八箇餘月(아차답대팔개여월)에 未至堂前(미지당전)하니
望上人(망상인)은 引惠能至南廊下(인혜능지남랑하)하여 見此偈禮拜(견차게예배)하라
亦願誦取(역원송취)하여 結來生緣(결래생연)하여 願生佛地(원생불지)하노라
童子引能至南廊下(동자인능지남랑하)어늘 能(능)이 卽禮拜此偈(즉예배차게)하고
爲不識字(위불식자)하여 請一人讀(청일인독)에 惠聞已(혜문이)하고 卽識大意(즉식대의)라
惠能(혜능)이 亦作一偈(역작일게)하고 又請得一解書人(우청득일해서인)하여
於西間壁上(어서간벽상)에 題著(題著)하여 呈自本心(정자본심)하니
不識本心(불식본심)하면 學法無益(학법무익)이라
識心見性(식심견성)이라사 卽悟大意(즉오대의)니라
惠能偈(혜능게)에 曰(왈)
菩提(보리)는 本無樹(본무수)요 明鏡(명경)은 亦無臺(역무대)라
佛性(불성)은 常淸淨(상청정)커니 何處有塵埃(하처유진애)리오
又偈曰(우게왈)
心是菩提樹(심시보리수)요 身爲明鏡臺(신위명경대)라
明鏡本淸淨(명경본청정)커니 何處染塵埃(하처염진애)리오
院內徒衆(원내도중)이 見能作此偈(견능작차게)하고
盡怪(진괴)어늘 惠能(혜능)은 却入碓房(각입대방)하니라
五祖忽見惠能偈(오조홀견혜능게)하니 卽善「知」識大意(卽善「知」식대의)나
恐衆人知(공중인지)하여 五祖乃謂衆人曰(오조내위중인왈) 此亦未得了(차역미득료)로다.
혜능이 대답하기를
『나는 여기서 방아 찧기를 여덟 달 남짓 하였으나,
아직 조사당 앞에 가보지를 못하였으니
바라건대 선배는 나를 남쪽 복도로 인도하여 이 게송을 예배하게 하여 주시오.
그리고 바라건대 이 게송을 외워 내생의 인연을 맺어
*부처님 나라에 태어나기를 바라오(원생불지願生佛地)』하였다.
동자가 혜능을 인도하여 남쪽 복도에 이르렀다.
혜능은 곧 이 게송에 예배하였고, 글자를 알지 못하므로
옆에 사람에게 읽어 주기를 청하였다.
혜능은 듣고서 바로 대강의 뜻을 알았다.
혜능도 또한 한 게송을 지어서 글을 쓸 줄 아는 이에게 청하여
서쪽 벽 위에 쓰게 하여 자기의 본래 마음을 나타내 보였다.
본래 마음을 모르면 법을 배워도 이익이 없으니,
마음을 알고 자기 성품을 보아야만 바로 큰 뜻을 깨닫느니라.
혜능은 게송에 이르기를
菩堤(보리)는 本無樹(본무수)요
明鏡(명경)은 亦無臺(역무대)라
*佛性(불성)은 常淸淨(상청정)커니
何處(하처)에 有塵埃(유진애)리요
보리는 본래 나무가 없고
밝은 거울 또한 받침대 없네
부처의 성품은 항상 깨끗하거니
어느 곳에 티끌 먼지 있으리오.
다시 게송으로 이르기를
心是菩堤樹(심시보리수요) 身爲明鏡臺(신위명경대라)
明鏡本淸淨(명경본청정)커니 何處染塵埃(하처염진애)리요
마음이 보리의 나무요 몸은 밝은 거울의 받침대라
밝은 거울은 본래 깨끗하거니 어느 곳이 티끌과 먼지에 물들리오.
절 안의 대중들이 혜능이 지은 게송을 보고 다들 괴이하게 여기므로
혜능 은 방앗간으로 돌아갔다.
五조대사가 문득 혜능의 게송을 보시고 바로 큰 뜻을 잘 알고 있음을 알았으나
여러 사람들이 알까 두려워하여 대중에게 말씀하시기를
『 이 게송도 또한 아직 깨닫지 못하였다』고 말씀하셨다.
[주해註解]
* 원생불지願生佛地 : 불국토(佛國土)에 태어나기를 서원함.
* 혜능대사게송惠能大師偈頌 : 이 돈황본(敦煌本)『불성상청정(佛性常淸淨) 하처유진애(何處有塵埃)』가
각(各) 유통본(流通本)에는 『본래무일물(本來無一物) 하처야진애(何處惹塵埃)』로 되어 있음.
* 단경(壇經) 유통본(流通本)은 덕이본(德異本)ㆍ종보본(宗寶本) 등이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