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육/분포지역 |
한라산, 무등산, 백운산, 가야산,덕유산, 지리산 등지의 표고 500-2,000m에 자생한다. |
성상/수형 |
성상:상록침엽교목, 수형:초기에는 원추형이나 고목이 되면 원정형으로 변화함. |
개화/결실기 |
개화기는 5~6월이며 결실기는 10월이다. |
|
번식 |
▶실생으로 번식한다. ⓐ익은 종자를 정선하여 통풍이 되는 자루에 넣어 서늘한 곳에 보관하였다가, 파종 1개월 전에 습층처리하였다가 파종한다. ⓑ순량율 84%, ℓ당 입수 32,901립, 발아율 37%이다. ⓒ유묘가 고온과 뜨거운 직사광선에 의한 피해를 받기 쉬우므로 해가림에 유의해야 한다. |
생육환경 |
▶표고 500-2,000m에 자생하며 토양중 습기가 많고 비옥한 땅에서 잘 자란다. ▶구상나무 자생지의 환경조건이 겨울에는 비교적 눈이 많고 여름에는 서늘한 곳인 점을 고려하여 식재한다. ▶반그늘 또는 양지에서 모두 잘 자라지만 석양이 드는 곳에서의 재배는 피하는 것이 좋다. 어릴 때는 약한 그늘을 좋아하지만 자라면서 햇빛을 필요로 한다. ▶배수가 잘되는 사질양토에서의 생장이 좋으며, 내공해성은 약하지만 이식성은 좋은 편이다. ▶보통 어릴 때 성장이 느리며 파종후, 11-13년이면 열매가 달린다. |
재배특성 |
| |
크기 |
수고:18m, 수관폭 7-8m로 자란다. |
잎의 특징 |
가지나 줄기에 윤생으로 돋아나며 잎끝이 2갈래로 갈라져 있다. 가지의 잎은 도피침상 선형이고 길이 9-14mm, 폭 2.1-2.4mm이며 표면은 암록색이고 뒷면은 은백색으로 잎 끝이 오목하다. 어린가지의 잎은 길이 18-20mm, 폭 1.8mm로서 요두이고 수지구가 약간 밑에 있으며 잎뒷면에 2개의 흰색의 기공선이 있다. |
꽃의 특징 |
5-6월에 솔방울같이 빨강, 노랑, 분홍, 자주등 다양한 색의 꽃이 피며 암수한그루이다. 웅화서는 타원형으로 길이 1cm정도이며, 자화서는 보통 자주색으로 길이 1.8cm가량의 꽃이 잎끝에 달린다. |
열매의 특징 |
열매는 구과로 원통형이며 길이 4-6cm, 지름 2-3cm이며 녹갈색 또는 자갈색이며 실편은 길이 9mm, 폭 18mm이고 포편의 침상 돌기가 뒤로 젖혀지며 종자는 난형으로 6mm정도이고 날개는 폭 4.5mm정도이다. |
가지/목피 |
높이가 18m에 달하고 소지는 황색이지만 털이 없어지면서 갈색이 돌고 동아는 난상 원형이며 털이 없고 송진이 약간 묻어 있고 수지가 약간 있다. 노목의 수피는 거칠고 회갈색이다. 뿌리는 직근과 잔근이 있다. |
기타특징 |
▶변재는 백색이며 심재는 담황갈색의 줄무늬가 있는 백색이다. 재질은 가볍고 연하며 거친 편이고 광택이 있으나 향기는 적다. 가공성이 좋으며 탄성도 풍부하여 가열하면 잘 구부러진다. ▶분비나무는 포편의 끝이 뒤로 젖혀지지 않으나 구상나무는 포편의 길이가 6 |
|
발생 병충해 |
▶병해 : 모잘록병, 탄저병 ▶충해 : 소나무좀, 심식굴나방 |
방제방법 |
▶ 모잘록병 : 종자소독(부산30유제 500배액에 3-4시간, 또는 호마이수화제 200배액에 24시간 침적후 파종한다), 토양소독(파종 1주일전에 다찌가렌 100배액을 묘상 1㎡ 당 1kg씩 뿌린다음 갈아 뒤엎는다) ▶소나무좀 : 수세가 약한 나무를 미리 발견하여 제거하므로?/TEXTAREA> |
주목
|
수목명 |
주목 |
분 류 |
주목과 |
학 명 |
Taxus cuspidata S. et Z. |
원산지 |
한국 |
향 명 |
노가리, 노가리낭(제주)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namu-ro.com%2Fadmin%2Fn_dogam%2Fdown%2Fe-jumok00.jpg)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namu-ro.com%2Fadmin%2Fn_dogam%2Fdown%2Fe-jumok01.jpg) |
|
수형 |
꽃 |
|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namu-ro.com%2Fadmin%2Fn_dogam%2Fdown%2Fe-jumok02.jpg)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namu-ro.com%2Fadmin%2Fn_dogam%2Fdown%2Fe-jumok03.jpg)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namu-ro.com%2Fadmin%2Fn_dogam%2Fdown%2Fe-jumok04.jpg) |
잎 |
열매 |
목피 |
|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namu-ro.com%2Ftree_search%2Fimages%2Ftitle1.gif) |
생육/분포지역 |
▶일본과 중국, 소련에도 분포한다. ▶제주도, 울릉도, 소백산, 전남(지리산), 전북(덕유산), 경기, 강원(설악산), 황해도 등의 전국의 표고 700-2,500m의 고산에 자생한다. |
성상/수형 |
상록침엽교목, 수형:원추형 |
개화/결실기 |
개화기는 4월이며 결실기는 8~9월이다. |
번식 |
▶실생 및 삽목으로 번식한다. 1.실생 : 파종은 노지에 가매장하였다가 봄에 파내어 밭에 파종한다. 2.삽목 : 삽목의 시기는 4-5월이 적기이나 더운 곳에서는 3월에도 할 수 있다. 이때는 비닐로 삽목상 위를 씌워 보온한다. 삽목후에는 해가림을 해 주어야 한다. |
생육환경 |
▶높은 산에서 자란다. ▶내한성과 내음력이 좋으며 토심이 깊고 습윤비옥한 곳에서 잘 자란다. 옮겨 심어도 잘 자라지만 가을에 이식하면 한풍해가 심하다. 노지에서 월동하며, 남부지방에서는 정원수로 적합치 않다. ▶높은 산에서 잘 자라는 식물이므로 도시에서는 여름의 고온건조한 양지보다는 적습비옥한 반음지가 좋다. |
재배특성 |
|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namu-ro.com%2Ftree_search%2Fimages%2Ftitle2.gif) |
크기 |
높이 17-20m, 지름 1m |
잎의 특징 |
잎은 나선상으로 달리지만 옆으로 뻗은 가지에서는 우상으로 보이며 선형이고 길이 1.5-2.5cm, 폭 0.3cm정도로서 끝이 뾰족한 미철두(微凸頭)이며 넓은 예저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에 2줄의 연한 황색줄이 있으며 중륵이 양쪽으로 도드라지고 잎이 2-3년만에 떨어진다. |
꽃의 특징 |
꽃은 1가화로서 4월에 피며 수꽃은 6개의 인편으로 싸여 있고 8-10개의 수술과 8개의 꽃밥이 있으며, 암꽃은 10개의 인편으로 싸여 있다. |
열매의 특징 |
열매는 8-9월에 익으며 컵같은 적색 종의안에 난형의 종자가 들어 있다. 암수나무가 따로 있는데 암나무는 가을에 동그랗고 빨간 열매가 열리므로 더 아름답다. |
가지/목피 |
높이 17m, 지름 1m에 달하고 가지가 퍼지고 큰 가지와 줄기가 적갈색이다. 어린 가지는 녹색이나 2년후 갈색으로 변한다. 뿨리는 잔뿌리가 많다. |
기타특징 |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소백산의 주목 군락은 천연기념물 제244호로 지정되어 있다. ⓐ소재지:충청북도 단양군 가곡면 ⓑ면적:45,000ha ⓒ지정사유:학술림 ⓓ수령:200~500년 ▶변재는 폭이 좁으며 황백색이고 심재는 자홍색 또는 맑은 홍색으로 심, 변재 |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namu-ro.com%2Ftree_search%2Fimages%2Ftitle3.gif) |
이용가치 및 용도 |
▶주요 조림수종 : 내음수종 ▶정원수, 공원수, 생울타리용, 토피아리용(Topiary), 독립수, 분재용으로 쓰인 다. ▶목재는 조각재, 공예재, 기구재, 건축재로 사용된다. ▶열매는 독이 있어서 먹으면 설사를 하나, 지엽(枝葉)을 지삼(紫蔘)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잎은 diterpenes 화합물을 함유한다. 즉 taxinine, taxinine A,H,K,L 등을 함유하며 또 ponasterone A, ecdysterone, sciadopitysin을 함유한다. 어린 가지는 taxine을 함유하고 莖皮(경피)는 항백혈병작용과 항종양작용이 있는 taxol을 함유하며 心材(심재)는 taxusin을 함유한다. ②약효 : 이뇨, 通經(통경)의 효능이 있다. 신장병, 당뇨병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잎은 3-6g, 껍질을 벗긴 작은 가지면 9-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
유사종 |
▶회솔나무(var. latifolia Nakai) : 엽폭이 3-4.5mm이며 중부 이북과 울릉도에서 자란다. ▶설악눈주목 (T. caespitosa Nak.) : 원줄기가 옆으로 기며 가지에서 뿌리가 발달하여 눈잣처럼 된다. ▶구주주목(T. baccate) : 유럽, 북미, 북아프리카 등이 원산 |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namu-ro.com%2Ftree_search%2Fimages%2Ftitle4.gif) |
발생 병충해 |
병해 : 잎마름병, 충해 : 선충 |
방제방법 |
▶잎마름병:배수가 잘 되도록 하고 질소 비료를 적게 시용하며 나무아래에 부초를 해준다. 발병 초기에는 다이센 M-45 600배액 이나 디포라탄 800배액 또는 안트라콜 800배액을 7-10일 간격으로 3-4회 정도 살포한다. ▶선충 : 메틸브로마이드, DD, EDB, DBCP, 베이팜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