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리밍 서비스 '치지직'을 선보인 네이버가 방송 콘텐츠 관리 기준을 강화하고 있다. 법에 저촉되거나 부적절한 콘텐츠가 방송될 경우 네이버가 입을 타격을 우려해 리스크 관리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2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사행행위규제법 등 관련 법령을 위반하는 내용이나 사행심(우연한 이익을 얻고자 요행을 바라는 마음)을 조장하는 내용의 방송 콘텐츠에 이용 제한 조치가 취해질 수 있다고 알렸다.
네이버 관계자는 "최근 화이트데이 등 특정 시기에 진행할 수 있는 이벤트가 잇따라 있었다 보니 상품 제공 등 문의가 많았다"며 "향후 방송을 진행하는 창작자(스트리머)가 참고할 수 있도록 관련 내용을 공지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룰렛이나 사다리, 뽑기, 주사위 등 우연에 의해 재물·재산상 이익과 손실을 주는 경우에도 이용 제한 조치를 받을 수 있다. 후원 받은 스트리머가 룰렛을 돌려 나온 게임 아이템을 시청자에게 선물하는 경우, 금액의 크기나 구매 가능 여부와 상관 없이 현물 상품일 경우 등도 이에 해당한다. 현물 상품으로는 모바일 상품권(기프티콘)이나 수제로 만든 식품, 스트리머 본인의 굿즈(상품) 등을 예시로 제시했다. 네이버 관계자는 "현행법과 규제에 맞춰 콘텐츠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올 2월 '치지직'의 월간활성화이용자(MAU)는 200만명을 넘어서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1월 166만명 수준이었던 데서 약 35만명 증가한 수치다. 업계 관계자는 "규제에서 자유로울수록 창작자(스트리머)나 1020세대 젊은 구독자를 보다 빠르게 모으는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지만 법에 저촉된다거나 부적절한 콘텐츠 하나로 브랜드 전체가 타격을 입을 수 있는 만큼 엄격하게 운영하려는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앞서 네이버는 아마존의 스트리밍 플랫폼 '트위치'의 한국 철수를 계기로 지난해 12월 '치지직' 시범 서비스를 선보였다. 오는 4월 말 정식 서비스로 출시할 예정이다.
정유림 기자 2yclever@inews24.com
오늘 오전에는 후원 금액에 따라 bj의 퇴출이 결정되는 한 플랫폼 방송에서 자신이 후원하는 bj의 퇴출을 막기 위해 약 1억 5천만원의 빚을 지면서 후원하다 숨진채 발견되었다는 한 기사를 보았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후원은 강요가 아닌 개인의 선택이므로 책임도 본인에게 있다는 의견이 있고, 일부는 시청자들의 심리를 이용하여 더 많은 후원을 부추긴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방송을 시청하는 것, 유료 가입을 통해 후원을 하는 것은 운영자의 강요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bj가 의도적으로 가짜 계정을 만들어 시청자의 더 많은 후원을 유도했다는 한 bj의 증언, 거액 후원에 따른 심각한 사회적 부작용이 계속 발생하는 것을 보아 이에 대한 책임을 온전히 개인에게만 맡겨야하는지에 대해서는 개인적으로 회의적인 입장입니다.
첨부한 기사에 대해 '게임 아이템, 직접 만든 굿즈, 상품권 등을 단순히 선물하는데 문제가 있나?'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이러한 작은 이벤트들이 더 많은 시청자들의 경쟁심을 부추기고 더 심각한 부작용을 낳을 수 있기 때문에 엄격한 규제는 반드시 함께 따라와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첫댓글나도 안타까운 자살관련 뉴스를 얼핏 접하고 사실 아직도 도체 무슨 상황인지 이해를 못하고 있었단다... 이에 게시글 내용 관련 분야도 나로서는 매우 생소할 뿐 아니라 사실 거의 모르는 분야란다. 너무 생소하지만 나도 이번 기회에 좀 자료도 찾아보며 알아가려 한단다.
첫댓글 나도 안타까운 자살관련 뉴스를 얼핏 접하고 사실 아직도 도체 무슨 상황인지 이해를 못하고 있었단다...
이에 게시글 내용 관련 분야도 나로서는 매우 생소할 뿐 아니라 사실 거의 모르는 분야란다.
너무 생소하지만 나도 이번 기회에 좀 자료도 찾아보며 알아가려 한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