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sace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_
Alsace는 원래 독일 영토였습니다_
하지만 30년 전쟁(1618~1648,독일을 무대로 그리스도교와 카톨릭교 간에 벌어진 종교전쟁) 직후
웨스트팔리아 조약으로 1648년 프랑스 영토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독일은 비스마르크 등장으로 강국이 되면서 프랑스와 전쟁에서 승리하여
1871년 알자스를 지배합니다_
다시 독일이 1차 대전에 패배하자 1919년 알자스는 다시 프랑스령이 되었고,
2차 대전 초기 다시 독일이 지배하지만, 결국에는 패배하여 알자스는 다시 프랑스 국토가 되었습니다
프랑스는 1차 대전이 끝나고 알자사에 A.O.C 제도를 도입하려고 했으나,
마무리가 되기도 전에 1940년 다시 독일 영토가 되어,
Alsace의 A.O.C는 2차 대전이 끝나고 한참 있다가 1962년에 완성이 됩니다_
그리고 1972년부터 알자스 와인은 알자스 생산구역 내에서 병입 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_
Alsace는 15,000ha의 포도밭에서 연간 110만hl를 생산하는데
프랑스 A.O.C 화이트와인의 20%는 이 지방에서 생산됩니다_
Alsace의 와인은 라인강과 모젤강을 따라 유럽 전역으로 수출되었습니다_
중세에는 고급 와인으로서 왕족의 식탁에 오르는 등 그 품질이 뛰어났지만
1618년 30년 전쟁 때 포도밭이 황폐되어 그 뒤로 장기간 침체기를 거쳤다가
1918년 1차 대전 후에 소생했는데,
이 때부터 엄격한 품질관리에 힘써 현재는 프랑스 A.O.C 와인 중에 가장 좋다는 평을 받고 있을 정도 입니다
Alsace는 옛부터 중요한 지역이었기 때문에 국토분쟁이 많았고,
현재는 유럽의회가 설치되어 있는 통합유럽의 중심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Alsace 포도밭은 보주산맥의 구릉지대로 폭 1~2km로 남쪽은 스위스 국격에 접한 밀루즈에서
북으로는 스트라스부르까지 약 100km에 걸쳐 있습니다.
보주산맥에 있는 포도밭은 아름답기로 유명하다고 합니다_ 루이 14세도 감탄을 했을정도이니 ^^

Alsace 와인의 스타일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_
독일과 국경을 맞댄 북부 내륙지방으로 기후조건이 서늘한 날이 많아서 포도의 성장기간이 짧습니다_
그래서 청포도를 주로 재배하며, 소량의 로제와 가벼운 레드와인(Pinot noir)도 생산합니다_
옛적에 독일영토에 속한 적이 있었기 때문에 와인 스타일도 독일과 비슷하여 재배하는 포도의 품종도 동일하며, 병 모양도 목이 가늘고 긴 병을 사용합니다_
다만 독일과는 발효방법에 차이점이 있는데,
독일은 발효를 시킬 때 당분을 남겨 두어 스위트 와인으로 만들지만,
Alsace는 전부 발효시켜 드라이 와인을 만드는 것이 특징입니다_
99%가 드라이 와인이며, 알콜 함량도 11~12%입니다_ 독일은 8~9% 정도_
조금더 자세히 지리와 기후를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_
스위스 북쪽 라인강을 경계로, 행정구역상 Haut-Rhin(오 랭)과 Bas-Rhin(바 랭)에 속하는 곳입니다_
라인강에서 서쪽으로 30km 떨어진 곳에서 보주산맥의 언덕을 따라 약 100km에 걸쳐 있습니다_
내륙지방으로 보주산맥이 편서풍과 비를 막고 있어서 대서양의 영향력을 받지 않지만,
햇볕이 많고 프랑스에서 가장 강수량이 적습니다_
포도밭은 해발 180~360m의 경사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경사도는 25~65˚정도입니다_
그리고 모자이크 향태로 다양한 토양으로 구성되어 개성 있는 와인을 만든다고 합니다_
그러면 포도 품종에 대해서도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_
Alsace는 4가지 포도품종은 꼭 알아 두어야 합니다_

Riesling(리슬링)

Gewurztraminer(게부르츠트라미네르)

Pinot Gris(삐노 그리)

Muscat(뮈스카)
그외 Sylvaner(실바네르), Pinot Blanc(삐노 블랑)등 있습니다만 다 알거 까지 없을듯 합니다_
Alsace는 단일 품종으로 와인을 담으며, 대부분 상표에 사용하는 품종이 표시되는게 특징입니다_
레드 와인(Pinot noir)는 전체의 약 8% 정도를 차지하지만, 그 지역에서 소모됩니다_
그럼 이번에는 등급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_
Alsace의 A.O.C는 1962년에 정하여 90개의 명칭이 있습니다_
그러나 이름들은 상표에 나타나지 않고 위에 말했듯이 포도품종이 표시가 됩니다_
1983년 Alsace Grand Cur가 공식적으로 정해졌는데,
25개의 특별히 정한 지역에서 나온 것으로 상표에 이를 표시했습니다_
그랑 크뤼는 포도의 품종과 빈티지를 의무적으로 표시를 하게 되며
1986년에는 23개가 더해지고 현재는 총 51개가 되어 있습니다만, 말이 많은 편 입니다 ^^;
포도 품종은 주로 위에 말했는 4가지 품종(Riesling,Gewurztraminet,Pinot Gris,Muscat)로 제한을
받고 있습니다_ 하지만
2005년부터 Muscat가 빠지고 대신 10% 번위에서 블렌딩을 할 수 있게 규정이 바뀌었습니다_
Grand Cru는 전체 생산량의 5%밖에 되지 않습니다_
Alsace에서 늦게 수확하는 와인에 1983년 공식적으로 인정한 것으로 Vendange Tardive(방당쥬 따르띠브)
Selection de Grains nobles(셀렉시옹 드 그랑 노블르)가 있으며 Cremant d'Alsace(크레망 달자스)는 샴페인 방식으로 만든 발포성 와인입니다_
그러면 A.O.C를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_
Alsace 또는 Vin d'Alsace A.O.C
Grand Cru,Cremant d'Alsace를 제외한 알자스 모든 와인이 여기에 해당됩니다_
95%가 품종 이름으로 팔리며, 118개의 지명을 붙힌 화이트,로제,레드와인이 생산됩니다_

Cremant d'Alsace A.O.C
샴페인 방식으로 만든 스파클링 와인으로 화이트,로제가 있습니다_
품종은 삐노그리,삐노누아,삐노블랑,샤르도네,뮈스카로 만듭니다_

Alsace Grand Cru A.O.C
위에 말한 고급 4가지 품종으로 만듭니다_
그랑크뤼로 정한 51개의 명칭이 붙을 수 있으며 단일 빈티지이어야 합니다_
화이트만 생산을 하고 있습니다_

Vin d'Alsace Edelzwicker(뱅 달자스 에델쯔비커)
알자스에서 여러 품종을 블렌딩 된 유일한 레이블로 화이트만 생산합니다_
드라이 하며 풍부한 과실향과 산뜻한 산도가 있다고 하네요 ^^
Cotes de Tour A.O.C
1998년 신설된 것으로 Alsace 포도원에서 북서쪽에 있는 로렌 지방에서 나왔습니다_
레드,화이트,로제(Gamay)가 생산됩니다_

Alsace Vendange Tardive A.O.C
A.O.C 자체 명칭이 아니고 기본 A.O.C나 그랑 크뤼에 속하는 명칭입니다_
프랑스 A.O.C 와인 중 가장 엄격하다고 할 수 있다고 합니다_
늦게 수확한다는 뜻이지만, 1차 수확 후 남아있는 포도를 11월,12월에 수확하여 만듭니다_
드라이에서 스위트까지 여러 가지 타입이 있으며_ 5~20년 보관할 수 있는 고급와인 입니다_
주요 4가지 포도품종(게부르츠트라미네르,삐노그리,리슬링,뮈스카)으로 만듭니다_
스타일은 드라이 하며 약간의 당도를 가진 것이 특징이며 연간 12,000hl생산합니다_

Alsace Selection de Grains Nobles
위와 똑같이 A.O.C 자체 명칭이 아니며 기본 A.O.C 나 기본 그랑 크뤼에 속하는 명칭입니다_
이론적으로는 Alsace Vendange Tardive 뒤에 수확하도록 되어있지만,
실제로는 고급 Vendange Tardive 보다 먼저 수확을 합니다_
이 와인은 Botrytis(보트리티스) 영향을 받은 포도로 만들지만,
소뗴른느와 달리 우연히 생신 것만 수확하여 만들기 때문에 귀하고 값이 많이 비쌉니다_
5~30년 정도 보관이 가능 하며 주요 4가지 품종으로 만듭니다_ 연간 3,000hl 생산합니다_
참고로 Alsace는 전부가 A.O.C입니다_
포도밭 면적은 14,000ha 생산량은 110만hl이며
화이트와인 82%,레드와인 과 로제와인 8%, 발포성와인은 10% 입니다_
이렇게 간단하게 알자스를 알아 보았는데_ 어떠했는지 모르겠습니다_
생각외로 보르도,샹파뉴,부르고뉴 만큼 할건 없는거 같습니다_
Alsace역시 모든 정리가 끝난후 새로운 이야기나 업 할수 있는것이 있으면 하도록 하겠습니다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