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의뢰< 調査依賴 >는 청당< 請堂 >과 주사< 廚舍 > 2동< 棟 > 뿐이어서 안내< 案內 >된 집의 두채중의 하나이려니 하였더니 그렇지 않고 김씨문중< 金氏門中 > 종가< 宗家 >의 정침< 正寢 >이라고 한다. 이 정침< 正寢 >의 외부< 外部 >에 보백당< 寶白堂 >이란 사랑채 1동< 棟 >이 또 있다. 그러니 이번의 조사< 調査 >는 저절로 이상< 以上 >의 4동< 棟 >이 대상이 되었다. 정침< 正寢 >에는 가묘< 家廟 >가 부속되어 있다. 가묘< 家廟 >는 낮은 담장에 위요되었고 전면< 前面 >에 3문< 三門 >이 있다. 사< 祠 >는 정면3간< 正面三間 > 측면< 側面 >이 단간< 單間 >이다. 맞배지붕 홑처마의 소박한 집이다. 채색< 彩色 >되지 않았다.
정침< 正寢 >은 ㅁ자형<字形 >의 평면구성< 平面構成 >이며 전사랑후침< 前舍廊後寢 >의 전형적< 典型的 > 안동지방< 安東地方 > 제택류< 第宅類 >에 속한다. 최근에 수리되어서 집이 매우 깨끗하며 보존상태< 保存狀態 >도 좋다. 계명산< 鷄鳴山 >을 주산< 主山 >삼아 퍼진 형국< 形局 >에 맑은 흙이 있는 자리를 골라 상택< 相宅 >하였는데 안산< 案山 >은 황학산< 黃鶴山 >이다. 계< 鷄 >와 학< 鶴 >이 꾸민 득수길지< 得水吉地 >에 좋은 자리를 잡았다. 터전은 반듯하다. 산록< 山麓 >과 개울과의 사이 알맞은 높이에 약간 돋으락하게 기< 基 >를 열어서 하나도 허< 虛 >하지 않다. 그래서 ㅁ자형<字形 >의 집이 알맞게 생각되었나 보다. ㅁ자형<字形 > 집에서 전면< 前面 > 사랑채 지붕이 꺽이는 다른 지붕과의 접합< 接合 >을 고려한 팔작이 되는데 비하여 이 집은 본격적으로 팔작지붕을 구성하였다. 이것도 특성중의 하나가 될 만하다. 보백당< 寶白堂 >은 매우 좋은 집이다.
비례감< 比例感 >도 좋고 가구< 架構 > 등의 솜씨도 견실< 堅實 >하며 나이도 좋다. 보백당< 寶白堂 >은 정침< 正寢 >과 마찬가지로 최근에 개수< 改修 >되었다 하며 개수시< 改修時 > 교체< 交替 >한 목재< 木材 >가 아직도 백골< 白骨 >의 색을 지니고 있다. 정면3간< 正面三間 > 측면3간< 側面三間 > 홑처마 팔작지붕 단층집이다. 모든 기둥이 방주< 方柱 >이며 삼간< 三間 >중 어간< 御間 >과 좌협간< 左挾間 >은 대청< 大廳 >이고 우협간< 右挾間 >에는 방을 들였다. 측면< 側面 >이 2간< 二間 >이므로 방< 房 >도 2간< 二間 >의 규모< 規模 >가 되었고 대청< 大廳 >은 4간< 四間 >이다. 방은 평천장< 平天障 >이고 대청< 大廳 >은 연등인데 대청에는 우물마루를 깔았다. 방 앞쪽에 전퇴< 前退 >가 없다. 가구< 架構 >는 오량가< 五樑架 >이며 대청< 大廳 >의 측< 側 >, 후벽< 後壁 >은 판벽< 板壁 >에 문얼굴을 내어 바리지창을 달았는데 보통 그것이 여닫이인데 반< 反 >하여 이 집은 그것을 미세기로 구성하였다.
묵계서원< 默溪書院 > 소속의 4동< 棟 >이 모두 미세기로 되있어서 이는 어떤 약속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나 현< 現 > 주거인< 住居人 >들은 그것이 어떤 의미인지를 모르고 있다. 비록 보수< 補修 >되었으나 보백당< 寶白堂 >은 단아< 端雅 >하고 착실한 맛을 잃지 않았다. 서원< 書院 >의 사묘지< 祠廟址 >가 또 있다는 이야기는 청당< 請堂 >과 신주< 神廚 >를 보러가는 길에서 들었다. 청당< 請堂 > 등은 정침< 正寢 >에서 동쪽언덕을 넘어야 있었다. 청당< 請堂 >은 신식 담장 안에 있었다. 을축년< 乙丑年 >(1925년< 年 >)에 부설< 復說 >되었다 하며 정면5간< 正面五間 > 측면2간< 側面二間 > 규모< 規模 >이다. 넉넉하게 후< 厚 >한 나무를 사용하였으나 나이에서 오는 비전형적< 非典型的 > 요소< 要素 >의 삽입< 揷入 >은 어쩔 수가 없었나 보다. 겹처마의 팔작지붕이며 기단은 옛것을 그대로 재사용< 再使用 >한 와장대형석재< 臥長台形石材 >로 세벌대 만들었다. 상태가 매우 좋다. 김계행< 金係行 >, 옥고선생< 玉沽先生 >을 병설< 병說 >하였던 사묘지< 祠廟址 >가 청당< 請堂 > 뒷쪽에 유존< 遺存 >되어 있다.
세벌대 와장대< 臥長台 >의 기단< 基壇 >이 숙종년간< 肅宗年間 >의 모습 그대로 상존< 常存 >하며 외곽의 토병< 土병 > 또한 옛모습을 지녔다. 1868년< 年 >의 철거령< 撤去令 >으로 집만이 없어진 상태이다. 무엇보다도 토병< 土병 >과 소나무, 백일홍나무 등이 이루고 있는 유현< 幽玄 >한 정취< 情趣 >가 일품< 逸品 >이다. 더구나 토병< 土병 >은 거푸집의 흑방아 찧는 그런 고식< 古式 >이며 이 마을에 아직도 그런 병조기술< 병造技術 >이 전승< 傳承 >되고 있다. 하므로 이것의 보존에 유의< 留意 >하여야 되겠다. 이는 매우 중요한 조치가 될 것이다. 신주< 神廚 >는 한쪽에 따로 떨어져 있다. 동동남향< 東東南向 >한 주사< 廚舍 >1동< 棟 >은 안동지방< 安東地方 > 사대부< 士大夫 > 제택류< 第宅類 >에 매우 흡사하다. 특히 찰안토계동< 札安土溪洞 > 일대< 一帶 >의 태백산주가대< 太白山住家帶 >의 폐쇄형 평면< 平面 >의 집들에 상응< 相應 >한다.
이 집은 그런중에서도 고격< 古格 >이다. 도내< 道內 >에서 지방문화재< 地方文化財 >로 지정< 指定 >한 사가< 私家 >중에서 이만한 나이를 지닌것도 그렇게 많지는 못하다. 이점에서도 주목< 注目 >할 만 하다. 본< 本 > 서원< 書院 >은 보백당< 寶白堂 > 김계행공< 金係行公 >과 응계< 凝溪 > 옥고공< 玉沽公 >의 유덕< 遺德 >을 기리기 위하여 숙종< 肅宗 > 32년< 年 >(1706년< 年 >)에 토림< 土林 >이 발기< 發起 >하여 병설< 竝設 >하였다고 전한다. 이때의 집이 남았다고 한다면 이 주사< 廚舍 >가 유일< 唯一 >한 것이 되겠다. 주사< 廚舍 >의 각부분< 各部分 >에 보이는 기법< 技法 >은 주목< 注目 >할 만하다. 그중의 문비< 門扉 > 울개미의 투미리 같은 것은 아주 고격< 古格 >을 지녔다. 후대< 後代 >에 단절된 상대기법< 上代技法 >이 그냥 남았는데 이는 이 집을 지은 목수< 木手 >가 매우 보수적< 保守的 >인 노인< 老人 >이어서 전대< 前代 >로 부터의 기문< 技門 >에 유지< 維持 >되어 오는 도구< 道具 >를 써서 치목< 治木 >하였을 것이라 추정< 推定 >할 수 있다. 여러가지 부분< 部分 >의 법식< 法式 >과 기법< 技法 >의 보존< 保存 >은 매우 바람직하다.
김계행 - 문신, 자는 취사, 호는 보백당, 본관은 안동, 현감 삼근외 아들 1447년 진사가 되고 김종직과 교유, 성주,중주등의 교수를 역임한 후 1480년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했다. 고령 현감,부수찬등을 지냈고 이로부터 삼사의 벼슬에서 떠나지 않았다. 연산군 때 대사간으로 척신들의 잘못을 논박했으나 시정되지 않자 벼슬을 버리고 은거했다. 1498년 무오사화때 두번 투옥되었다. 이조 판서에 추증되고 안동군 길안면 묵계서원에 제향되었으며 시호는 정헌공이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