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곰팡이의 특징 1) 30억년 전부터 이 지구상에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2) 학술용어로는 균류 또는 진 균이라 부른다. 3) 생물학적으로 미생물보다 오히려 사람쪽에 더 가깝다. 4) 세포구조를 보면 사람과 곰팡이의 세포 속 엔 핵이 보이지만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세포 속엔 핵이 보이지 않는다. 5) 식물세포의 가장 큰 특징인 세포 벽을 가지고 있다. 6) 광합성을 하지는 못하고 이미 형성된 유기질을 이용한다. 7) 동물세포의 특징도 가지고 있다. 8) 대부분의 곰팡이는 산소가 필요한 숨쉬는 곰팡이다. 9) 미토콘드리아나 그 효소인 시토크롬이 없어 숨을 안 쉬는 곰팡이들도 많다. 10) 숨을 안 쉬는 곰팡이들은 대부분 당을 발효해 에너지를 얻는다. 11) 진핵 세포로 종속 영양 주이다. 12) 유기물이 있어야 생육이 가능하다. 13) 사물기생체로서 죽은 유기체에 기생하면서 생육하는 종류도 있다. 14) 활물 기생 체로서 살아있는 동 식물체에 기생하는 종류도 있다. 15) 내 건성(Aw낮아도 생육)으로서 건조 곡물 등 부패에 관여한다. 16) 낮은 ph에서도 생육이 가능하며, 그로 인해 산성 식품 변질이 가능하다. 17) 발효 식품을 생산하는데 작용한다. 18) 된장,고추장,간장, 술 제조에 이용된다. 19) 아밀라제. 프로테아제 등의 효소를 생산할 수 있다. 20) 구연산 등의 유기산을 생산한다. 21) 효모 및 버섯도 균류에 포함된다. (2) 곰팡이의 형태 1) 균사로 이루어져 있다. A.구성요소 a. 균사 - 곰팡이 세포가 길게 연결되어 있는 형태이다. b. 격 벽(격 막) - 균사를 이루는 세포를 구별 짓는 막 c. 균사체 - 균사의 집합체를 의미한다. d. 균핵 - 균사가 강하게 결합하여 이룬 단단한 덩어리 e. 포자 - 곰팡이 분류의 중요 기준 이다. f. 무성포자 - 분생포자, 포자낭 포자, 절 포자, 후막포자 g. 유성포자 - 접합포자. 자낭포자. 담자 포자 (3) 곰팡이의 생식 1) 무성생식 A. 출아 B. 분열 C. 포자형성 2) 유성생식 A. 융합 B. 감수 분열 (4) 포자에 따른 곰팡이 분류 1) 하등 곰팡이 A. 특징 a. 접합 포자 이다. b. 격막 없다. c. 다핵 체 균사이다. d. 유성생식(접합포자)을 한다. B. 종류 a. Mucor - 털곰팡이 이다. - 균사가 발달해 머리털 모양을 하고 있다.(장모 균) - 무성생식을 한다. - 포자낭 포자 형성 가 근과 포복지가 없다. b. M.rouxii - 아밀라제 생산력이 강하다.(누룩 곰팡이) - 아밀로법을 사용한다.(전분당화 및 알코올발효-약주 발효) c. Rhizopus - 거미줄 곰팡이 이다. - 균사가 발달해 있다. - 평판 배지의 경우 내부를 가득 채운다. - 가 근과 포복 지를 형성한다. d. R.nigricans - 고구마 연부병 a. R.delemar, R.japonicus, R.javanicus - 아밀로법에 이용된다. 2) 고등 곰팡이 A. 자낭균류 a. 자낭포자를 가지고 있다. b. 유성생식: 자낭포자(폐자. 피자. 나자기) c. 무성생식: 분생포자 - 종류 ㄱ. Monascus ●말레시아 홍주의 홍국, 붉은 색소 형성 B. 담자균류 a. 담자 포자를 가지고 있다. b. 버섯-핵산계 정미성분 함유 c. 식이섬유:버섯의 세포 벽 성분(표고버섯:Lentinan)독버섯 - 메주 미생물 ㄱ. 위치;표면-수분 건조:낮은 Aw ㄴ. 공기와 접촉: 호기적 조건 - 생육미생물 ㄱ. A.oryzae ㄴ. 내부 ●수분 충분:높은 Aw ●공기 차단:혐기적 조건 C.불완전균류 a. 유성생식을 하지 않는다. b. 유성세대가 없다. c. 무성세대만 존재한다. - 종류 ㄱ. Neurospora ●옥수수대에 발생, 붉은색 ㄴ. Trichoderma viride ●섬유소 분해능(셀룰라아제)섬유소-당 ㄷ. Aspergillus ●무성생식:분생포자 형성 ●건조 식품의 부패:곡물 등 ●효소 생산: 아밀라아제, 프로테아제 등 ●유기산 생산: 구연산 등 ●A. Oryzae: 황국 균, 효소생산. 누룩이나 메주 숙성(A.sojae) ●A.flavus; aflatoxin생산(발암물질) ●A.niger: 흑국균, 효소 생산, 유기산 생산 ㄹ. Penicillium ●푸른 곰팡이 ●붓 모양의 분생포자 ●식품부패, 페니실린 생산에 관여 ●P.citrinum: 황변미독, citrinin ●P.chrysogenum:페니실린 생산 ●P.roqueforti:로퀴포르 치즈의 숙성 ●P.camemberti: 까망베르 치즈 숙성 (5) 조류의 특징 1) 몸이 간단한 수중식물 이다. 2) 엽상체와 헛뿌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관다발이 없다. A. 엽상체 a. 연하고 미끄러워 물의 저항을 줄인다. b. 광합성을 하고 물과 양분을 흡수한다. B. 헛뿌리 a. 몸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b. 엽상체 아래 쪽에 주름이 생겨 그 사이에 포자가 생성된다. c. 2분 법으로 번식하는 종류도 있으나, 대부분 포자로 번식한다. d. 해조류는 포자에 꼬리가 달린 유 주자로 번식한다. e. 물과 양분을 몸 전체로 흡수한다. f. 엽록체가 있어 광합성을 한다. g. 뿌리, 줄기, 잎의 구분이 없다. (6) 조류의 종류 1) 해캄 A. 머리카락 모양으로 생겼다. B. 여러 개의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C. 하나 하나의 세포 속에 엽록체가 들어있다. 2) 유글레나 A. 몸에 엽록체를 가지고 있다. B. 광합성을 한다. C. 식물적인 특징과 동물적인 특징을 다 지니고 있다. D. 편모를 이용해 운동을 한다. E. 빛을 감지하는 안 점이 있다. 3) 규조류 A. 단세포 생물로 황백 색을 나타낸다. B. 생김새가 다양하다. C. 수중 생물의 먹이가 된다. D. 실패 돌말, 뿔 돌말, 깃 돌말 등이 있다. 4) 녹조류 A. 파래, 청각, 해캄, 클로렐라 등이 있다. B. 엽록소만 가지고 있어 녹색을 띄며 얕은 물속에서 자란다. 5) 갈조류 A. 미역, 다시마, 모자반 등이 있다. B. 녹조류보다 약간 깊은 물에 산다. 6) 홍조류 A. 김, 우뭇가사리 등이 이에 속한다. B. 엽록소 외에 붉은 색소를 갖고 있으며 깊은 바다에 산다. (7) 원생동물의 특징 1) 단세포동물이지만 세포질이 분화되어 있다. 2) 여러 가지 세포기관이 발달되어 있다. 3) 다 세포생물에서 볼 수 있는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4) 그 외에 세포 내 소화 (식 포, 수축포) 이분 법으로 번식한다. 5) 섬모, 편모, 위 족 등의 운동기관이 발달하여 이동할 수 있다. A. 위 족 a. 아메바와 같은 종류에서 볼 수 있다. b. 몸의 어느 부분에서나 생긴다. c. 위 족이 생길 때는 세포질이 운동방향으로 흘러간다. d. 위족 운동은 세포 단백질의 수축에 의해 일어난다. B. 섬모 a. 5-10mm정도의 비교적 짧은 털 모양의 것으로 많은 수가 물결을 일으켜 운동한다. C. 편모 a. 10-155mm정도의 비교적 긴 털 모양의 것으로 1-2개 나 있는 것으로 기본구조는 섬모와 같다. 6) 수축포, 식 포, 안 점, 색소체, 피레노이드 등을 가지고 있다. 7) 소화는 보통 식 포 안에서 이루어진다. 8) 리소좀 이라는 세포 내 소화기관이 붙어 있다. 9) 소화 효소를 식 포 속으로 내 보낸다. 10) 원생동물의 크기는 보통3-300mm 정도이다. 11) 대부분 2분 법에 의해 번식한다. 12) 짚신벌레는 경우에 따라 2분 법 이외에 접합을 하기도 한다. 13) 호흡기관은 가지고 있지 않으며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은 세포막을 통해 외계와의 사이에서 직접 확산에 의해 이루어진다. (8) 원생동물의 종류 1) 짚신벌레 A. 크기는 약 0.2mm정도이다. B. 밝은 곳에서 비추어 보면 육안으로도 관찰이 가능하다. C. 주택가나 목욕탕의 하수구 등에 많이 있다. D. 섬모로 운동한다. (9) 기생동물의 특징 1) 숙주를 완전히 파괴하지 않고 유지하는 경우이다. 2) 서로 다른 두 생물체의 관계에서 한 생물체가 다른 생물의 내부나 외부에 살면서 영양물을 얻어 먹으며 살아가는 생물이다. (11) 기생동물의 종류 1) 원충류 A. 근족충류 a. 이질아메바, 대장아메바, 기타아메바 2) 편모충류 A. 람블편모충, 질 편모충, 장 세모편모충, 주혈 편모충 3) 섬모충류 A. 대장섬모 충 4) 포자충 류 A. 말라리아, 톡소포자충, 폐 포자충, 사람등포자 충, 와 포자충 5) 선충류 A. 회충, 요충, 구충(12지장 충), 편충, 동양모선충, 분선 충, 선모충 B. 말체이사상충, 반크롭트사상충, 기타 사상충, 아니사키스, 기타 선충류 6) 흡충류 A. 간흡충, 폐흡충, 요꼬가와흡충, 이형흡충, 간질, 비대흡충, 주혈흡충, 극구흡충 7) 조충류 B. 유구조충, 무구조충, 광절열두조충, sparganum.왜소조충,쥐조충, 위립조충 (10) 기생동물과 숙주와의 관계 1) 종류에 따라 다르거나 특이한 상호관계를 가지게 된다. 2) 서로 오랜 세월 동안 생활하고 적응한다. 3) 필요 없는 것은 도태되고 필요 있는 것은 남아 있게 된다. 4) 일정한 종류의 숙주에서 발육하는 숙주 특이성을 갖게 되었다. 5) 숙주는 병원성을 가지게 되었다. (12) 기생동물의 분류 1) 내부 기생충 A. 체내에서 기생하는 기생충 B. 회충,편충 2) 외부 기생충 A. 체 표에서 기생하는 기생충 B. 머릿니, 옴 진드기 3) 이소 기생 A. 정상 기생 부위가 아닌 부위에 기생하는 것 B. 폐흡충 4) 중 기생 A. 기생충이 흔히 기생하는 숫자나 양보다 더 많은 기생충의 기생상태이다. B. 면역타협환자에서의 왜 소조충의 번식을 의미한다. 5) 다 기생 A. 여러 가지의 기생충이 동시에 기생하는 현상 6) 우리 나라 유행 인체 기생충 류 A. 원충 a. 이질아메바, 람블편모충, 질 편모충, 장구 충, 말라리아(삼일열원 충), 독소포자충 B. 윤 충 a. 선 충 - 회충, 편충, 구충, 요충,간모충, 장모 충, 말레이사상충, 장모 충 b. 흡충 - 간흡충, 폐흡충, 장흡충 c. 조 충 - 유구조충, 무구조충, 광절열두조충, 유구낭미충, 스파르가눔 C. 절지동물 a. 머릿니, 사면발이, 옴진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