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정선군 북평면 남평2리 봉화마을 마을만들기
1. 마을의 개요
■ 마을인구 : 총 242명(남자 126명, 여자 116명)
■ 농가수 : 총 102가구(농가는 58, 비농가 39, 공가 5)
■ 마을의 특징
◯ 현재 새농어촌건설운동을 3년째 준비해 오는 마을
◯ 논보다는 밭이 많은 마을
◯ 마을 내에 한국가스공사 연수원이 있어 마을과 1사1촌을 맺었음
◯ 농업기술센터가 마을에 있어 농법이나 작물의 품질관리에 많은 도움을 받고 있음
◯ 농업기술센터 3층에 강원지방통계청 정선 출장소가 있음
◯ 자원이 풍부하고 주민들의 단합이 아주 잘되는 마을
2. 주민참여 마을자원찾기
■ 일시 : 2008년 5월 20일
■ 장소 : 마을회관
■ 참석자 : 마을추진단 및 마을주민 등 30명. (주)마을디자인 3명
■ 자원찾기 결과
- 볼만한곳 : 상투바위, 용바위, 저수지, 여우바위, 꼭두산 시루구멍
- 마을유래, 전설, 이야기 : 임진왜란때 마을에서 봉화를 봉송해서 봉화마을이 됨, 봉화치 상투바위
- 마을 농특산물 : 친환경 풋옥수수(여량농협,냉동창고), 콜, 황기, 더덕, 고구마, 감자, 고추
- 특산먹거리 : 농주, 감자부침개(붕셍이), 코등치기국수(메밀국수), 가수기(칼국수), 수제비, 메밀부침개, 올챙이 국수
- 마을재주꾼 : 열두발 상모(이경재), 전통농악 상쇠(박점돌)
- 동물/곤충/새/어류 : 고라니, 너구리, 맷돼지, 오소리, 산토끼, 들쥐, 다람쥐, 날다람쥐, 쉬리, 퉁가리, 어름치, 쏘가리, 돌고기, 꺽지
- 민박가능한곳 : 하북골, 청원산장
- 주민 요구사업/숙원사업
• 저수지 낙시터, 동굴 탐사, 친환경 강냉이엿공장, 매화단지 조성
• 5가지 소득모델개발
• 장기발전전략 세우기
3. 마을의 자원
-앨범에 자원분포도 올렸음
4. 포럼의 실시
■ 일 시 : 2008년 6월 14일 오후 1시-오후 5시
■ 참석자 :
◯ 김주원 박사(강원발전연구원)
◯ 김기업차장(농촌공사 강원도본부)
◯ 박미리대표((주)디마르)
◯ ㈜마을디자인 연구원(박영선, 김종억, 김형석, 함승일, 윤흥준)
◯ 마을주민 25인
■ 주요 식순
◯ 내외빈인사 : 김주원 포럼회장
◯ 포럼 소개 : 김기업 포럼총무
◯ 마을발전전략 소개 : 박영선소장((주)마을디자인
◯ 질의 응답
◯ 뒷풀이 토론
■ 주요 협의 결과
가. 마을의 장기발전전략을 세우고 사업을 단계별로 실시한다.
◯ 마을의 100년대계를 세우고 단계별로 해갈 수 있는 일들을 찾는다.
◯ 새농어촌건설운동을 통해 기반을 정비하고 미래발전의 기본틀을 만든다.
◯ 종합개발사업 등을 인근 마을과 연계 추진하여 지역활성화의 거점으로 성장해 간다.
나. 소리마케팅을 하자
◯ 마을의 옛 이름이 다슬(多瑟) 이고 마을의 앞산이 오음산(五音山)이므로 소리마케팅으로 차별화하자
◯ 소리와 관련한 많은 옛이야기와 지명이름이 있으므로 소리를 특화하는 마을로 하자.
다. 한국가스공사연수원을 주요 타깃으로 한다.
◯ 한국가스공사 관계자 설문 및 방문자 설문조사 분석 실시. 특히, 연수 중에 마을과 함께 할 수 있는 것들이 무엇인지 파악한다(먹거리, 산악승마, ATV, 농박, 농촌체험 등)
라. 마을내에 있는 정선군농업기술센터의 잠재력을 활용한다.
◯ 마을기획에 있어 기술센터의 기획력의 도움을 받는다.
◯ 소득사업, 교육활동 등의 지속적인 지원을 받는다.
마. 마을의 지명과 자연자원, 문화자원을 스토리텔링으로 엮는다
◯ 마을자원도를 작성하고 마을전문해설사를 육성하고 스토리텔링 코스를 개발한다.
바. 마을의 자원을 활용한 자립형복지 모델을 개발한다.
◯ 지느러미엉겅퀴를 활용한 취미가공
◯ 친환경 옥수수를 활용한 옥수수엿
사. 임도를 활용한다.
◯ 임도를 활용하여 인근 장열리, 북면 여량리와 네트워크한다.
◯ 임도를 활용한 산악승마, ATB, MTB 등을 개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