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검
 |
- 검 입문 기초 지식
1. 배검(背劍) |
시작하기전 검신(劍身)을 왼팔 뒤에 붙임. |
2. 검결지(劍訣指) |
검을 쥐지 않는 손의 인지와 중지는 뻗고 나머지 손가락은 구부림.(엄지는 무명지에 붙임) |
|
* 방 법 ⓐ 전지, 후지, 측지 ⓑ 견전, 상가 ⓒ 봉검 : 왼손바닥을 펴서 검을 쥔 오른손등을 받듬 |
3. 호완(護腕) |
자검(찌름), 벽검(내려침), 추검(당김) 등에 사용 검결지를 손목(열결혈, 영도혈정도)에 붙임. |
4. 구보 |
| | |
- 32식 太極劍 기법 비결
01. 점검(點) |
집적거리듯 찍는다. |
|
- 역점이 검 끝(모서리부분)에 있게 하여 손목을 충분히 든다. |
02. 자검(刺) |
찌른다. |
|
- 역점이 검봉 끝에 있게 하여 팔과 검을 일직선으로 뻗는다. |
03. 소검(掃) |
무릎밑으로 쓸어버린다. |
|
- 역점이 검날 중부이상 |
04. 대검(帶) |
허리 높이로 평평하게 끌어당긴후 오른팔편다(말검과 다름) |
|
- 역점이 중부 |
05. 벽검(劈) |
후려친다. |
|
- 역점이 검날(중부이상)에 있게 하여 검과 팔은 일직선으로 뻗는다. |
|
ⓐ륜(輪)벽 : 둥글게 후려친다. ⓑ후 륜 벽 : 뒤에서부터 둥글게 후려친다. |
06. 추검(抽) |
당겨들인다 |
|
- 역점 없음 |
07. 절검(截) |
무릎밑으로 누른다(올린다) |
|
- 역점을 검날(중부) 앞부분에 있게 하여 검체가 사선을 이루게 한다. |
08. 요검(료) |
베어올린다. |
|
- 역점이 검날(중부이상) 앞부분에 있게 하여 검이 몸에서 멀리 떨어지지 않게 한다. |
09. 난검(亂) |
막는다. |
|
- 역점이 중부이하 |
10. 탁검(托) |
검이 평평하게 버틴다. |
|
- 역점이 중부이하 |
11. 쾌검(快) |
걸친다. |
|
- 역점이 검날(중부이상) 앞부분에 있게 하며 하박의 각도가 90" 보다 크지않게 한다. |
12. 격검(擊) |
사선위로(대각) 친다. |
|
- 역점이 중부이상 |
|
ⓐ반 격 |
13. 말검(抹) |
벤다. |
|
- 역점이 검날(중부이상) 바깥 부분(외면날)에 있으며 검이 수평을 이루게 한다. 허리높이이상 가슴이하정도 평평하게 끌어당겨 팔을 굽힌다. (대검과는 다름) | | |
- 42식 太極劍 기법 비결
1. 소검(소) |
요령은 야마분종과 같다 손은 어께 높이. |
|
- 역점이 중부이상 |
2. 참검(斬) |
검체가 수평을 이루게 하여 벤후 최종적으로는 검봉이 날보다 조금높게 |
|
- 역점이 2/3하부에서 중부,상부 모두있게 한다. |
3. 붕검(崩) |
딛는 발 허리 탄력으로 손목은 어깨 높이 검끝은 손목보다 조금 높게 |
|
- 역점은 중부이상 |
4. 압검(壓) |
내려누른다. |
|
- 역점이 중부이하 |
5. 천검(穿) |
검끝이 앞으로 뚫고 나간다. 검 운행이 몸에서 멀리 떨어지지 않게 한다. |
|
- 역점이 검 끝 |
6. 가검(架) |
머리보다 높게 평평하게 막는다. |
7. 추검(推) |
친다. |
|
- 역점이 중부 |
8. 제검(提) |
검을 비스듬히든다. 손목이마 높이 검끝은 손목보다 낮게 한다. | | |
- 外 太極劍 비결
1. 전(剪) : |
검 끝에 힘을 부가한다. |
2. 석(석) : |
칼날로 좌,우의 피육을 잘라낸다. |
3. 조(조) : |
검의 봉(鋒)으로 아래에서 위로 정복한다. |
4. 석(석) : |
적의 무기를 비스듬히 아래로 떨어뜨린다. |
5. 충(衝) : |
검신(劍身)을 내리고 직행하듯이 양손으로 찌른다. |
6. 교(絞) : |
검신을 비스듬히 위로 향하고 좌,우 비스듬히 돌리면서 조인다. |
7. 속(束) : |
검의 날을 위로 후퇴하면서 검신을 위로 하여 내찌르고 속(束)이 된 검날 공격을 한다. |
8. 운(雲) : |
검신을 위로 향하고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흡사 구름이 공중을 떠돌듯이 천천히 선전(旋轉)시킨다. - 검을 돌리는 노선을 수평으로 한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