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절 |
봄 |
여 름 |
가 을 |
겨 울 |
재배 지역 |
경기오산,동탄,안중,여주,충남 예산 등 |
강원도 둔내,횡계,진부 등 |
경기오산,동탄,안중,여주,충남 예산 등 |
경남하동,의령,신반,전남 광양 진월 등 |
3-6: 치즈는 어느 제품을 사용하고 있습니까? ㈜매일유업 제품을 사용합니다.
4. 감자튀김
4-1: 감자의 원산지는 어디입니까? 미국, 캐나다
4-2: GMO(유전자조작 농산물)을 사용하지는 않습니까? 사용하지 않습니다.
4-3: 감자는 어디에서 가공됩니까? 미국, 캐나다 현지 공장에서 가공합니다.
4-4: 감자에 표백처리를 합니까? 하지 않습니다.
4-5: 잔류농약 검사를 합니까?
프렌치프라이의 원료인 감자에 대해서 잔류농약검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4-6: 감자이외에 무엇이 들어갑니까? DEXTROSE, 산성피로인산나트륨, 식용유(대두유 OR 카놀라유)
4-7: 감자를 튀기는 기름은 어떤 기름이며, 얼마나 자주 바꿉니까? 식물성유지(콩) 입니다.
KFC(global) 유지관리기준에 의해 교체합니다. 국내법 제품산가기준치(5)보다 낮은 수치로 관리합니다.
4-8: 튀기는 기름이 콩기름인 경우 유전자조작 농산물이 섞여있지는 않습니까?
유전자조작 콩기름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4-9: 외국에서는 감자튀김에서 아크릴아마이드라는 발암물질이 검출되었다는데, 이와 같은 검사를 실시하고 있습니까? KFDA에서 감자튀김을 수거하여 검사 실시하였습니다.
4-10: 토마토케첩에 사용하는 토마토는 유전자조작 검사를 실시합니까? GMO free 토마토를 사용합니다.
5. 치킨
5-1: 치킨용 닭고기의 원산지는 어디입니까? 국내산 닭고기를 사용합니다.
5-2: 닭고기를 튀기는 기름은 어떤 것을 쓰고, 얼마나 자주 바꿉니까? 식물성유지(콩) 입니다.
KFC(global) 유지관리기준에 의해 교체합니다. 국내법 제품산가기준치(5)보다 낮은 수치로 관리합니다.
5-3: 닭고기에 첨가되는 식품첨가물은 무엇이 있습니까? 마리네이드(양념)
5-4: 닭의 사육환경이나 사료는 어떤 것을 먹이는지 알고 계십니까? 또는 관리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습니까? 치킨공급업체의 ‘직영’농장 무창계사 또는 평사에서 사육되며, 복합사료를 먹이고 있습니다.
6. 사이드 요리
6-1: 옥수수콘의 경우 원산지는 어디입니까? 미국
6-2: 옥수수콘의 경우 GMO(유전자조작 농산물)을 사용하지는 않습니까? 사용하지 않습니다.
6-3: 빙수의 얼음은 어디에서 공급되고, 어떤 상태로 배달됩니까? KFC 각 매장에는 자동제빙기가 있습니다. 각 매장은 자동제빙기에서 만들어진 얼음을 사용합니다.
6-4: 빙수나 아이스크림 기계는 얼마나 자주 청소합니까? 매장에서 매일 분해하여 청소합니다.
7. 포장용기
7-1: 포장용기에서 환경호르몬이 검출되는지 검사한 적이 있습니까? 정기적으로 검사하고 있습니다.
8. 쓰레기 처리
8-1: 평균 한 매장 당 하루에 몇 ℓ의 쓰레기가 배출됩니까? 약 200리터
8-2: 분리수거를 실시합니까? 실시합니다.
8-3: 일회용품을 줄이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습니까? 전매장 컵 보증금 제도를 실시하고 있고, 일부 매장은 다회용 컵/용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8-4: 미환불 일회용품 환경부담금은 어떻게 사용되어집니까? 미환불금은 노트, 화장지, 환경달력, 환경장학금을 지급하는데 사용됩니다.
9. 장난감
9-1: 장난감의 원산지는 어디입니까? 중국
9-2: 장난감으로 인해 다쳐서 온 경우가 있습니까? 없습니다.
9-3: 장난감에 사용되는 도료로 인한 아동피해가 있었던 적이 있습니까? 없습니다.
10. 기타
10-1: 수익에 대한 외국 본사와의 관계와 의사결정 구조와 구성은 어떻습니까? 기술제휴에 따른 로열티를 지급하고, 의사결정은 ㈜두산이 합니다.
10-2: 환경을 위한 노력은 무엇을 하고 있습니까?
1) 전매장 컵 보증금 제도 시행, 일부매장 다회용 컵/용기 사용
2) 미환불금은 노트, 화장지, 환경달력 제작/지급, 환경장학금 지급에 쓰임
첫댓글 이걸 작성하느라 업체들에서 얼마나 긴장했을까 싶네요. 흡족하진 않지만, 작성하면서 시민단체 욕하고, 그러면서도 시민들의 힘을 두려워했을 모습이 떠올라, 늘 농락 당하는 것 같았는데, 고소하군요. 그들이 언제쯤이면 정말 시민들의 건강까지 생각하는 기업윤리를 가질 수가 있을까요? 시민 파워 으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