윗눈꺼풀에는 눈꺼풀을 올렸다 내렸다 하는 근육(윗눈꺼풀 올림근/상안검 거근)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 근육의 힘이 약해서 윗눈꺼풀이 아래로 처지고 눈꺼풀 틈새가 작아진 상태를 눈꺼풀 처짐증(안검하수)이라고 합니다.
질병의 원인
눈꺼풀 처짐증은 태어날 때부터 있는 선천성과 나이가 들면서 혹은 외상을 입어서 발생하는 후천성으로 구분합니다. 선천성 눈꺼풀 처짐증의 대부분은 윗눈꺼풀 올림근의 발육이 잘못되어 힘이 약해진 경우로, 한쪽에만 생기기도 하고 양쪽 모두 생기기도 합니다. 선천성 눈꺼풀 처짐증을 가진 아기들은 출생 직후에는 눈을 거의 뜨지 못하다가 자라면서 조금씩 눈을 뜨게 됩니다.
목을 가누고 물체를 바라볼 수 있는 나이가 되면 이 환아들은 정면의 물체를 볼 때 고개를 위로 들어올리고 턱을 위로 쳐드는 증상을 보입니다. 후천성 눈꺼풀 처짐증의 원인으로는 외상으로 윗눈꺼풀 올림근을 다친 경우, 눈꺼풀을 올리는 신경이 손상된 경우, 중증 근무력증과 같은 신경 근육계 질환, 노인성 변화 등이 있습니다.
나이가 들어 윗눈꺼풀이 처지고 늘어져 안검 성형술을 받으려 하시는 환자분 중 상당수는 노인성 눈꺼풀 처짐증이 동반되어 있어 안검 성형술과 함께 눈꺼풀 처짐증에 대한 교정을 시행하여야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눈꺼풀 처짐증이 있는 분들은 만성적으로 이마에 힘을 주어 눈꺼풀을 들어 올리려고 하기 때문에 이마에 깊은 주름이 일찍 생깁니다.
증상
눈이 작고 항상 졸리운 눈처럼 보이는 경우, 양쪽 눈 크기가 차이가 심하고 한쪽에만 쌍꺼풀이 있는 경우 눈꺼풀 처짐증을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 정상적으로는 윗눈꺼풀이 눈동자 검은자위(각막)의 윗부분을 1~2mm 정도 덮고 있습니다. 이보다 검은자위가 더 많이 덮인 경우에는 눈꺼풀 처짐증이 있는 것으로 여길 수 있습니다. 눈꺼풀 처짐증이 있는 환자들은 눈을 뜨기 위해서 이마에 힘을 주어 들어 올려 이마에 주름이 잡히기 쉽고, 정면을 쳐다볼 때 턱을 위로 쳐들게 됩니다. 눈꺼풀 처짐증이 심한 경우에는 눈을 사용하지 않아 약시가 동반되기도 합니다.
진단
안검하수가 있는지 알아보려면 양눈썹을 엄지로 세게 누른 후(눈썹을 고정시킨 후) 최대한 아래를 보는 상태에서 최대한 위를 보게 합니다. 이때 눈꺼풀이 이동하는 거리를 측정하는데, 정상인이면 14mm 이상 이동하게 됩니다. 안검하수가 있으면 이 상안검거근의 기능이 14mm 이하로 떨어지는데 저하되는 정도에 따라 수술법이 달라집니다.
경과/합변증
윗눈꺼풀 처짐증의 수술은 완벽한 치료법은 아닙니다. 항상 수술 후 정상 눈처럼 눈꺼풀을 자유자재로 올리고 내릴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윗눈꺼풀 처짐증의 수술은 일반적으로 아래로 처진 윗눈꺼풀을 위로 끌어올리는 것이기 때문에 정면을 볼 때는 정상인 눈과 같지만 아래를 쳐다볼 때에는 윗눈꺼풀이 아래로 내려가지 못하여 눈 위의 흰자위가 보이고, 한쪽 눈만 수술한 경우에는 양쪽 눈이 달라 보입니다. 수술 후 한동안은 잘 때 눈이 다 감기지 않아 각막에 상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낮에는 인공 눈물을 사용하고 밤에는 연고나 테이프를 사용하여 눈을 보호해 주어야 합니다.
진단
아기가 태어나면 거의 시력이 없다가 눈을 계속 사용함으로 인해 시력이 발달하게 됩니다. 선천성으로 심한 눈꺼풀 처짐증을 가진 아기는 눈을 사용할 수 없어 시력이 발달하지 못하고 약시가 될 수 있습니다. 약시가 생기지 않을 정도의 눈꺼풀 처짐증에 대해서는 대체로 만 3~5세 경에 수술을 시행합니다. 하지만 눈꺼풀 처짐증이 심하여 시선을 가려 약시를 초래할 정도가 되면 이때에는 수술이나 다른 방법을 통하여 우선적으로 시력 발달을 도와야 합니다. 생후 2~3개월 이전의 아주 어린 아기는 우선 반창고를 이용하여 눈꺼풀을 이마에 끌어올려 붙이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정상 눈을 일정 시간 안대로 가려 눈꺼풀 처짐증이 있는 쪽 눈을 억지로 사용하도록 합니다. 이렇게 해서도 시력 발달에 지장이 있는 경우에는 조기에 수술을 시행하여야 합니다.
[눈꺼풀 처짐증의 수술 방법] 눈꺼풀이 처진 정도, 윗눈꺼풀 올림근의 기능 정도에 따라서 수술 방법을 선택하게 됩니다. 올림근 절제술은 윗눈꺼풀 올림근의 기능이 어느 정도 남아 있을 때 시행하는 방법으로 윗눈꺼풀 올림근의 일부를 잘라 내고 눈꺼풀을 위로 올려 붙이는 수술입니다. 올림근 주름 형성술은 노인성 눈꺼풀 처짐증에서 주로 시행할 수 있는 방법으로 늘어진 윗눈꺼풀 올림근을 주름잡아 짧게 해 주는 수술입니다. 외상으로 윗 눈꺼풀 올림근이 손상된 경우에는 손상된 부분을 봉합해 줍니다. 윗눈꺼풀의 기능이 전혀 없거나 발달이 매우 미약한 경우에는 위의 술식들을 사용할 수 없고 이마의 근육을 사용하여 눈을 뜰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합니다. 근막이나 인공 물질을 이용하여 눈꺼풀과 이마의 근육을 연결해 주거나, 혹은 이마의 근육을 아래로 당겨 내려 눈꺼풀에 직접 연결해 주는 방법이 이에 속합니다. 협조가 가능한 성인 환자의 경우에는 국소 마취하에 수술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전신 마취로 시행합니다. 소아는 전신 마취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