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화도는 한국 천주교회 창립초기부터 천주교와 연관을 맺고 있다. 조선에 최초의 선교사로 입국한 중국인
주문모 신부가 철종의 할머니 송씨와 며느리 신씨에게 각각 마리아로 세례를 준 것이 조정에 알려지면서,
왕족이었던 이들이 1801년 신유박해 때 순교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연유로 그동안 자식 상계군의 역모죄로
강화도에 귀향하야 살고 있던 은언군(철종의 조부)도 강화부(관청리 형방-천죽 강화성당 부근)에서 처형되었다.
강화도가 천주교와 또 다른 인연을 맺게 된 것은 1839년 기해교난을 겪으면서였다.
박해가 시작되면서 그동안 천주교 신앙이 유입될 때 이용되던 육로 통행이 여의치 않게 되자, 적당한 해로를
찾게 되는데, 이로 인해 한강과 맞닿아 있는 강화도 연안 뱃길이 중요하게 대두되었다.
특히 김대건 신부는 선교사를 입국시키기 위한 해로를 개척하려고 서울 마포를 떠나 이곳 강화 갑곶 앞바다
까지 왔으며, 그 후 연평도, 백령도를 거쳐 순위도 등산진에서 1846년에 체포된다.
그 뒤에도 이 강화 갑곶해안은 선교사들이 해로로 입경하기 위해서 반드시 지나가야 하는 통로가 되었다.
1866년부터 시작된 병인박해 때는 강화도가 혼란의 중심에 서게 된다. 대원군은 천주교 금지령을 내려
몇 개월 사이에 프랑스 선교사 9명과 천주교인 수 천명을 학살하는 사건을 일으키는데, 이로 인해 프랑스 함대가
강화도를 침범하게 된다. 그 결과 많은 사람들이 순교하였는데, 이곳 강화도에서는 1868년에 진무영
(현재 강화성당 부근)에서 최인서, 장치선, 박서방(박순집의 형), 조서방 등이 순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1871년에 이곳 갑곶에서 직접적인 순교사건이 일어났다. 강화도 해역에 미국함대 4척이 나타나
1866년 미국 상선 제너럴 셔먼호가 불탄 사건의 책임을 물어 통상을 요구했으나, 대원군이 이를 거절하게 되면서
군사적 충돌이 빚어진 것이다(신미양요). 이 사건으로 대원군은 천주교를 박해하였다.
그 결과 기록상 제물진두(현재 화수동성당 주변)에서 여섯 분이, 이곳 갑곶진두에서는 세 분이 순교하신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연인 즉, 미국 군함이 물러간 이후, 같은 해 5월 29일(양력(7월 16일) 고종은 더욱 철저하게 천주교인을 잡아
처벌하라는 내용의 교서를 좌우 포도대장에게 내리게 되었고, 이때에 미국 군함에 몰래 찾아간 일이 있었다는 죄로
이 세 분이 효수(梟首)된 것이다.
문헌상의 갑곶진두의 위치를 연구한 인천교구 성지개발위원회는 그 자리를 매입하여 지금의 갑곶순교성지를
조성하였고, 2000년 대희년을 맞아 집중적으로 개발하였으며, 사제를 파견하여 순례자들의 신심을 돕고 있다.
박순집 베드로는 1830년 10월 9일 서울 전생서(현, 용산구 후암동)에서 박 바오로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박 바오로는 군인(훈련도감 포수 捕手)이었기 때문에 1839년 기해박해 당시 많은 순교자들을
접할 수 있었고, 힘닿는 대로 순교자들의 시신을 수습하거나, 기록해두는 일을 자기 소명으로 여기며 사셨던 분이다.
이러한 아버지의 뒤를 따라 박순집 베드로 역시 훈련도감의 군인이 되었고, 1866년 병인(丙寅)박해가 일어난 뒤
새남터 순교현장에 군인으로 참여되어 주교와 신부를 비롯한 많은 분들의 순교 장면을 직접 목격하게 되었다.
이때부터 박순집은 아버지 박 바오로의 뜻을 이어가기로 결심하고, 몇몇 신자들과 함께 이 순교자들의 시신을 찾아
수습하고 안장하는 증거의 삶을 시작하였다.
병인박해의 영향으로 1866년 10월부터 1868년 4월까지 그의 일가에는 16위나 순교하실 정도로 큰 슬픔을 겪었으나,
박 베드로는 여러 박해와 검거망을 기적적으로 피하면서 끊임없이 자기 소명에 충실하였다.
공식적인 박해가 끝나갈 무렵부터 박 베드로의 증언활동은 더욱 더 바빠졌다.
성직자들을 영입하는 활동을 하는 한편, 자신이 보고 들은 모든 것을 정리하여
‘박순집 증언록’(『성황석두루가서원』)을 엮었다.
또한 많은 순교자들의 유해를 발굴하고 안치하면서 순교자들의 행적을 보존하고 증언하는 데 자신의 청춘을
모두 봉헌하였다. 또한 1888년 샤르뜨르 성바오로 수녀회가 처음으로 한국에 진출할 때, 자신의 셋째 딸
박항월(조선 최초 다섯 명의 수녀 중 한 분)을 하느님께 봉헌하였다.
1890년에는 인천에 사는 교우로부터 전교 요청을 받고 온 가족과 함께 제물포로 이사했다.
한국인 59명, 일본인 25명으로 시작한 답동성당(인천교구 최초 본당, 현재 주교좌 성당)에서 박 베드로는
초대주임 빌렘신부의 사목을 도우며 전력을 다해 전교에 힘썼다.
그 이후 주안 숙골(현, 도화동)에 밭을 사서 이주하여 살다가, 1911년 6월 27일 82세의 나이로 “예수, 마리아, 요셉”을
부르며 선종하였고 독쟁이(현, 용현동)에 묻혔다.
이처럼 박순집 베드로의 일생은 순교에 버금가는 정신으로 살아온 순교의 삶이었고, 순교자들의 행적을 따라온
증언의 삶이었다. 또한 그는 삶의 황혼기에도 인천 지역 복음화를 위하여 헌신함으로써 오늘날 인천교구 발전에
초석이 되어준 열정적 삶이었다.
이에 인천교구 성지개발위원회에서는, 용현동(독쟁이)에 묻혀 있다가 1961년 절두산에 천묘된
박순집 베드로의 유해를, 2001년 9월에 갑곶순교성지에 천묘하게 되었다.
첫댓글 산북공소의 Pr. <평화의 모후>, <구세주의 어머니>도 함께하는 자리랍니다..
성지에 대해 미리 공부하고 발을 디디면서 신앙선조들의 굳은 믿음을 마음에 새기는 시간이 되기를 간구해봅니다.. 아멘..^^
감사합니다.
이슬 자매님을 성지가이드로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