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자·연대 미상. 대원군이 경복궁을 고쳐 지을 때에 생겨나서 소리꾼들의 손에 차츰 세련되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제창 부분의 가사가 방아타령의 후렴과 같이 "방아로다"로 끝나는 점이 이채롭다. 이 노래가 생겨난 배경이 경복궁 중건을 원망하는 시대상의 반영이라는 견해와, 경복궁을 짓는 작업 과정에서 일의 능률을 높이는 '노작가'의 필요성 때문이었다는 견해가 있는데, 나중의 견해가 더 옳다. 노래의 짜임새 자체와 분위기가 씩씩하고 경쾌해서 비판적인 것과는 거리가 멀기 때문이다.
경기 민요 가운데서도 장단이 매우 빠르고 메기는 소리와 받는 소리가 "에헤"하고 두 장단에 걸쳐 길게 빼면서 시작하기 때문에 꿋꿋한 기상과 긴박감이 넘친다. 가락의 짜임새는 경기 민요의 제2형인 '라', '도', '레', '미', '솔'로 되어 있고, '라'로 끝난다.
(1) 파루(罷漏) : 조선 왕조 때에 서울 같은 큰 도시에서 새벽 네시쯤에 큰 종을 서른세번 쳐서 그 앞날 열시쯤부터 닫았던 성문을 열고 통행 금지를 풀던 신호. (2) 계명산천(鷄鳴山川) : 닭이 울어 날이 밝아 올 무렵의 산천. (3) 을축(乙丑) : 대원군이 경복궁을 재건하기 시작한 해인 1865년. (4) 경북궁 중건 : 이태조가 태조 4년인 1395년에 창건한 것을 1592년 임진왜란 때에 불에 타자 대원군이 1865년부터 1872년에 걸쳐 재건했다. 이때에 목재와 석재 따위의 건축재 조달과 공사비 염출로 크게 곤란을 겪었다. (5) 도편수 : 우두머리 목수. '대목'이라고도 한다. '소목'과 견주어서 큰 집을 잘 짓는 목수를 뜻하기도 한다. (6) 먹통 : 나무를 마름질할 때에 먹통의 실에다 먹물을 먹여 나무에다 선을 치는 연장. (7) 조하(朝賀) : 신하들이 조정에 나아가 임금에게 하례를 드림.
경복궁타령/경기민요
에~~~~~~ 1. 남문을 열고 파루를 치니 계명산천이 밝아온다 (후렴) 에~~~에헤이 에야 얼럴럴 거리고 방아로다 에~~~~~~~ 2. 을축사월 갑자일에 경복궁을 이룩일세 (후렴) 에~~~에헤이 에야 얼럴럴 거리고 방아로다에~~~~~~~ 3. 도편수의 거동을 봐라 먹통을 들고서 갈팡질팡 한다 (후렴) 에~~~에헤이 에야 얼럴럴 거리고 방아로다 4. 단산 봉황은 죽실을 물고 / 벽오동 속으로 넘나 든다 5. 남산 하고 십이봉에 오작 한 쌍이 훨훨 날아 든다 6. 왜철죽 진달화 노간죽하니 / 맨드라미 봉선화가 영산홍이로다 7. 우광쿵쾅 소리가 왠 소리냐 / 경복궁 짓는데 회방아 찧는 소리라 8. 우리나라 여덟도 유명탄 돌은 / 경복궁 짓는데 주추돌 감이로다 9. 석수장이 거동을 봐라 망망치를 들고서 눈만 끔벅 한다 10. 우리 나라 여덟도 좋은 나무는 / 경복궁 중건에 다 들어 간다 11. 경복궁 역사가 언제나 끝나 / 그리던 부모처자를 만나 볼까 12. 도봉이 주춤 삼각산이 떨어져 / 북악산 아래다 경복궁을 짓세 13. 삼각산은 천년산이요 / 한강수는 만년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