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s://blog.naver.com/akrhkdgns/223603450565
지적장애학생 교육지원, 이제는 강점기반 접근으로! 💡
© 🇮🇷, 출처 OGQ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교육지원, 이제는 단순한 보조를 넘어서 그들의 강점을 기반으로 한 교육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Michael L. Wehmeyer와 Karrie A. Shogren의 연구에서, 지적장애 학생의 **강점기반 접근(Strengths-Based Approach)**이 기존의 결함 중심 교육을 뛰어넘어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킬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그 핵심 내용을 간단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1. 강점기반 접근이란?
과거에는 지적장애 학생들의 결함이나 부족한 점에 초점을 맞춘 교육이 주를 이루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학생들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지 못하게 할 뿐만 아니라, 분리된 환경에서의 교육을 지속하게 했습니다. 이는 학생들에게 사회적, 학문적 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등장한 것이 바로 강점기반 접근입니다.
강점기반 접근은 학생의 강점을 발견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교육과 지원을 통해 개인의 발전과 참여를 최대화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즉, 학생이 가지고 있는 긍정적인 요소를 강화하고 발전시키는 것이죠. 이 접근법을 통해 학생들은 단순한 교육 지원을 넘어, 자기결정 능력과 사회적 통합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2. 강점기반 접근의 5가지 핵심 요소
1) 정상화(Normalization)
장애가 없는 학생들과 비슷한 교육적 경험을 제공하여, 장애 학생들이 사회적으로 통합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2) 최소제한환경(LRE)
지적장애 학생들도 일반 교육 환경에서 가능한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지원하여, 포용적인 교육을 지향합니다.
3) 자기결정(Self-Determination)
학생들이 스스로 결정하고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 주도적인 학습과 성장을 촉진합니다.
4) 장애의 사회생태학적 모델
장애를 단순한 결함이 아닌, 학생의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다차원적 요소로 이해하며, 이를 통해 개인 맞춤형 지원을 제공합니다.
5) 긍정 심리학(Positive Psychology)
강점을 발견하고 이를 활용해 행복과 성취를 이끌어내는 심리학적 접근을 통해, 지적장애 학생들도 자신의 강점을 기반으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3.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강점기반 접근의 적용
Michael L. Wehmeyer와 Karrie A. Shogren의 연구에 따르면, 강점기반 접근은 지적장애 학생들의 자립심과 사회적 통합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반 교육 환경에서의 통합을 통해 학생들은 학습 성과는 물론 사회적 기술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강점기반 접근의 핵심은 학생의 성장 가능성을 최대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개인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특히 **IEP(개별화교육계획)**에서도 학생의 성격 강점을 반영하여 목표를 설정하는 방법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 amir. koosha, 출처 OGQ
4. 결론: 강점기반 접근의 중요성
지적장애 학생들도 자신의 강점을 발견하고 이를 발전시킬 수 있는 교육적 환경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더욱 자신감을 키우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 기존의 결함 기반 모델에서 벗어나, 강점을 기반으로 한 교육이야말로 앞으로의 교육 패러다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강점기반 접근을 통한 지적장애학생의 교육지원의 재구조화
출처: Wehmeyer, Michael L(2015), The Oxford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and Disability
Shogren, Karrie A. (EDT), Wehmeyer, Michael L. (Edt), Singh, Nirbhay N. (EDT) 저(2017),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in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1. 머리말 및 개요 2. 강점기반 접근에 기여요인들 가. 정상화 나. 최소제한환경의 교육권리 다. 자기결정의 강조 라. 장애의 사회생태학적 모델 마. 인간능력 집중 | 3. 성격 강점 기반 접근 가. 개인 발전을 강조 나. 개인지원전략의 사용 다. 개인결과의 평가 4.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성격 강점기반 접근의 적용 5. 결론 |
1. 머리말 및 개요
제 1 장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역사를 통해 그리고 현대에 이르기까지 결함 기반 모델은 지적 장애를 지배하고 지적 장애가 있는 학생 교육에 적용 할 때 서비스 및 지원 조직을 형성했다. 지적 장애가 있는 학생에게 분리된 교육 프로그램 및 제한된 교과 내용을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데 기여했다. 지적 장애를 가진 학생들은 분리된 교실과 학교에서 계속 교육을 받으며 최근 통합된 배치를 향한 진전이 이루어지고 있다(Kurth, Morningstar, & Kozleski, 2014)
지적 장애 학생의 지속적인 분리는 본질적인 가정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결함 기반의 장애 접근법, 즉 그러한 학생들은 같은(homogeneous) 치료 집단에 속해 치료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한다(Jackson, Ryndak, & Wehmeyer, 2008-2009). 이 별도의 치료 모델은 결함를 정량화하고 결함을 개선하기 위한 전략을 실행하는 중요성에 대한 가정에 의해 주도된다. 이 가정은 학생의 강점을 구축하고 지원하기보다는 결함을 다루는 교육 서비스를 구조화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Snell et al, 2009; Wehmeyer et al., 2008). 이러한 실행은 사회적(예:또래와 상호작용고 배우는 기회의 부족), 학문적(예, 대학교육과정의 도전에 접근 부족)으로 해를 끼쳐왔다. (Ryndak, Jackson, & White,2013)
강점 기반 접근은 기능의 결핍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대체적인 관점을 제공한다. 장애가 없이 생활하고, 활동하고 놀 수 있는 통합환경에서 연령에 적합한 요구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환경에 기반하여, 학생의 강점과 개인의 성장과 참여의 최대화에 기반한 요구에 근거한 지원은 인간 기능과 개인적인 결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도구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지원은 분리를 필요로하지 않으며, 사실, 지적장애를 포함하여 기준 환경이 연령에 적합하고, 모두 접근할 수 있는 통합된 환경이 제공되어야만 한다는 가정에 근거한다.
강점기반 접근 태도의 교육적 실행의 이동으로, 지적장애 학생을 위해 조직을 재구조화하는 것은 교육적 서비스와 지원을 전달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첫째, 우리는 강점기반 접근 이동에 참여하는 요인들을 확인한다. 둘째, 우리는 강점기반 접근의 보상을 설명한다. 셋째, 우리는 간략히 지적 발달장애 학생의 지원과 서비스를 재구조화하는 강점기반 접근 지원의 함의를 논의한다. 이러한 접근은 4장에서 자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이 장을 통해 강점기반 접근은 (a)개인 발달에 집중 (b)주요 생활 영역, 개인적 안녕감 영역과 인간 기능의 영역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인 지원 전략, (c)개인 결과에 지원 전략의 영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제한하여 설명한다.
2. 강점 기반 접근법으로의 전환에 기여하는 요인
장애와 관련 분야에서 여러 가지 상호 연관된 움직임은 강점에 기반한 접근 방식으로 전환하는 데 기여했다. 이러한 운동에는 정상화, 장애 권리 운동, 최소 제한적인 환경의 교육 권리, 자기 결정에 중점을 두는 것, 장애의 사회 생태학적 모델, 인간 역량에 초점, 긍정 심리 등이 포함됩니다. 각각은 이 장의 이 절에서 설명된다.
가. 정상화
“장애인도 보통 사람이다.”라는 프랑스 의사 피넬의 주장을 철학적으로 표현한 말이 정상화이다. 이 용어는 덴마크의 뱅크-미켈슨(Neils Bank-Mikkelsen, 1959), 스웨덴의 니르에(1969)와 울펜스베르거(Wolfensberger, 1972)에 의해 새롭게 정의하여 장애인 서비스에 적용하고자 하였다.((Wolfensberger, 1980)
Bengt Nirje(1969, 1972)의 정상화 운동을, 지적장애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기여 수단 중 하나로 확인하였다. 정상화 운동의 기본 원칙은 지적 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자신의 삶을 살아가기 위해 지원되어야 하며, 장애가 없는 연령대의 동료들과 비슷한 경험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상화 운동은 지적 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가능한 한 정상에 가깝게 생활 할 수 있도록 하는 권리와 중요성을 설명하여 모든 사람들이 경험할 수 있는 삶의 유형과 조건을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북미의 울펜스버그(Wolfensberger,1972)는 정상화는 “장애나 기타 불이익을 경험하는 모든 사람에게 가능한 한 사회의 일반적인 환경 및 생활방식과 유사하거나 실제로 동일한 삶의 형태와 일상생활의 조건을 제공해 주는 것”(Nirje, 1985)을 의미한다고 하였다.
"정상화"(Wolfensberger, 1972)라는 개념은 가족과 옹호자들에 의해 널리 받아들여지면서 지적장애인을 사회의 주류로 통합시킨 정책으로 이어졌다. 그러한 노력은 완전한 대형시설의 폐쇄, 자기 결정, 완전 통합에 대한 현대적인 추진력을 제공하였고 절정에 이르렀다.Elisabeth M. Dykens(2006)
그런데 정상화될 환경이 무엇이냐에 따라 여러 가지 이름으로 변형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같거나 비슷해야할 환경이 학교일 경우는 주류화라는 말이 사용되고, 그 환경이 지역사회일 경우는 탈수용화라는 말이 사용된다. 다시 말하면 주류화나 탈수용화는 정상화의 구체적인 예들이다.(김삼섭,임영원, 2008)
정상화의 원칙과 중요하게 연관된 이동은 지적발달장애인의 서비스를 조직하는 기존 모델에 도전하여, 지원과 서비스를 전달하고 설계하는 토대의 중요한 변화를 이끌었다. 이러한 변화의 최고는, 모든 인간이 가치를 가지는 또래연령에 적합한 활동과 경험에 참여하고 지역사회 모든 자원에 완전히 접근할 수 있는 지적 장애인의 인간의 권리에 더 집중한다는 것이다.
나. 장애인의 권리 운동
여성과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이끄는 정상화 원리과 시민권 운동의 출현을 바탕으로, 장애인 권리 운동은 지체 장애인이 주도하는 자립 생활 운동부터 시작하여 지적장애인이 주도하는 자기 옹호 운동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움직임에 결정적이었던 것은 장애인들이 조직하고 이끌어내는 조직의 등장이었다. 1980년대에 지적 장애인을 위한 단체가 출현하기 시작했으며 기존의 자조 그룹의 구조와 의도를 모방하고 개인적인 옹호를 위한 수단을 제공했다. 이 모임은 "자기 권리주창 단체"로 알려졌으며 지적 장애인 (Dybwad & Bersani, 1996)에 의해 조직되고 운영되었다. 1990년에 자기 옹호 운동의 지도자들은 자기권리 주창 단체의 국가적 입지를 제공하는 권한강화자기권리주창자연대[Self Advocates Becoming Empowered(SABE)]를 창설했다.
강점 기반 접근법에 대한 이러한 소비자 조직 및 통제된 조직의 중요성은 과소평가 될 수 없었다. 장애인 단체가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장애인 단체의 인정을 위한 기회를 제공했다. 지적 장애인의 역량, 그리고 환경이 기회를 창출 (및 제한)하는 측면에서 갖는 결정적인 영향이었다.
© CoolPubilcDomains, 출처 OGQ
다. 최소제한환경의 교육 권리
장애 권리와 부모 옹호 운동 (Turnbull, Shogren, & Turnbull, 2011)은 모든 학생의 교육 권리를 확증하는 법의 통과에 기여했다. 1975년 현재 장애아동 교육 법 (IDEA, 2004)으로 알려진 전장애 아동 교육법(P.L. 94-142)이 법률로 체결되었다. 이 공법은 장애가 있는 모든 아동이 무상의 적절한 공교육 (FAPE)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한다. IDEA는 특수 교육을 "미래의 교육, 취업 및 독립 생활"을 준비하는 장애 학생들을 위한 평등 한 기회를 장려하기 위해 특별히 고안된 교육으로 정의했다. 1997년과 2004년 개정 된 IDEA 개정안은 각 학생의 교육 프로그램 및 그 결과 특수 설계된 교육은 다음 두 근거를 기반으로 해야 함을 분명히 했다.
(a) 일반 교육 과정은 다른 모든 학생에게 제공되는 교육과정과 동일한 교육과정으로 정의된다.
(b) 학생의 특별한 학습 요구. "일반 교육 과정에 대한 접근" 명령은 특수 교육 서비스를 받는 모든 학생들이 일반 교육 과정에 참여하고 진도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지원뿐만 아니라 특별한 학습 요구를 해결하기 위한 목표 및 수정을 요구한다.
이러한 강조점은 특히 지적 장애가 있는 학생의 경우 교육과정 초점이 크게 바뀌었음을 나타낸다. 역사적으로 이러한 학생들을 위한 교육적 강조는 기능 교육과정의 적용 또는 그들의 특별한 요구, 기능적 학습의 요구(예 : 일상 생활 기술지도)를 충족하기 위한 특수한 교육에 초점을 둔 교육과정, 적응 기술의 결함의 교정을 해오고 있다.(Browder, Spooner. & Meier, 2011),
무상의 적절한 공교육 받을 권리 이외에, IDEA는 특별히 설계된 교육이 최소 제한 환경 (LRE)에서 제공되어야한다고 한다. 제 1 장에서 논의 된 바와 같이, 법은 장애가 있는 아동들에게 최대한 적절한 것은... 특수학급, 분리된 교실, 정규 교육환경에서 보조기구와 서비스의 사용으로 성취될 수 없는 중도 또는 경도를 가진 장애학생의 퇴학후 비장애학생과 함께 교육받는다라고 진술한다. 최소 제한 환경의 권리는 특수 교육이 특정 환경과 연결되어서는 안 되며 대신 일반 교육 과정에 접근하고 학생들의 특별한 학습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 가장 적합한 환경에서 제공되어야한다고 강조했다.
적절한 보충 교재와 서비스를 갖춘 일반 교육 교실에 배치 될 것이라는 가정과 함께 일반 교육 교실에서 교육받은 지적 장애 학생들은 학년과 관련된 학업 과제에서 공부할 확률이 높다. 교과 내용을 거의 학년 수준으로 적용하는 자기 통합 교실에서 (Matzen. Ryndak, & Nakao, 2010; Soukup, Wehmeyer, Bashinski, & Bovaird. 2007), 지적 장애가 있는 학생들이 일반 교육 환경에서 핵심 내용 교육에 대한 진전을 이룰 수 있다.(Lee, Wehmeyer, Soukup, & Palmer, 2011; Roach & Elliott, 2006 : Shogren, Palmer. Wehmeyer , Williams-Diehm, & Little, 2012). 이러한 결과는 일반 교육 교실에서 교육을 받는 것이 학생들이 도전적이고 학년 수준의 교육과정에 접근 할 수 있는 정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Lee et al., 2010 : Wehmeyer, Lattin)
이러한 가정에도 불구하고 많은 학교에서는 여전히 연속적 배치를 운영하고 있으며 장애의 심각성과 학교 교육 과정, 절차 및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지적 장애 학생을 어디에서 교육해야 하는지에 대한 결정을 계속하고 있다(Jackson Ryanak & Wehmeyer, 2008-2009. IDEA 통과 이후 통합적인 배치 위치가 약간 증가했지만 지적 장애 학생의 대다수는 여전히 분리된 교실과 학교에서 주로 공부한다 (Kleinert 외 2015, Morningstar, Kurth, & Johnson, 2015).
IDEA의 통과는 일반 교육 과정에 대한 접근성에 중점을 두고 지적 장애 학생의 능력, 일반 교육 과정 내용에 대한 권리 및 특별한 학습 요구, 학생의 강점을 표현하고 발전시키는 기회를 형성하는 환경의 역할에 연계된 교육에 대한 이해를 증진 시켰다.
라. 자기결정의 강조
1990 년대 초 지적 장애 학생들의 개인적인 자기 결정을 장려하는 특수 교육 분야에 중점을 두었다. 이는 정상화와 장애인 권리 운동의 원칙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며, 지적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포함하여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삶을 다룰 권리가 있고 지지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는 중요성을 강조했다(Ward, 1996). 자기결정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움직임은 인간 역량과 긍정 심리학과 관련된 긍정적 강점 중심의 특성의 발전을 이해하고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1975년 IDEA의 통과에도 불구하고, 1980년대 말과 1990년대 초반에 학교에서 성인 생활로 옮겨 가면서 장애가 있는 학생이 겪고 있었던 열악한 결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지적 장애 분야에서 자기 결정에 중점을 두었다 (Blackorby & Wagner, 1996).
정책 변화에도 불구하고, 지적 장애 학생들이 열악한 결과를 겪고 있음을 보여주는 자료가 계속되었다. 자기 결정을 촉진하거나 학생이 평생 동안 행동원인의 주체(causal agent)가 될 수 있는 기술과 태도를 개발하도록 지원하는 것이 더 나은 결과를 촉진하는 한 가지 방법으로 떠올랐다. 결함 기반의 장애 개념화 하에서, 지적 장애 학생이 선택과 결정을 내리고 삶의 목표를 세우는 데 적극적 역할을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제한적이었다. 사실 많은 지적 장애인에게 가능한지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그러나 연구자들은 장애인에 대한 선택과 조절의 부재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을 문서화하기 시작했다(Shogren, Bovaird, Palmer. & Wehmeyer, 2010. Wehmeyer & Palmer, 1997). 지적 장애 학생들이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혁신적인 전략이 주목을 받았다(Ward.2005).
자기결정은 장애 및 특수 교육 분야에서 큰 관심을 받았으며, 긍정적인 자질을 쌓고 지적 장애 학생이 평생 동안 행동원인의 주체자(casual agents)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변화는 긍정적인 학업 성취 (Konrad, Fowler, Walker, Test, & Wood, 2007; Lee, Wehmeyer, Palmer, Soukup, Little, 2008; Shogren et al., 2012)와 성인 결과(예: 고용, 독립 생활) (Shogren, Wehmeyer, Palmer, Rifenbark, & Little, 2015. Wehmeyer & Palmer, 2003 : Wehmeyer & Schwartz, 1997).의 달성과 관련이 있었다.
연구는 또한 향상된 삶의 질과 삶의 만족도와 향상된 자기 결정을 연결시켰다 (Lachapelle et al., 2005; Nota, Ferrari, Soresi, & Wehmeyer, 2007; Shogren, Lopez, Wehmeyer, Little, & Pressgrove, 2006; Wehmeyer & Schwartz, 1998). 이와 같이, 자기 결정에 대한 강조는 강점에 기반한 접근 방식의 채택과 교육 환경에서의 장애의 사회 생태적 모델을 야기했다.
© CoolPubilcDomains, 출처 OGQ
마. 장애의 사회 생태 모델
장애의 사회 생태 모델은 그 사람과 그/그녀의 환경 사이의 상호 작용을 예증한다. 이 모델은 인간의 기능에 대한 다차원적 이해를 포함하고 있으며, 개별화된 지원이 인간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에 중점을 둔다. 사회 생태학적 모델은 장애를 사람의 역량과 환경 요구 사이의 적합성의 상관관계로 정의하며 세계 보건기구 (WHO)의 국제 기능 분류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와 지적 발달 장애에 관한 미국 협회 (AAIDD)(Luckasson et al., 2002 : Luckasson et al., 1992; Sehalock et al., 2010)의 용어 및 분류 시스템에서 채택되었다.
개인적 역량과 환경 요구 사이의 불일치가 존재할 때 Buntinx와 Schalock (2010)이 논의한 것처럼 불일치를 효율적으로 다루고 인간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지원을 확인하고 조정해야 한다. Schallock et al.(2010)및 세계 보건기구 (2001)에서 인간 기능은 삶의 활동에 대한 포괄적인 용어이며 지적 능력, 적응 행동, 건강, 참여, 맥락 등 5 가지 차원을 포함한다. 강점 기반 접근법으로 옮겨가는 요인으로 지적 생태계의 사회적 생태 모델
(a) 지적 장애와 관련된 방대한 생물학적 및 환경적 복잡성을 인식하고,
(b) 장애가 있는 사람의 본질적 특성을 파악하며
(c) 생태 체계(예 : 미시, 중간, 거시 체계)에 걸쳐 지원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생태 (즉, 사람 x 환경) 체제를 수립하고,
(d) 지적 장애의 징후가 역동적이고 상호적인 참여, 적응 행동, 건강, 참여, 맥락을 포함하는 여러 요소 중 하나입니다.
사회적 생태 모델의 장애는 또한 고전적 이론, 도그마 또는 현상에 대한 모호한 개념을 뛰어 넘어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는 생태적 요인에 대한 인식을 위한 토대를 제공하는 지적 장애에 대한 기능적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변화는 인간의 기능과 개인적 안녕을 이해하고 향상시키는 보다 총체적인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Luckasson과 Schalock (2013)이 정의하고 논의한 바와 같이, 지적 장애에 대한 기능적 접근은 인간 기능 차원, 상호 작용 시스템 지원 및 인간 기능 결과를 포함하는 시스템 관점을 포괄한다. "기능 접근법"은 " 기능적 교육과정 "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언뜻 보기에는 두 용어가 관련되어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교육 시스템에서의 지적 장애에 대한 기능적 접근은 인간의 기능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포함한다 : 통일된 언어; 평가, 중재 및 결과의 연계; 증거 기반 실천의 채택. 기능적 교과 과정은 일상 생활, 직업 및 공동체 생활 기술을 가르치고 배우는 데 집중하는 것이다(Bouck & Satsang, 2014).
사회 생태학적 관점에서 장애를 파악하는 궁극적인 목표는 최적의 인간 기능을 증진시키는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진단 및 분류의 목적은 인간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데 필요한 지원을 확인하는 것이다.(Thompson et al., 2009). 교육 지원 본문에서 이러한 지원은 새로운 기술 개발, 보편적 설계, 자연적 지원, 기술 지원 또는 "개발, 교육, 이해 및 개인 안녕감을 장려하기 위한 기타 자원 및 전략을 통해 환경 변화를 촉진하는 지침이 될 수 있다(Schalock et al., 2010, p.175). 또한, 이러한 지원에 대한 행동원인의 주체자가 되어야하며 목표를 설정하고 미래에 대한 목표를 창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 Schalock et al. (2012)는 통합적인 환경에서 참여와 학습을 위한 지원을 식별하는 중요성과 지적 장애 학생의 통합적인 환경에 대한 접근을 촉진하기 위한 협력 팀 구성 및 계획을 통해 환경을 구성하는 역할을 강조했다.
마. 인간역량 집중
강점 중심 접근 방식으로의 움직임에 영향을 준 또 다른 요소는 인간 역량 집중이다. Brown, Hatton and Emerson, (2013), Burchardt(2008), Nussbaum (2009. 2011), Reinders and Schalock (2014)에서 논의 되었던 바와 같이 인간역량 집중은 사회적 정의와 통합 환경을 달성하기 위해 사회의 요구가 무엇인지를 제공한다. 개개인이 강조한 역량은 기술이나 능력의 동의어가 아니라, 오히려 실질적인 자유이거나 결합된 역량이다. 이러한 능력을 실천하려면 (예를 들어 학습 능력을 포함한 변할 수 있는 상태와 자심감과 같은 태도) 같은 내부 역량뿐만 아니라 내부 역량을 적용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사회, 정치, 경제적 조건이 모두 필요하다(Nussbaum 2011).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기능이란 사람들의 삶에서 능력이 어떻게 실현되는지를 말한다.
능력 역량은 세 가지 측면에서 강점 기반 접근 방식으로 전환하는 데 기여했다.
첫째, 토대는 "각 개인이 할 수 있고 할 수 있는 것"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통합에 필요한 역량의 한계점을 없애고 모든 환경에서 모든 사람들의 결합된 역량을 강조한다 (Nussbaum, 2009, Wolff, 2009).
둘째, Burchardt(2008)는 삶, 건강 및 신체적 통합, 개인, 사회, 가족 생활; 법적 안전장치; 적절한 생활 수준; 참여, 영향 및 목소리; 정체성, 자기 표현, 자기 존중; 교육 및 학습 : 생산적이고 가치 있는 활동을 포함하는 "가치있는 역량"이라는 경험적 조사의 기초를 발전시켰다.
셋째, 인간역량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자기 가치, 자기 결정, 주관적 안녕감, 자부심 및 참여를 포함한 장애 권리 운동에 내재된 원칙과 일치한다. 이것은 능력, 재능, 탄력성, 발달 과정 및 성취를 포함하는 긍정심리의 핵심주제를 보충했다. 이것은 권한 위임, 자기 결정, 가치 있는 역할, 활동적인 참여, 자기 조절, 선택, 통합환경과 관련된 삶의 질 향상 전략을 수월하게 한다.(Pazey, Schalock, Schaller, & Burkett, 언론 보도, Schalock & Verdugo, 2013).
바. 긍정 심리학
장애를 이해하는 방식의 변화하는 장애 분야의 노력과 병행하여, 지원 및 서비스는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조직화하고 있고, 심리학자는 심리학 분야의 결함 중심의 역사와 전통이 변화를 시작하고 있다. 특히, 인간 기능의 긍정적 측면을 강조하기 위해 심리학을 재구성하라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셀리그만(Seligman, 1999)은 미국 심리학회 회장으로서 "긍정 심리학"(p. 559)이라고 불렀던 "개인의 가장 긍정적 자질에 대한 이해와 구축을 강조하는 새로운 방향의 학문"을 요구했다. 긍정 심리학은 특수 교육을 포함한 심리학 및 관련 분야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그것은 강점을 이해하고 연구하는 틀을 강조했다. 긍정적인 속성과 가치와 관련된 구조에 대한 연구가 심리학 역사 전반에 걸쳐 존재했지만, 긍정 심리학은 결함기반 모델보다는 인간의 기능을 이해하는 강점 기반 모델을 제공한다. 셀리그만과 칙센트미하이(Seligman Csikszentmihalyi, 2000)는 긍정 심리학이 3 가지 기둥
(a) 긍정상태: 가치 있는 주관적인 경험,
(b) 긍정특질: 긍정적인 개인의 특성,
(c) 긍정기관: 시민의 가치와 그들을 지원하는 기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특징지었다.
긍정 심리학의 도입으로, 일반인에 대한 긍정심리학 연구는 급증하고 있다.(Yen,2010)
성격강점과 덕목의 분류 핸드북(Peterson & Seligman, 2004)은 진단 및 통계 매뉴얼이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과 마찬가지로 강점과 미덕을 정의하고 분류하는 시스템을 출판했다. 청소년의 성격과 덕목을 측정 할 수 있는 도구가 개발되었으며(Park & Peterson, 2006), 이러한 도구는 지적 발달 장애를 가진 청소년 판으로 검증 되었다(Shogren, Wehmeyer, Forber-Pratt, & Palmer, 2015, Shogren, Wehmeyer , Lang, & Niemiec, 2014). 또한 긍정 심리와 장애의 분야에서 일의 조화가 이루어져 인간 역량과 사람 - 환경 적합 모델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장애 분야에서는 강점을 구축하고 긍정 심리학 구조와 과정에 초점을 둔 연구가 증가했다(Shogren, Wehmeyer, Pressgrove, & Lopez, 2006). 긍정 심리학의 적용은 지적 장애인 (Dykens, 2006; Niemiec, Shogren, & Wehmeyer, 언론 매체, Shogren, 2013 : Wehmeyer, 2013)에서 탐구되었으며 자기 결정 및 성격 강점과 같은 구조가 가치를 증진하기 위해 교육적 맥락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강점 기반 중재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는 지적 장애를 가진 청소년에서 탐구 요약, 정상화 원칙, 장애 권리 운동, 교육 권리 운동, 자기 결정에 중점, 장애의 사회적 생태 모델, 인간의 능력과 긍정 심리에 중점을 두어 각각의 강점에 기반한 교육과 장애의 접근법의 출현에 기여했으며, 장애인을 이해하는 방식으로(way)을 변화했다.
© CoolPubilcDomains, 출처 OGQ
3. 성격 강점 기반 접근
강점 기반 접근은 인간 기능과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강점기반 지원 적용을 위한 방향을 제공하기 위해 결함기반 접근과 차별화되어야 한다. 아래는 강점기반 접근법에서 중점을 두어야할 핵심영역에 대해 논의하고, 지적 장애 학생을 위한 교육 지원에 강점 기반 접근법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가. 개인 발전을 강조
첫 번째 특징은 긍정 심리학 (Seligman, 2011)과 능력 접근법 (Nussbaum, 2011)에서 파생된 인간 플로리쉬(번영)를 촉진한다는 개념과 일치한다. 번성은 사람들이 스스로 결정한 행동을 통해 능력을 개발함에 따라 나타난다. 능력 접근법, 자기결정, 긍정 심리학은 가치 있는 개인적 결과로 이어지는 강점을 개발하는 과정에 집중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강조점은 사람이 할 수 없는 것, 성취할 수 없는 것이 아니라 대신에 사람이 할 수 있고 성취할 수 있는 것에 관심을 가진다. 또한 사회 생태적 접근과 지원의 도입으로 통합적이며 연령에 적합한 환경에 참여할 수 있는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접근법은 긍정적 결과에 이르는 과정과 사람들이 자신의 역량을 실현할 수 있도록 스스로 결정한 동기 부여의 역할을 강조한다. 강점 중심의 특성으로서, 개인 발전은 학생들이 경험의 세계를 확대하고 스스로 결정된 행동과 정상적인 활동에 참여할 기회를 가질 때마다 발생한다. 이런 식으로 보면, 개인 발전은 주어진 시간에 실현되어야 할 상황을 계획하기보다는 여정(journey)을 시작하는 것으로 가장 잘 이해된다. 과정(여정)으로 개인 개발은 학생의 능력을 향상시켜 실력을 키울 수 있는 힘과 능력을 키우는 것을 강조하는 학생 교육 전반에 걸친 지속적인 과정이다. 사람들이 성장하고 발전하며 번영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의 발견을 수반한다 (Reinders & Schalock, 2014).
나. 개인 지원전략의 사용
1980중반 이래 패러다임을 지원하는 생태학의 모델은 인간 중심 계획, 개인 개발 및 성장 기회, 지역 사회 참여, 자기 결정, 권한 부여 및 결과 평가의 결과를 가져왔다. (두번째 성격 강점기반 접근의)지원은 일상적인 생활과 개발, 교육, 흥미, 기능, 개인적 안녕감Thompson et al., 2009)을 증진할 지원을 위한 사람을 위해 고안된 전략 또는 자원(정보)으로 정의한다. 서비스는 지원, 교육, 치료법 또는 기타 지원을 위한 체계적인 수단이다.
지원 전략은 "무엇이"와 "무엇이 될 수 있는지" 사이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 실제 기술입니다. 개인 지원 전략은 적어도 세 가지 중요한 측면에서 교육 서비스의 강점 기반 접근법에 기여한다. 개별화 된 지원 전략은 적어도 세 가지 중요한 측면에서 교육 서비스의 강점 기반 접근 방식에 기여합니다. 첫째, 잠재적인 지원 전략을 체계화하여 학생의 개인 목표 및 평가 된 지원 필요에 따라 개별화된 지원을 계획 및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구성합니다. 둘째, 지원 자원을 통한 개별화된 지원의 조달 및 적용을 조정하기 위한 토대를 제공한다. 셋째, 개별화된 지원이 개인의 기능 수준과 개인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토대를 제공한다.
지원 전략은 주요 생활 활동 영역, 개인 안녕감 영역 또는 인간 기능의 차원에서 학생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할 수 있다. 표 2.1은 이 세 가지 지원에 대한 개요를 제공한다. 사람이 경험할 수 있는 상대적인 제한이나 취약성을 보완 할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강점과 성취 영역을 활용하고 구축해야 한다는 점도 중요하다.
표 2.2에서 이 장 의 각 장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 전략을 설명하기 위해 이 장의 범위를 벗어나지만 이 장의 다른 장에서 정교화 될 여러 가지 모범적인 지원 전략과 예상되는 효과를 나열한다. 그러나 통합 교육 환경에서 학습과 참여 모두에 대한 지원의 중요성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표 2.1 지원 제공 대상 영역
주요한 생활활동 분야 | 개인 안녕감의 영역 | 인간기능의 영역 |
특별한 의료지원요구 특별한 행동지원요구 가정 생활 활동 지역사회와 이웃 활동 학교 참여 활동 학교 학습 활동 건강과 안전활동 사회적 활동 자기옹화 활동 | 개인개발 자기결정 개인간 관계 사회적 통합 자유 정서적 안녕감 신체적 안녕감 물질적 안녕감 | 지적기능 적응기술 건강 참여 맥락 |
개인 지원전략과 기대 효과
집중 영역 | 모범적 지원 전략 | 참여효과 |
개인적 발전과 자기결정 | -개인 목표 설정을 용이하게 한다 -자기 조절과 수단(implement)을 가르쳐라 자기경영, 자기평가, 자기교수프로그램을 가르쳐라 -성격강점과 덕목을 세워라 -결정을 촉진하고 선호도를 사정 -기술개발 프로그램의 이행 -기술지원의 제공 | -동기를 촉진하라 -성공적 수행과 내적통제소재의 향상 -자기효능감을 증가하라 -동기증가 -학습과 독립성 촉진 -의사소통 촉진 참여 증가 -자기존중감과 임파워먼터 감 촉진 -내부통제소재의 촉진 -독립성, 생산성과 지역사회 통합 촉진 |
개인 관계 | 사회적 미디어를 사용하라 동료 그룹을 포함시켜라 가족 참여를 극대화하라 | -의사소통과 사회적 참여 증가 -사회적 지원 멘토쉽과 사회적 기여 증진 -계속지원과자연성 증진 |
다. 개인 결과를 평가(Evaluates personal outcomes)
강점 기반 접근법의 세 번째 특징은 교육 및 지원 서비스에서 얻은 이점인 개인 결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개인 수준에서 평가는 성격 강점, 주요 교과 영역, 생활 활동 영역, 일반 교육 과정 내용의 향상, 개별화 된 학습 목표, 개인적 안녕감 영역 또는 인간 기능의 영역과 관련된 단기 결과에 초점을 둔다. 이 분야에서의 진전은 학습 및 참여를 위한 지원을 포함하여 제공된 지원과 연결되어야 한다. 개인 수준에서의 장기적인 결과의 평가는 고등 교육 생애 취업 및 교육 상태에 중점을 둔다 (Pavey 외.). 개인 결과 평가는 학생의 개별화 교육(IEP)과 관련된 교육 목표를 모니터링하고 평가하는 전통적인 접근 방식을 넘어서고 있다. 결과 평가에 초점을 맞추는 증거 기반 실습을 사용하는 추세가 계속됨에 따라, 강점 기반 접근법은 전략적으로 증거를 수집하고 사용하는 것, 결과 향상 실천을 사용하는 것, 개인적 결과뿐만 아니라 성격강점과 덕목을 평가하는 것을 포함 할 것이며, 모든 정보를 분석하여 지원 구현 사례를 알리고 개선 할 수 있다.(Schallock & Verdugo, 2013).
4.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성격 강점기반 접근의 적용
Turnbull, Turnbull, Wehmeyer 및 Shogren (2013)은 강점 기반 접근법이 채택되면 통합 교육에 더 많은 관심을 보이고 통합 및 강점 기반 실천으로의 이동은 3세대의 관련성이 있지만 별개의 활동으로 묘사되는 것이 가장 좋다.
1세대는 교육 서비스 및 지원을 제공하는 "어디에서"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 세대의 연습은 주로 학생들을 통합 환경으로 유도하여 학생들이 일반 교육 교실에 접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교실을 이용할 수 있었다.
1세대 초점을 이끄는 원칙은 다음과 같다
: (a) 모든 학생은 장애가 없는 경우 학교에 진학 할 것이며,
(b)학교 및 일반 교육 배치는 연령 및 학년에 적합하며
(c) 특수 교육은 일반 교실에서 지원이 존재해야 한다.
2세대 초점은 통합의 "방법"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반 교육 교실에서의 학생의 성공을 촉진하는 참여와 학습을 위한 지원을 인식하고 구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옮겨갔다. 학습 및 참여를 위한 다양한 지원은 협력교수(co-teaching), 차별화, 보편적 설계, 협력적 계획 및 팀 구성 및 가족, 전문가 간 파트너십을 포함하여 연구 및 실습을 통해 확인되었다. 1,2 세대 통합의 실천에서 가장 중요한 초점은 학생들이 교육을 받고 있는 곳과 그 환경에서 성공을 지원하는 방법이었다.
1990년대 이후로 통합의 실천이 교육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설득력 있는 데이터베이스가 등장했다(Ryndak et al., 2013). 학자들은 학업, 사회, 의사소통 및 행동 기술에 대한 다음의 통합교육의 영향을 문서화하였다.
(a)통합환경에 참여했을 때, 학업 성취의 성장과 학습기술의 사용(dessemontet, Bless, & Morin, 2012; Kurth & Mastergeorge, 2012),
(b) 의사소통 능력 향상 (포먼, Arthur- Kelly, Pascoe, & King, 2004),
사회성(Carter, Cushing, Clark, Kennedy, 2005, Fisher & Meyer, 2002) 및
일반 교육 환경에서 교육을 받았을 때, 고용 기술, 자기 결정을 유도하는 기술 (Hughes, Cosgriff, Agran, & Washington, 2013)
학자들은 지적 장애가 있는 학생들이 사회관계망 및 또래 모델에 대한 접근의 결과로 사회 기술의 성장이 크게 증가했다고 제안했다.(Mc Donnell, Johnson,Karrie A. Shogren et al. Polychronis, & Riesen, 2002).
일반 교육 환경에서의 배치는 교사의 학습 기대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Kurth & Mastergeorge, 2010). 통합된 환경에서 교육을 받는 장애 학생이 동료와 사회적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기회가 증가하고, 활동 참여가 향상되고, 기술 습득이 향상되며, 사회적 역량이 강화되고, 일반 교육과정에 대한 접근성이 향상되는 등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충분한 증거가 있다. 이는 장애가 없는 학생에게 사회적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도 달성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결과를 실현하고 모든 학생들의 성공을 촉진하는 통합 교실에서 자원과 지원을 받을 수 있다(Carter & Kennedy, 2006, Shogren et al., 2015).
학교 개혁 노력이 학생이 무엇을 배우고 있는지 강조하기 시작하면서 지난 10년 동안 통합 실천의 제 3 세대가 출현했다. 3세대 실천은 개별 교실에서 초점을 모든 학생들에게 질높은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학교 차원에서 제공하고 예외적인 지원이 필요한 학생들에게 필요한 만큼 집중적인 교육을 제공했다. 개념(notion)은 지적 장애 학생을 포함한 모든 학생들이 학생의 개인적 특성과 환경 요구 사항(예: 학습 진도) 간의 불일치 분석을 기반으로 질높은 교육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출 때 효과적이었다.(성취 기대치를 교육과정에 포함시킴).
고품질의 교육으로 통합학급 및 교육과정에 대한 준거(reference) 환경의 필요성은 제 3세대 통합 실천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자기 결정, 개인 능력, 성격강점 개발과 관련된 강점 기반 지원을 포함 할 수 있는 강점 기반 접근 방식과 일치한다. 통합학급에서 교육을 받은 지적 장애인은 학급 수준 또는 학년 수준의 내용과 일치하는 학업 과제에 참여하는 경향이 있다(Matzen 외, 2010; Soukup 외., 2007). 또한, 그렇게 하도록 교육을 제공할 때, 지적 장애를 가진 학생들은 일반 교육 환경 핵심 내용 학습에 대해 진전을 이룰 수 있다.(Lee et al., 2010; Roach & Elliott, 2006 Shogren et al., 2012). 이러한 결과는 도전과 기대에 대한 접근이 가치 있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 Stamatios, 출처 OGQ
5. 결론
이 장에서는 교육 지원의 초점을 강점 기반 접근법으로 옮기고 강점 기반 접근법의 특징을 논의하는 현재 움직임을 확인 했다. 이 접근법은 지적 장애가 있는 모든 학생들이 강점, 덕목 및 능력을 지니고 있음을 강조한다. 교육 및 기타 가치 있는 삶의 영역에서 번성 할 수 있는 기회를 창출한다. 그러나 오늘날 지적 장애가 있는 학생이 너무 많아서 분리된 교실과 학교에서 계속 교육을 받으며 교육 서비스 및 지원을 재구성하려는 노력은 지속되어야 한다. 즉, 강점 기반의 접근과 실천으로 전환하는 데 기여한 요소를 강조 할뿐만 아니라 강점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지원 시스템을 사용하고 교육 노력의 효과를 판단하기 위한 결과 평가를 통해 이러한 실행을 적용한다. 그러한 정보는 가치 있는 결과의 교육적 성장과 달성은 일시적인 노력이 아니라 오히려 지속적인 과정이다. 이러한 필요한 활동과 노력은 후속 장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개별화교육계획서에 적용
새로운 iep: 성격강점을 활용하여 목표를 설정
귀하가 개별화교육계획을 필요로 하는 자녀의 부모이거나 계획을 작성하도록 지정된 특수 교육자이든, 앞으로의 모임을 준비 할 가능성이 높다. 이 모임은 특별한 필요를 가진 학습자를 위해 향후 12개월 동안 교육 포커스를 설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방에는 병리학 자, 교사, 작업 치료사, 준전문가, 교장, 사례 관리자, 학부모 등 전문직이 많이 있다. 그러나 누락된 사람은 누구인가?
당신은 그것을 짐작할 수 있다. 학생! 나는 15년 동안 IEP팀 회의에 참석해 왔으며 학생들이 초대 받았고 거기에서 지원받는 소수의 회의만 보았다. 상상해 보아라. 중요한 모든 사람들이 함께 모여 다음 12개월 동안의 계획을 세운 다음 회의에 포함시키지 마십시오. 시간과 자원이 학생들의 출석을 돕기 위해 적용되어야 합니다.
학생이 일반적으로 빠져있는 이유에 대해 이야기 해 봅시다. 이러한 모임은 IEP 자체와 마찬가지로 결함 중심입니다. 처음 5분 동안, 누군가는 "강점과 약점" 서술을 공유 할 것이고, "강점"에서 여러 번 웃고 한숨을 쉬게 할 것이다. 확인란을 선택하면 강점을 다한다.
나머지 회의는 학생이 할 수 없는 모든 일, 목표를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되는 목표 및 학습을 방해하는 행동 문제에 중점을 둔다. 해마다 목표를 달성 한 후, 아이의 IEP는 약점을 기반으로 한다. 자, 당신이 말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 "맞습니다. 우리가 따라 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이 최선의 방법일까요?
일반적으로 발전하는 어린이를 살펴보자. 아이가 수학에서 뛰어나다면 누구도 "우리는 수학 수업에 넣을 필요가 없다. 그는 이미 그것에 능숙하다. 그 대신에 두 번 세계 언어를 제공한다. "세계에 대한 창의력이나 호기심을 보여주는 어린이에게 "과학 로봇 캠프가 당신만큼이나 창조적일 필요는 없습니다. " 여분의 수학을 배우고 자신의 창의력과 호기심을 길러주고 성장시킬 수 있는 기회를 찾으십시오. 그 학생은 수학 수업이나 로봇 캠프에서 어떻게 느끼는가? 아마 성공적이고 활기차고 행복 할 것이다!
너무나 자주 우리는 특별한 도움이 필요한 아이들과 반대이다. IEP를 보고 다음 질문에 답하십시오. 학생의 장점과 약점을 토대로 목표 중 몇 가지는 얼마나 많이 있습니까? 수업 일은 주로 결함 영역에 관한 목표에 중점을 둘 것이다. 그 학생은 어떻게 좌절하고, 슬프고, 실패처럼 느끼는가? 이 학생들이 번성하도록 돕는 가장 좋은 방법일까? 아니, 더 잘할 수 있어.
VIA 목록 성격 강점은 시작하는 이상적인 장소이다. 전문가는 IEP 실현 과정의 최전방에 특성을 제공하는 도구를 제공하여 전문가를 지원한다. A와 긍정 심리학 상담가, 나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구현하여 자신의 IEP과정에 대한 학생들을 준비하기 위해 학교와 가족과 함께 하고자 한다 :
1 단계 - 학생을 회의에 초대하십시오. 편의를 제공하십시오.
2 단계 - 회의 전에 학생에게 IEP 과정을 교육하십시오.
3 단계 - 학생에게 www.viacharacter.org 에서 VIA 청소년 조사 받도록 합니다. 학부모 , 교사 및 지원 인력이 무료 보충 지원 안내서를 사용하여 학생이 장애 여부에 상관없이 가능한 한 유효한 방법으로 시험에 응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4 단계 - 성격강점 (가능한 한 학생 포함)을 공유하여 회의를 시작합니다 .
5 단계 - 팀으로서 성격강점 향상에 중점을 둔 적어도 3개의 IEP 목표를 설정하십시오 (아래의 표본 목표 참조)
6 단계 - 학생들의 강점을 교실에 게시하고 동료 및 교사와 대화를 장려합니다.
표준 목표
- 학생은 5가지 중 4가지 기회에 대해 90%의 정확도로 "해피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자신의 iPad에서 서면 및 사진 자료를 감사장에 개별적으로 작성합니다 .
- Pinterest를 사용하여 미술 프로젝트, 요리법 또는 과학 실험을 독립적으로 선택하여 3 가지 연속 기회에 대해 90%의 정확도로 흥미롭고 재미있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학습 능력에 대한 열정을 보여줄 수 있다. 그녀는 매주 교사의 도움을 받아 프로젝트를 완료함으로써 창의력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갖을 수 있다.
- 학생은 자신의 독창성과 리더십 강점을 이용하여 동료들에게 15~20회 정도의 에너지 휴식 시간을 독립적으로 안내하는 방법을 설계하고 배울 수 있다. 그는 교사가 요청할 때 고 에너지/즐거운 휴식 시간에 자신의 동료를 독립적으로 이끌어줌으로써 매주 자신의 강점을 증명할 수 있는 기회를 갖을 수 있다.
- 목표 설정 이론(목표 설정, 목표 설정 방법, 진행 상황 추적 방법 및 목표 수정 방법)을 학습하고 적용하여 희망/낙천주의를 향상시키고 장기 목표(즉, IEP 목표)를 단기간 (즉, 주간 목표)으로 정한다.
https://blog.naver.com/akrhkdgns/2236034505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