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rew - ship`s articles에 따라 서명한 사람. 일반적으로 선박의 승무원은 기국 정부가 발행한 선박의 safe-manning 문서에 명시된 숫자와 직위에 따릅니다
Supernumeraries - 배와 함께 항해하지만 승무원 계약하에 있지 않은 사람들 또는 승객 항공권. 대부분 Supernumeraries는 두 가지 주요 범주로 분류됩니다: 승무원 가족, 그리고 선주 사무실에서 온 승무원 또는 협력팀과 같이 비정기적인 업무 목적으로 승선한 사람들
Passengers - 유효한 승객 항공권으로 여행하는 사람들
Third parties - 선박과 함께 여행하지는 않지만 surveyors, port agents, superintendents and, most commonly, stevedores을 포함하여 여하튼 그 영향을 받는 사람들
The definitions of each incident type area follows:
Grounding - when a ship takes the seabed
Stranding - bottom-contact which prevents a ship from moving. stranding is normally an involuntary act but it also occurs when a ship is intentionally run ashore to avoid a greater peril
Sinking - sometimes called foundering, is when a ship loses all positive buoyancy
Grounding - 선박이 해저에 얹힐 때
Stranding - 선박을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bottom-contact. Stranding는 일반적으로 비자발적 행위이지만, 위험이 더 커지지 않도록 의도적으로 해안으로 향할 때도 발생합니다
Sinking - 때로는 Foundering이라고도 불리는데, 선박이 모든 Positive buoyancy을 잃을 때입니다.
Investigations Definitions
Foundering: 황천, 누수, 절단 등의 결과로 침몰한 선박을 포함하지만, 아래에 분류된 결과로는 아니다. This is very old term which is still used by the imo as well as the british government and insurers and appears to mean the sinking of a vessel - possibly following the striking of an object.
Missing: 합리적인 기간 후에, 선박으로부터 어떠한 소식이 없고 선박의 운명이 결정되지 않은, 그 선박은 행불로 발표된다.
Fire/Explosion: 보고된 첫 Event인 화재 또는/그리고 폭발을 경험한 선박을 포함-그러므로 화재 폭발이 다른 사건의 분류일 경우, 그 해난사고를 따른다.
Collision: 항해 중, 정박 또는 계류를 불문하고 한 선박이 또 다른 선박에 충돌되는 결과
Contact: 선박이 외부 물체에 부딪치는 결과. 그러나 타선 또는 선저는 아니다. 이것은 Drilling Rigs/Platforms를 포함한다.
Grounding Wrecked/Stranded: 수중의 침선과 얽히는 것 뿐만이 아니라 해저, 모래톱, Shoals, 해변 등에 접촉하는 선박을 포함한다.
Grounding: Deliberate Contacts by a Ship with the Bottom While the Ship Is Moored or Anchored As A Result of the Water Level Dropping
Stranding: Contact By A Ship With The Bottom Which Presents Her From Moving. Stranding Is Normally An Involuntary Act But It Also Occurs When A Ship Is Intentionally Run Ashore To Avoid A Greater Peril.
Hull/Machinery: 장비 또는 기계의 불능, 주기관의 불능
Heavy Weather Ice Damage: 황천 또는 악천후 그리고 얼음에 의한 명확한 손상
Other: 상기에 포함되지 않은 해난사고로 전쟁손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고의적인 행위인 이것은 해난사고로 분류되지 않을 수도 있다).
Marine Casualty:
다음의 어느 것으로 귀결되는 Events
선박의 운항에 의해 또는 관련하여 일어나는 사람의 사망 또는 중상
선박의 운항에 의해 또는 관련하여 일어나는 선박으로부터의 사람의 Loss
선박의 멸실, 추정 손실 또는 포기
선박의 물리적 손상
선박의 좌초 또는 불능, 또는 충돌시 선박의 관여
선박의 운항에 의해 또는 관련하여 일어나는 물리적인 손상
선박의 운항에 의해 또는 관련하여 일어나는 선박 또는 선박의 손상이 가져오는 환경 손상
Very Serious Casualty:
전손, 생명의 멸실 또는 심각한 오염을 포함하는 사고
Serious Casualty:
Very Serious Casualty만큼은 아닌 사고로 다음을 포함한다.
화재, 폭발, 좌초, 접촉, 황천손상, Ice Damage, 선채 Cracking Or 선체 결함 등의 결과
수면하 선체의 관통, 기관의 불능, 광범위한 거주구역 손상과 같은 선박 감항성에 영향을 주는 구조적 손상
량에 상관없는 오염
예인 또는 육상지원을 필요로 하는 고장
Marine Incident: 선박의 운항에 의해 또는 관련하여 일어나는 Occurrence Or Event를 의미하며 이것에 의해 선박 또는 사람이 위험에 빠지거나 또는 이것의 결과로 선박, 구조 또는 환경 심각한 손상이 일어날 수도 있다.
Causes: Casualty Or Incident로 이끄는 조치, 생략, Events, 현존 또는 기존 조건 또는
혼합
Marine Casualty or Incident Safety Investigation:
정보의 수집과 분석, 결론의 유도, 환경의 식별과 원인의 결정, 포함과 기여 요소 그리고 필요할 때, 안전 권고를 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고 방지 목적으로 수행되는 공개적 또는 비공개적으로 열리는 과정을 의미한다.
Marine Casualty Investigator:
장래의 해양 안전과 해양환경 보호를 위해 법률에 의한 절차 하에서 Casualty or Incident를 조사하기 위해 임명된 자질 있는 사람 또는 사람들을 말한다.
Serious Injury:
상해를 당한 날로부터 일주일 이내에 72시간이상 시작하는 것이 불가능한 결과의 사고 당사자에 의해 견디는 상해를 의미한다.
Ship: 수상에서 항해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Vessel을 의미한다.
Lead Investigating State:
실질적인 이해 당사국 사이에 상호 협의하므로써 사고조사 수행에 책임을 지는 국가를 의미한다.
Substantially Interested State:
사고조사중인 선박의 기국 또는
해난사고가 일어난 내수로 또는 영해의 소유국 또는,
해난사고가 발생할 경우, 또는 그 국가의 환경에 위협이 되거나 심각한 손해를 미치거나, 또는 국제법상에 인지된 재판관할권을 행사할 권리가 있는 수역내
해난사고의 결과가 원인일 경우, 또는 그 국가에 위협이 되거나 심각한 손해를 미치거나 또는 재판관할권을 행사할 권리가 있는 인공섬, 구조물, 건축물 상
Safety Management System관련 용어
System:
상호작용, 관련되거나 또는 독립적인 요소들로 구성된 집합체의 그룹
방법 또는 절차서
관련성 있는 요소들이 질서 있게 조화를 이루는 상태 또는 조건
ISO9001: 2000(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Quality Standard – ISO9001: 2000)에서 경영을 시스템적으로 접근 하였을 때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소개하였다.
사용하여야 할 프로세스의 정의
프로세스의 개발
Process들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성공을 위한 핵심
Process의 중요성 파악하는 Process의 모든 측면을 분석하는 것이 성공을 위해 중요
Process의 효과성과 효율성 및 지속성 개선을 통한 반응의 평가
우리는 안전이 우연히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다. 이것은 관리되어야 한다. 우리는 또한 어떤 노력을 기울이는가에 따라 어떤 결과를 맺는지를 알고 있다. 적합한 일을 적합한 방법으로 적정한 시간에 했던 안전성과에 관한 선도자들의 자료들이 이것을 증명한다. 시스템적 접근의 핵심은 어떤 일이 발생할지를 알고자 하는 것이다.
Risk:
리스크는 “손실의 기회”라고 정의되지만, 그보다는 역사적으로 리스크는 무언가가 나빠지는 기회로 인식 되어 왔다. 이러한 관계에 있어서, 조직은 나빠져 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전략(손실관리)과 그것이 나빠졌을 때 발생되는 결과에 대한 지불(리스크 재무)을 개발하여 왔으며, 이 방법들은 여전히 적절하다 할 수 있다.
하지만, 오늘날 리스크는 어떤 조직이 보다 나은 의사결정에 의해 그들의 리스크를 최적화 하느냐에 의해 성공적인 조직이 되는 기회로 인식되고 있다. 안전경영시스템은 사람, 재산, 공정, 그리고 환경에 대한 특정한 조직의 리스크에 관련된, 진보된 의사결정에 의한 리스크 개념과 기법을 구성하게 하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Loss Control:
오늘날 여러 조직들은 “손실관리”라는 용어를 손실의 모든 형태를 예방하거나 최소화하는 노력으로서 전통적으로 안전에 관련되었다고 한다. 안전에 추가하여 손실관리는 환경, 보안, 품질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손실관리 개념이 완전한 것이고 시스템 통합을 북돋울 수 있다고 할지라도, 리스크의 넓은 의미와 안전경영의 특정 영역의 직접적인 관계를 공부하기 위하여 최소화의 의미로 사용할 것이다.
Accident:
의도하지 않는 상해 또는 손상을 가져오는 일(Event)
Incident:
의도하지 않는 상해나 손상을 발생시킬 수 있거나 또는 발생시킨 일
Safety:
안전은 “우발적 손실의 관리”로 정의 된다. 손실의 다른 형태에 대립하는 의미로서 우발적 손실은 신체나 구조물이 견딜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선 에너지를 가진 물질이나 물체의 접촉에 의한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손실은 손상, 질병, 재산상 손실, 공정 손실 그리고 환경손실을 포함하게 된다. 안전경영은 인간, 재산, 공정과 환경 손실을 예방하고 최소화하는 조직의 노력을 포함하고 있다.
Control of Accidental Loss. “Control” Includes Both Prevention of Accidents And Minimization of Losses When Accidents Occur.
손실의 관리. “관리(Control)”는 사고의 예방과 사고가 발생 했을 때 손실을 최소화 하는 것, 모두를 포함한다.
DEFINITIONS COMMON HUMAN ELEMENT TERMS
Human Error: 용인할 수 없고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가 될 수 있는 개인의 일부 또는 개인들의 집단에서 용인되고 바라는 관행으로부터 이탈.
Diminished Human Performance:
Emotional: 요구되는 업무를 수행할 개인의 정상적인 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열망 또는 불안의 심리적인 상태.
Panic: 요구되는 업무를 수행할 능력을 감소시키는 갑작스런 강력한 두려움
Anxiety: 요구되는 일에 적절히 집중할 능력을 감소할 수도 있는 장래 불확실성에 관한 불편함과 고민의 상태
Personal Problem: 감정을 선점하고 요구되는 일을 감소시키는 문제. 물리적인 무능력, 가정에서의 사망 또는 질병, 부부간과 다른 관계문제, 건강관심, 재정문제, 화 또는 선박 사관과의 나쁜 상호관계 등을 포함한다.
Mental Impairment: 요구되는 일의 정신적인 부분을 수행할 개인의 정상적인 능력을 감소 또는 방해할 수 있는 감소된 정신적인 능력
Alcohol Use: 요구되는 일을 수행할 개인적인 능력을 감소시키는 알코올 음료의 소비. 개인의 능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당직 중 또는 당직에 근접한 시간의 음주; 당직 중 술취함; 당직 중 낮은 업무능력의 결과가 되는 비 당직 중 음주; 정신적인 능력에 상당한 감소가 되는 장기간에 걸친 과도한 음주.
Drug Use: 요구되는 일을 수행할 개인적인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의약품 또는 마약의 사용. 극한 졸음, 자만감과 환각을 포함한 법적 또는 불법적 약품의 사용에 기인할 수 있는 정신적 그리고 물리적 능력에 많은 다른 효과가 있다. 사용자의 정신적인 능력은 또한 더 많은 약품을 얻기 위한 지속적인 필요에 의해 혼란될 수도 있다. 게다가, 개인들은 법적 약품의 부작용을 모를 수도 있으며, 당직 중 섭취하거나 또는 섭취 했다는 것을 보고하지 않을 수도 있다.
Inattention: 집중, 통지 또는 관심의 상실; 무시. 지시기의 감시 실패; 적절한 견시 유지 실패; 할당된 임무 수행의 망각을 포함한다. 산만(Inattention)은 개인적인 문제, 피로, 약품, 지루함 또는 청력문제의 결과로부터 올 수 있다.
Injury: 정신적 육체적 능력에 감소를 일으키는 신체의 물리적인 손상. 머리 상해, 또는 통증이 산만함과 정신력의 손실을 가져오는 경우, 타격된 손가락, 또는 심한 화상과 같은 다른 상해들을 포함한다.
Mental Illness: 정신병 또는 괴상한 행동; 환각; 설명할 수 없는 비 정상적인 행동의 다른 형태
Physical Illness: 정신적 또는 물리적 능력에 감소를 가져오는 병으로 일반적으로 정신병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감기를 동반한 일반적인 몸살; 고열로 인한 환각; 편두통; 멀미와 심한 소화불량과 독성 물질에의 노출을 포함한다.
Diminished Motivation: 잘 수행하려는 의지 또는 희망 부족은 요구되는 업무의 개인별 정상적 업무능력 감소의 결과가 된다.
Deliberate Misaction: 고의적으로 부정확한 조치를 하거나 정확한 조치를 취하는 것에 실패. 임무태만, 명령복종에 거부; Sabotage, 절도 또는 절차의 무시를 포함한다.
Fatigue: 강함; 속도; 반응시간; 협력; 의사결정 또는 균형을 포함한 그의 모든 육체적 능력을 손상시킬 수 있는 육체적, 정신적 또는 감정적 발휘의 결과로써 육체적 그리고/또는 정신적 능력의 감소
Low Morale: 저하된 자발성, 자신감 또는 규율로 보여지는, 할당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개인 또는 집단의 동기부여 문제. 선원들 사이의 개인간 갈등, 취약한 대인관계 기술을 가진 사관들, 강한 연대감 또는 선상 안전문화의 부족; 과도하게 긴 업무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Lack of Self-Discipline; 개인적 수행을 통제하는 개인의 부적절한 능력. 기질 또는 비전문가적인 행위의 손실을 포함한다.
Visual Problem: 특정 육체적 무력에 기인한 감소된 시력. 원인은 전체 또는 부분적 장님을 일으키는 안구 손상을 포함할 수 있다; 준비된 안경 또는 Contacts를 착용하지 않는 것; 적절히 어둠에 적용할 수 없는 무능력.
Excessive Workload: 정해진 시간 내에 수행해야만 하는 모든 정신적 그리고 육체적 업무들의 전체적인 결과가 저하된 작업 수행력 결과처럼 감소된 육체적 또는 정신적 능력.
Marine Environment:
Hazardous Natural Environment: 자연적인 환경이 요구되는 업무를 평소보다 더 어렵게 하는 상황. 폭풍, 높은 파도, 천수, 심한 모래톱, 강한 조류와 조석, 빙산, 암초, 침선, 심한 와류, 선박 통항량, 바람, 안개, 연무, 비, 눈, 진눈깨비, 아지랑이, 먼지, 비행기 파편.
Poor Human Factors Engineering Design: 선박의 취약한 설계, 하부체계, 환경제어 또는 선상과업수행에 어려움을 가져오는 인간-기계 Interface. 부적절한 조명; 과도한 소음; 과도한 진동; 부적절한 열, 냉각 또는 환풍체계; 위험한 갑판계단, 사다리, 격벽, 또는 작업표면; 탁한 날씨 또는 낮은 질의 작동을 위한 부적절한 준비; 부적절한 제재, 안전 또는 휴대용; 선박 움직임과 관련한 취약한 작업환경; 취약한 선체 내구 특성; 돌발적으로 작동되는 제어판, 판독하기 어렵고 모호한 제어 표시; 판독하기 어렵고 모호한 지시판과 지시기; 취약한 배치, 크기와 제어기와 표시기의 색깔; 작동과 정비를 위한 부적절한 설계; 안전에 부적절한 설계 등을 포함한다.
Poor Operations: 개인들 또는 개별 집단들이 요구되는 일의 수행을 더 어렵게 만들어 선상 환경을 저하시키는 상황. 선박 조선(증속, 변침, 이상한 조선 등)이 선박 움직임에 영향을 미쳐, 승무원이 일정 업무를 수행하는 것이 다른 업무수행을 방해할 때, 균형과 제한의 어려움을 발생시키는 것. 또는 화물 적재 장소가 접근 또는 통행을 방해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Poor Maintenance: 설계 수명 또는 작동기간 내에 기능하기로 계획되었던 선박 또는 선박 장비의 부분을 유지하는 것의 실패로, 선상 환경을 저하시키고 요구되는 일의 업무능력을 더 어렵게 만든다. 부실한 정비는 요구되는 일에 영향을 미친다: 적절한 정비를 수행하기 위한 부적절한 교체품과 도구는 관리자의 이행 부족으로부터 발생한다.
Safety Administration:
Inadequate Technical Knowledge: 부적절한 경험과 훈련의 부족 때문에, 선상에서 개인의 업무를 위해 요구되는 일반적인 지식을 갖지 않은 것. 항해, Seamanship, 추진 System, 화물작업, 의사소통과 날씨 등을 포함한다.
Inadequate Situational Communication/Awareness: 부적절한 경험, 의사소통부족, 협력과 훈련의 부족으로 선박의 현재상태, 선박의 체계 또는 환경을 모르는 것. 위치, 침로와 속력에 대한 지식 부족과 선상에서 진행되고 있는 정비에 관한 지식부족 등을 포함한다.
Lack of Communication or Co-Ordination: 현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모든 가용할 수 있는 정보원을 활용하지 않는 것. 이것은 개인적인 부분의 주도력 부족 또는 다른 부분의 주도력 또는/그리고 협력 부족의 결과일 수 있다. 선교사관사이의 취약한 의사소통, 도선사와의 취약한 의사소통, 그리고 갑판과 기관부의 부실한 협력을 포함한다.
Inadequate Knowledge of Operations: 부적절한 경험, 선박 규정의 무지, 절차에 대한 부적절한 지식, 부적절한 훈련, 그리고/또는 역할/업무/책임의 미 인식에서 기인되는 지식의 부족. 항해, Seamanship, 추진 System, 화물작업, 의사소통과 날씨 등을 포함한다.
Inadequate Knowledge Regulations/Standards: 부적절한 경험과 훈련에 기인한 요구되는 지식 또는 이해의 부족. 회사 정책과 기준, 국내와 국제 법규, 다른 항만의 해사 규정, 지방 관할 규정, 선상 규정, 주의 지침 해도 부기 또는 표식 등을 포함한다.
Inadequate Knowledge of Ship Procedures: 부적절한 경험과 훈련으로 인하여 선상과 회사 정책이 선박의 운항에 대해 요구하는 적절한 지식을 모르는 것. 비상절차, 정비절차, 행정절차와 안전 System 절차 등을 포함한다.
Unaware of Role/Task Responsibility: 개인에게 요구되는 특정 작업에 대한 부적절한 지식. 지휘책임, 의사소통 책임, 안전책임, 정비책임과 비상책임의 이해 부족을 포함한다.
Inadequate Language Skills: 요구되는 임무들을 수행하고 의사소통에 필수적인 기본적인 언어 스킬의 부족. 이것은 기본적인 언어 그리고/또는 선상의 지휘, 지침, 절차, 표시, 경고와 규정들을 이해하기에 충분한, 요구되는 다른 언어를 말하고, 읽거나 또는 이해하는 것에 전적으로 또는 부분적인 무능력을 포함한다.
Management:
Failure To Maintain Discipline: 승무원들이 권위, 규정과 절차를 따르는가를 확인하는 것에 실패. 자질이 없거나 무능력한 승무원을 방치하는 것, 규정과 절차를 강화하지 않는 것, 반항을 참는 것을 포함한다.
Failure of Command: 지휘의 실수. 적절한 지휘가 되지 않는 것, 적절한 지휘가 제때에 행사되지 않거나 다른 지휘들로 과정을 벗어나는 것, 정확하지 않은 지휘, 상충하는 지휘 등을 포함한다.
Inadequate Supervision: 개인적인 감독하에서 승무원 활동의 부적절한 간과. 작업이 적시에 정확한 방식으로 수행되었는지를 확인하지 않음, 개인들의 감독 주의력에 있었던 문제를 취급하기 위해서 적절한 자원을 제공하지 않는 것, 승무원의 불공정한 대우 등을 포함한다.
Inadequate Co-Ordination or Communication: 육해상 양자에서의 관심사, 문제와 업무들을 강조하기 위한 의사소통과 협력의 실패. 선교 사관 사이의 빈약한 의사소통, 도선사와의 빈약한 의사소통, 사무실에서의 빈약한 의사소통, 취약한 갑판 기관부의 협력 등을 포함한다.
Inadequate Management of Physical Resources: 물리적 자원의 부적절한 관리는 주로 도구, 장비, 공급품, 시설, 식료품, 청수, 연료유 등으로 과업수행에 필수적이다. 물리적 자원의 부재, 물리적 자원의 부족, 부적절한 물리적 자원, 부적절하게 적재된 물리적인 자원, 필요할 때 구하기 어려운 물리적인 자원 등을 포함한다.
Inadequate Manning: 선상에서 요구되는 모든 과업들이 적절히 수행되고 적합한 승무원의 적절한 기술 수준, 육체적 그리고 정신적인 능력, 경험, 증서, 그리고 그러한 작업을 적절히 수행할 능력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에 실패.
Inadequate Manpower Available: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항을 확인하기 위해, 선박 또는 특정 선상과업에 적절한 기술 수준을 가진 적절한 승무원의 가용성을 확인하지 않거나 또는 지정하지 않는 것.
Poor Job Design: 합리적이지 못하고, 비효율적이고, 불가능하고, 과도하거나 또는 비 현실적인 특정 작업 또는 과업 요건. 과도한 당직기간 또는 빈도,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는 화면을 동시에 감시하는 것을 한 사람에게 요구하는 것, 적절한 안전 보호장비 없이 위험물질에 노출을 요구하는 것 등을 포함한다.
Poor Regulations, Policies, Procedures Or Practices: 기준, 규정, 정책, 절차 또는 관행에서의 문제. 기준, 규정, 정책, 절차 또는 관행들이 상충하거나, 부적절하고, 부적당하고, 상세함이 부족하거나 또는 기한이 지난 것 등일 수 있다.
Misapplication of Good Regulations, Policies, Procedures, or Practices: 훌륭한 규칙, 정책 절차 또는 관행의 오적용
Mental Action:
Lack of Situational Awareness: 현재 상황의 부정확한 이해는 미래 상황에 관한 잘못된 가정, 또는 부정확한 믿음에 근거한 이해로 유도할 수 있고, 대체로 선박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복합된 실수로 유도한다. 접근하는 선박 조타 방향의 확인 없이 가정에 다다르는 것, 선상 경보의 부정확한 해석(황천 동안 연료 System의 해수오염) 등을 포함한다.
Lack of Perception: 개인들이 존재하는 문제 또는 상황을 적절히 이해할 수 없을 때. 계기판의 오독, 명령을 잘못 청취, 혼란한 무선 전문의 오해, 실제로는 원유이지만 Engine Oil로 착각하게 하는 것, 우현 경사를 알지 못하는 것, 부두까지 거리 과대평가 등을 포함한다.
Incorrect Recognition: 인식되었을 때 특정 상황 또는 문제의 오 진단. 문제 또는 상황이 존재하는 것을 인식할지라도, 그 식별이 부정확하다. 선상의 다른 비슷한 음이 울리면 경보음으로 오판, 선교 시각표시경고의 부정확한 인지 등을 포함한다.
Incorrect Identification: 일단 문제나 위험이 있다는 것이 인지되어도 문제 또는 위험의 부정확한 식별. 화면은 선상의 특정 위험을 식별할 수도 있지만(낮은 연료유 압력), 개인은 그 경고를 오해하고 그 문제를 부정확하게 식별할 수도 있다.
첫댓글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좋은자료 감사합니다.
good & tha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