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신(戊申)일주|
무신 일주
부자 사주가 무신 일주 사주이다.
즉 申금안에 戊토 庚금 壬수가 들어있기 때문에, 무토의 일간으로서는 식생재가 되는 형태가 되는것이다.
그러니 무신 일주 자체만 놓고 보자면 부자일주라고 할수가있다.
갑진일주도 그런 역활을 하고.
정사 일주도 그런 역활이 있지만.
유독 무신 일주가 더 강하게 작용하는것은 申금의 역활이 강하게 작용을 하고 가교 역활을 하기 때문으로 풀이하고 싶다.
인묘가 공망이 되는것이니.. 아무래도 官쪽으로는 좀 인연이 없을수가 있고.
관보담은 재물을 취하는쪽 즉 장사쪽으로 잘 맞지 싶다.
그런데 무신일주 자체가 고급스런 형태의 재물을 취하기 때문에 일반적 장사가 아니고 상당히 고부가가치의 재물을 추구하는 형태가 된다
그러니 바이오산업쪽 신약 제약 뭔가 개발을 해서 이것을 상업화 하는쪽
만약 의사를 한다면 의사쪽에서도 재물을 고부가가치로 취하는 성형의 등 이런쪽으로 지향하는 바가 있게 된다.
무토가 무경임으로 부드럽게 흘러가기 때문에 여자복도 있는 사주가 된다.
무토는 술토가 묘 에 해당하는데 술토가 있음 진토가 충해주어야 개고가 되게 된다.
개고 라는것이. 이것이 사주에서 가장 어렵고 힘든 부분이다..
이것은 일어날수도 있고 일어나지 않을수도 있다.
이것을 아직도 사주로 판단하는데 무리가 있다..
그래서 아직도 이 부분은 명확하게 해결이 되지 않고 있다.
단지 분명히 천라지망에 묶여서 묶이는 형살이 작용하는 부분이 있고 또 묘지에 해당하는 부분도 작용한다.
시묘격 이라는것이 그런것이다.
예를들어서.
무신 일주에 술토가 시지에 있음 이것을 시묘격이라고 하는것이다.
그럼 충이 올때 개고가 된다고 한다.
이건 늦게 어떤 복이 들어오는것을 판단할 때 사용을 하는데.
즉 묶여있던 재물
예를들어서 부모에게 받을 재물 혹은 묶인 땅이 풀릴 수 있는것.
보험을 받을수 있는것.
퇴직금 이런것들이 전부 말년에 일어날수 있는 일인데.
이것이 시묘격에서 충이 될때 일어나게 되는것이다.
그런데 무토가 술토에 묶이면 재물은 없는것이다..
즉 땅을 파봐야 재물이 나오지 않는것이다..
재물이 있어야 땅을 파서 재물이 나오는것이 된다.
그런데 묘 는 전부 흙에 해당한다 진술축미 중에 일어나게 되는것이다.
즉 충이 결국 좋게 작용을 할때 개고의 의미가 있는것이다.
그리고 안에서 투출되는것이다.
유금이 도화살이고. 해수가 망신살이 된다.
오화가 격각살이 되는데 오화는 부모님에 해당하는것이니 자수성가식의 일주형태가 작용을하는것으로 볼수 있다.
진토가 화개살이 된다.
출처: 사주박사철학원‥‥‥太極導辭
이메일주소: bys3330@hanmail.net
상담전화: 010-6806-99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