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적 사고와 빠른 독해를 위한 기본 지식>
◈영어의 기본적인 어순◈
① 주어(S) + 동사(V) + {보어(C) + 부사어구}
② 주어(S) + 동사(V) + 목적어(O) + {목적보어(OC) + 부사어구}
③ 주어(S) + 동사(V) + 간접목적어(IO) + 직접목적어(DO) + (부사어구)
cf) 문장에서 주어(subject), 목적어(object)가 될 수 있는 것은 명사, 대명사(혹은 명사구, 명사절)이고, 보어(complement)가 될 수 있는 것은 명사, 대명사, 형용사(구, 절)이다.
영어의 어순은, 기본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말’이 먼저 놓이는 것이 일반적이며, 부사어구는 문장의 뒤에 놓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맨 앞에, 혹은 가운데에 놓이는 경우도 있다.
문장을 통해서 영어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자.
<한 어린 소녀가 우산도 없이 비를 맞으며 숲 속을 걸어가고 그녀의 개가 뒤따라가는 것을 보았다>를 영어로 표현해보면,
우선 이 문장에서 主動詞(혹은 본동사)는 "보았다"(saw)이다.
그것의 주어는, 즉 "누가 보았는가" - "I" 라고 한다면 이 문장에서 가장 중요한 말은 "내가 보았다"(I saw)는 말일 것이다.
→ "내가 본 것이 무엇인가? - "한 어린 소녀"(a little girl)
→ "그 소녀가 무엇을 했는가" - "걸어간다"(walk, take a walk, walking).
→그리고 부사어구들의 일반적인 위치는 "장소 + 방법 + 시간"의 순서로 되지만 의미를 전달하는데는 우선 내가 어느 것을 더 중요한 정보로 여기는가 하는 것을 먼져 놓으면 된다.
"숲 속에서 걷는다"를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면 "walk through the woods‘ 나 ‘in the forest"로 하고,
"비를 맞으며 걷는다"를 더 중요한 정보로 여기면 "walk in the rain"하면 될 것이다.
"우산도 없이(without an umbrella)를 더 중요하게 보면 정통 문법이야 어떻든 이 말을 walk다음에 쓰면 될 것이다.
→ "뒤따라 가는데 그녀의 개가 그렇다"고 하면 "followed by her dog" 하면 되겠다.
walk나 follow의 알맞은 문법적 형태를 아는 것은 좀 더 깊은 문법 지식이겠지만 이 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의미군 별로 올바르게 어순을 배열하는 영어식 사고가 몸에 배는 것이다.
독해할 때도 문장을 다 읽고 왔다 같다 하면서 해석하지말고 의미군을 하나씩 묶어서 문장 앞에서 순서대로 내려가면서 이해해 나가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우리는 직독직해라고 부른다.
위의 문장의 답을 쓰면;
I saw a little girl walking in the rain in the forest without an umbrella, followed by her dog.
(물론 보다 나은 영어씩 어순은 ‘I saw a little girl followed by her dog walking in the rain in the forest without an umbrella.’ 이며, 일상에서는 이처럼 길게 표현하지 않고 짧게 문장을 여럿으로 나누어 말한다.)
이번에는 극단적으로 수식어구가 붙는 영어식 어순을 예로 들어보자.
ex. [그 아주머니는 /부엌에 있던 /치즈를 먹어버린 /쥐를 잡아먹은 /고양이를 뒤쫓아 다녔다고 /개를 때리는 /소년을 /꾸짖고 있다. - 인용문임]
이 문장에서, 영어식 어순을 생각해 보자.
[주어 + 동사 + 목적어 ~]로 보면, 가장 중요한 주체는 "그 아주머니"(the woman- 주어).
→ "그 아주머니가 무엇을 하나" (scolding-동사)가 중요하다고 보여진다.
→"누구를 꾸중하는가?" (the boy-목적어)
→"그 소년은 무엇을 하는가? (who is beating the dog)
→"왜 그 개를 때리는가" (because it was running after the cat)
→"그 고양이는 무엇을 했는가?" (that killed the mouse)
→"그 쥐는 무엇을 했는가?" (that ate the cheese)
→"그 치즈는 어디에 있었는가?" (in the kitchen).
여기에서처럼 중요한 말을 먼저 쓰고 그 말과 보다 밀접한 말을 그 다음으로 이어 쓰다보니 연결어(관계사, 접속사, 전치사,...)와 to 부정사나 분사구문 같은 준동사 구문이 필요하게 된다.
답; The woman is scolding the boy/ who is beating the dog,/ because it was running after the cat/ that killed the mouse/ that ate the cheese/ in the kitchen.
‘나는 Tom보다는 Judy를 더 좋아한다." 라는 말에서도 우리말의 어순어서는 Judy보다는 Tom을 먼져 언급을 하지만 영어에서는 뜸들이지 않고 Judy를 먼져 언급을 한다.
"내가 좋아하는 것은 Tom이 아니라 Judy"이기 때문에 Judy가 대화상에서 더 중요하다고 보는 것이다.
답; I like Judy better than Tom.
이번에는 흔히 학교문법시간에 간접의문문이라고 하는 "Where did he say he would go?" 와 ‘Did he say where he would go?"의 의미의 차이를 생각해 보자.
Where did he say he would go?→어디냐에 중점.
대답; He said he would go to the bookstore.
Did he say where he would go?→말했는지에 중점.
대답; No, he didn"t./ Yes, he did.
그러니 학교 시험에 자주 등장했던 문제로 왜 "* Do you think where he lives?"라고 하지 않고 "Where do you think he lives?"라고 하는지는 분명해 졌을 것이다.
이 질문의 대답으로는 ‘I think he lives in Seoul."에서처럼 당신이 생각하고 있는지를 알고 싶어하는 것이 아니라, 그가 살고 있는 곳이 어디인지를 알고 싶은 것이기 때문이다.
첫댓글 유샘님 안녕하세요 여기서도 열강하시 유샘 ㅋㅋㅋㅋ ^__________^
멋지세요~~
많은 도움이 될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