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에서 먹던
말라리아 예방약
이거 먹고 정말 힘들었습니다.
내 친구는 정신병을 얻어서 지금도
왓다 갓다 하고 있습니다.
5년전 일인데도 지금도 왓다 갓다 하고 있습니다.
정신이.
말라리아약 정말 권하지 않습니다.
기념으로 안버리고 남긴거 오늘 보니 있어서
사진찍어 올립니다.
저약 주의사항에
악몽을 꿀수 있습니다. 이렇게 써있음. 이따위 주의사항이 어딧는건지.

1.클로로퀸의 사용 방법은 떠나기 1∼2일 전에 복용해도 좋으나 부작용이 생기면 다른 약제로 바꾸어야 하므로
대개 출발 1주일 전에 복용하며 처음 복용하는 사람이라면 2주 전에 복용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말라리아 발생지를 떠나고 4주간 더 복용합니다. 그 이유는 위에 이팜님이 간단히 설명하셨네요,
좀 더 부연설명을 하자면 다음과 같지요.
모기가 사람을 물어 말라리아 원충이 사람 몸에 들어오면 먼저 간에 들어가고 여기서 증식한 후에 다시 혈액으로 나옵니다.
혈액으로 나와 적혈구로 들어가서 증식하면서 열이 나고 말라리아의 증상이 나타나지요.
말라리아 예방약은 혈액에 있는 말라리아 원충에만 효과가 있고 간에 있는 원충에는 효과가 없습니다.
간에서 혈액으로 나오는 시간이 대개 8일에서 4주 정도이구요.
따라서 말라리아 예방약은, 여행지를 떠나기 직전에 말라리아 모기에 물리고 간에서 4주 후에 나올 것으로 가정하여,
말라리아 발생지를 떠나고도 4주간 더 복용해야 한답니다.
2. 클로로킨을 오래 복용하면 클로로킨이 망막에 침착하여 부작용을 일으킵니다.
복용한 총량이 200 g이 넘을 때 발생하므로,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 때와 같이 매일 복용할 때라면 2년 정도 후에 발생할 수 있지요.
하지만 말라리아 예방약으로 복용하는 것이라면 1주일에 1번 복용하는 것이므로 15년 정도가 되어야 발생한다는 계산이므로,
여행객에게는 망막 부작용은 문제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따라서 1년동안 1주일에 한번씩 먹는다고 해서 큰 부작용은 우려하지 않으셔도 될거 같습니다.
--------------------------------------------------------
혹시나 이 글들을 보시고 말라리아 예방약 하면 클로로킨으로 아실분들이 계실까봐 부연설명드립니다.
실제로 요즘은 말라리아 치료에 사용되는 많은 약들이 있쟎아요.
1. 우선 말라리아 예방약 또는 치료약하면 클로로킨이라고 할 정도로 유명한 약이죠.
하지만 많이 사용하다가 보니 클로로킨으로 치료 또는 예방되지 않는 경우가 늘기 시작하였고,
현재는 아직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열대열 말라리아는 클로로킨에 내성이랍니다.
즉 하이드로 클로로킨으로 예방 가능한 지역은 아래 지역뿐이랍니다.
중동 아시아 (터키, 사우디 아라비아, 시리아, 이집트) 중부 아메리카
카리브해 지역 (아이티와 도미니카 공화국 포함), 온대 기후의 남아메리카,
사하라 북부 아프리카 (발생이 적어 말라리아 예방약을 복용하는 경우가 드물다)
그밖의 약물로는
2. 메플로킨 (Mefloquine) [상품명은 라리암 (Lariam)]
이 약은 클로로킨 내성 말라리아가 생기는 지역을 여행할 때 일차적으로 사용하는 약이구요,
치료약으로도 사용할 수 있지요. 또한 이 약은 헬리코박터 균 감염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네요.
말라리아가 발생하는 지역이 대개 헬리코박터 감염증이 흔한 지역이어서, 말라리아를 에방하기 위해 메플로킨을 복용하다보면
헬리코박터도 동시에 예방이 가능하니 요즘은 이 약을 많이 쓰는거 같습니다.
3. 내성 지역을 여행할 예정이면서 메플로킨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독시사이클린이나 프로구아닐을 사용할 수 있는데,
프로구아닐은 어린이나 임신부도 사용할 수 있는 안전한 약입니다.
4. 프리마퀸 (Primaquine):
삼일열 말라리아 치료 후에 재발 방지를 위해 사용하는 약이지만 예방 효과도 있지요.
특히 파푸아뉴기니와 같이 클로로킨 내성 삼일열 말라리아가 발생하는 지역에서는 선택약입니다.
function showSideViewForScrapInfo(curObj, userid, planetUserid, targetNick) {
var sideView = new SideView('nameContextMenu', curObj, userid, planetUserid, '\uC190\uB2D8', targetNick, '1JWGl', '', '\uAE40\uD574\uC911\uC559\uBCD1\uC6D0 \uC57D\uC81C\uBD80', "unknown");
sideView.hideRow("member");
sideView.hideRow("planet");
sideView.showLayer();
}
function winPopup() {
window.open('http://cafe.daum.net/_service/home?grpid=1IDdf', 'DaumPlanet', 'width=936,height=672,resizable=yes,scrollbars=yes');
return;
}
출처 :의약정보/뉴스 원문보기▶ 글쓴이 : 코지
첫댓글 김형후 11.02.04. 10:33 저약을 먹고 정신이 헤롱헤롱 하던 기억 참 좋지 않은 기억이죠. 말라리아약 절대 권하지 않습니다. kbs 무슨 피디 분은 말라리아 약 먹고 부작용으로 병원에 계신다고 하던데 그분이 먹던 약은 뭔지 모르겠네요, 답글 | 신고 엘리야 11.02.05. 12:06 MMS먹어야지요... 답글 | 신고 보이스카웃 11.02.05. 15:20 쒸벌(죄송) 욕이 안나올래야 안 나올 수가 없습니다. 저 위에 써진 약들 3년동안 거의 털어서 먹다 시피 했답니다. 막판에 가서는 아무래도 아니다 싶어 요로법과 면역강화 요법으로 바꿨지만 다시 귀국해서 전 부분 기억상실증, 환청, 환시 건망증, 우울증... 암튼 어떻게 버텼는지 참 스스로 대견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