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결 핵 예 방 접 종
<1> 피내용 BCG 접종
(1) 접종 방법: 일반적으로 말하는 'BCG 접종' 으로서 아기 팔의 삼각근 부위에 BCG 백신을 피내 (皮內)에 접종합니다 (즉 피부 표면 바로 아래 부위에 접종합니다). (2) 장점: WHO 에서 권장하는 표준적인 접종방법입니다. 제대로 접종이 되면 파종성 결핵, 결 핵성 뇌수막염 같은 무서운 질환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3) 단점: 움직이는 아기의 팔에 피내접종을 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어려운 점이 많아서 종종 피하 (皮下)접종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즉 피부 깊은 곳에 접종약이 들어갈 수 있습니다). (ㄱ) 피하접종이 되었다고 해도 피내접종에 비해서 면역이 크게 약해지는 것이 아니므로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ㄴ) 다만 피하접종이 되면 접종 받은 팔의 액와 (겨드랑이) 부위에 BCG 임파선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겨드랑이에서 멍울이 잡히지 않는가를 세심히 살펴보아야 합니다.
<2> 경피용 BCG 접종
(1) 접종 방법 (ㄱ) 경피용 BCG 접종은 바늘이 여러개 달린 특수한 접종용 기구를 이용한 BCG 접종입니다. (ㄴ) 아기 팔의 삼각근 부위에 BCG 접종약을 적당한 넓이로 엷게 펴서 바른 후 바늘이 달린 접 종용 기구를 도장을 찍듯이 두차례 눌러주어서 이때 생긴 18개의 바늘 구멍으로 접종약이 흡수 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2) 장점 (ㄱ) 접종용 기구의 바늘은 피부의 일정한 깊이 이하로 들어가지 않도록 특수하게 제작 되어 서 피하로 접종약이 흡수되지 않으므로 액와부 임파선염의 발생율이 극히 낮습니다. (ㄴ) 경피용 BCG 는 흉터가 전혀 생기지 않는다는 오해가 있는데 기존의 일반용 BCG 접종시 생기는 한개의 큰 흉터를 여러개의 작은 흉터로 분산시키므로 접종후 1~2년이 지나면 흉 터가 눈에 잘 보이지 않게 되기는 하지만 완전히 없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