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 칭 | 기호 | 비 고 |
피상전력 | VA | 이론상의 전력(전기기기의 용량 표시 전력) |
유효전력 | W | 실제 사용되는전력(전기기기에 사용된 전력) |
무효전력 | Var | 실제사용되지않은 전력(전기기기 사용시 손실된 전력) |
전력의 단위는 아래 표와 같이 피상전력, 유효전력, 무효전력으로 구분한다.
1) 피상전력 단위
(1) 피상전력이란
교류전기를 활용하는 회로에서 220V전압과 5A의 전류로 1100W의 일을 한 100%의 능력을 발휘한 이론적 전력을 말한다. 즉, 계산된수치 220V × 5A = 1100W (전력 W = 전압V×전류A), 1100W가 피상전력이다. 이론상으로만 존재하는 전력으로 모든 전기기기들은 전원이 투입되어 움직이고 일을 하게 되는데 기계에 따라 특성에 따라 효율이 있으며 그 효율은 각각 다르며 그 효율이라고 하는 것이 바로 역률이다. 교류(AC)회로에서 전압의 실효 값 전류의 실효 값의 곱을 말합니다. 즉, 220V의 전압과 20A의 전류를 공급할 경우 4400W의 일을 할 수 있다고 하면 4400W의 수치가 피상전력입니다. 전기의 공급이나 사용 중에 아무런 방해 없이 공급한 만큼 100%의 일을 할 수있는 완벽한 것이 피상전력입니다. 즉, 교류부하전원 또는 전원용량을 표시하는 표시전력이라고 보면 되는 것입니다. 피상전력은 이론적으로 가능한 전력을 말하며, 한전에서 100%라는 전기를 공급해주면 실제 전기사용 시 변압기 Coil, 각 사용설비의 저항값(방해하는 요인)으로 인하여 실제사용전력은 80%, 90% 밖에 사용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10~20%버려진(전기일을 하지못한)전력과 80~ 90% 사용된(일을 한) 전력을 합한 것이 피상전력이 되는 것입니다.
(2) 피상전력의 표기사례
① 제8501.61 : 교류발전기: 출력 75킬로볼트암페어(kVA) 이하의 것
② 제8504.21 : 유입식 변압기: 용량 650킬로볼트암페어(kVA) 이하의 것
2) 유효전력 단위
(1) 유효전력이란
220V전압이 5A의 전류로 기계를 움직이려면 차단기에서 기계까지 연결된 선로가 있고. 그선로에서 전기저항(전선,S/W저항)이 발생하게 되고, 교류전기의 특징으로 전기저항과 부하저항의 콘덴서,Coil에서 각 위상차가 발생하게 되어 손실되는 전류가 있다. 손실되는 전류를 제외한 전류를 유효전력이라 한다. 즉, 기계가 작동할때 실제 사용된 전력을 말하며, 역률 만큼 일한 것이 유효전력이라고도 할수 있다. 교류(AC)회로에서 전력사용부하에 실제 사용되는 전력을말한다. 즉, 교류(AC) 회로에서는 전기선로의 전기저항과 부하(저항)의콘덴서, Coil의 성분에 의하여 교류의 위상차기 발생하게 되는데 이것을 COSθ(코사인세타)라하며, 사용전력과 사용전류에 곱한 것이 유효전력이 되는 것것이다. 전력(W) = 전압(V) × 전류(A) × COSθ 이죠. 즉, 실제 사용된(일을 한) 전력을 말 하는 것입니다. 220V의 전압과 20A의 전류를 공급하였을 경우 위상차가 발생되어 위상이 95% 였다고 하면 5%는 버려진(일을 하지못한 전력) 전력이고, 95%는 사용된(일을 한)전력으로 바로 유효전력인 것이다.
(2) 유효전력의 표시사례
ㅇ 8501.10: 전동기 (출력 37.5와트(w) 이하의 것)
3) 무효전력
(1) 무효전력이란
교류회로에서 피상전력과 유효전력 사이에 있는 역률 만큼의 전력을 무효전력이라한다. 즉. 교류(AC)회로에서 아무 일도 하지 못하고 손실되는 전력을 말한다.
예를들면 피상전력이 17.6kVA이고, 유효전력이 14.1kVA이며, 무효전력은 3.5kVA가 된다. 무효전력의 손실역률을 SINθ(싸인쎄타)라고 한다.
<무효전력의 산출방식>
* 역률(P) = 유효전력 ÷ 피상전력 = 14.1 kVA ÷ 17.6 kVA = “0.8이다.
* 손실역률 = (1- 역률) = 1-0.8 = 0.2
* 무효전력(W) = 전압(V) × 전류(A) × SINθ (손실역률 0.2)
220V × 80A × 0.2 = 3,520 vA = 3.5 kVA
(2) 무효전력 표시 사례
○ 제8532.10호 : 고정식 축전기 [무효전력이 0.5 킬로바르(0.5kvar)이상인 것]
다. 동력의 단위
구 분 | 명 칭 | 기호 | 비 고 |
차원단위 | 와트 | W | J/s = m2 kg s-3 |
|
(1) 국제단위
동력의 단위는 제임스 와트가 처음으로 마력(HP)을 사용했고, 현재는 kW라고 하는 단위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1HP는 0.746kW이다. 동력은 대부분의 경우 회전운동의 형태로 전달되는 일이 많고 직선운동의 반복 형태로 전달되기도 한다. 회전운동의 형태에서 동력을 측정하는 데는 그 동력이 전달되는 축의 토크(torque)를 측정하고 이와 별도로 측정한 축의 회전각속도를 곱해 동력을 산출한다.
(2) 동력단위 환산
1kw = 1,000w , 기타 단위로는 영국마력(HP), 미터마력(프랑스마력, PS), Cheval Vapeur(CV)가 있다. 1마력(HP)은 745.7W이다. 1마력(PS)은 735.5W이다.
엔진 출력 표시방법 - 와트(W) , 마력(HP 와 PS) - | |||
구 분 | 국제표준단위 | 마 력 | |
영국식 마력(HP) | 프랑스식 마력(PS) | ||
단 위 | W (와트) | Horse Power(마력) (영어) | Pferde Starke (독일어) |
야드파운법 중량단위계 550 lbf·ft/s | 미터법 중량단위계 75 kgf·m/s | ||
기 호 | w | HP (hp), ㏋, bhp | PS(ps) |
환 산 | 1kw= 1,000 w (킬로와트) 1Mw = 1,000 kw (메가와트) | 1HP= 745.699 ≒ 746 | 1PS = 735.498 ≒ 735.5 |
비 고 | HS품목분류표(관세율표)에서는 국제표준단위 "와트(W)"를 표시하고 있으나 업계에서는 관례적으로 마력인 HP 또는 PS 표시하거나 와트(W)와 병용하여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 일본 등 국제적으로는 미터중량단위계 “PS” 마력을 주로 사용된다. |
(3) HS 품목분류사례
① w, kw 분류사례
8. 8411.81 8411.82 | - 가스터빈 8411.81 -- 출력이 5,000킬로와트(kw) 이하인 것 8411.82 -- 출력이 5,000킬로와트를(kw) 초과하는 것 |
② 마력의 분류사례
ㅇ HP(마력) 사용 : HSK 10단위
<예시> 제8701.90-9110: 농업용 트랙터 50마력(HP) 미만의 것
14. 당도의 표시
개요
당도(糖度;sugar contents, Brix degree)는 과즙 중에 함유되고 있는 당의 비율(농도)를 당도라고 부른다. 당도의 표시방법은 가용성 고형물함량, Brix값, 당조성에 의한 각 성분의 함량 등으로 표시하는 방법이 있다.
2. 당도의 단위
(1) 브릭스(Brix)
(2) 선광도수: 편광돗수 99.5°
3. 당도측정법
(1) 굴절률 측정( 屈折率의 測定)
(2) 선광도의 측정(旋光度의 測定)
(3) 근적외선분광측정( 近赤外線分光測定)
(4) 비중에 의한 측정
4. 당도의 분류사례
(1) 편광도수법
<제17류 소호주1>제1701.12호, 제1701.13호 및 제1701.14호 의 소호에서 "조당"이라 함은 건조상태에서 중량기준으로 자당의 함량이 편광돗수 99.5°미만에 해당하는 당을 말한다.
(2) 브릭스(Brix)
제20류 소호주 : 제2009.12호, 제2009.21호, 제2009.31호, 제2009.41호, 제2009.61호 및 제2009.71호에서 "브릭스 값(Brix)"이라 함은 브릭스 판독용 액체 비중계에서 직접 판독한 브릭스를 의미하거나 섭씨 20도 또는 섭씨 20도가 아니라면 20도로 보정한 온도에서 굴절계에 나타난 당 함량 백분율로 표시된 굴절율을 판독한 값을 말한다.
2. 2009.21 2009.29 | 그레이프프루트(포멜로우를 포함한다) 쥬스 브릭스 값이 20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것 기타 |
15. 입도의 크기 단위
(1) 입도의 단위
메시(mesh)란 가루 물질의 입자 크기를 분류하기 위한 표준이다.
통용되는 표준으로는 미국표준협회에서 정한 ASTM sieve designation이 있고, Tyler사에서 정한 Tyler standard가 있다. ASTM표준은 1인치 길이에 들어가는 줄 갯수를 센 것이고, Tyler표준은 1인치 길이에 들어가는 구멍 수를 센 것이기 때문에, 숫자가 클 수록 체는 더 잘다. 메쉬 크기 간격은 √2 배 scale이다. 연구용도의 체 표준의 경우 분말상에서 분리 가능한 최소 구멍 크기는 325mesh (45㎛)인데, ASTM표준에는 632mesh까지 있으나 직경 45㎛ 이하의 가루는 뭉치고 체의 구멍을 막게 되므로 특별한 분리용 장치를 사용하거나 콜로이드상에서 분리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연구용도가 아니고 실제 산업 용도에서는 더 튼튼한 체가 필요할 수가 있으므로 체에 더 굵은 철사를 사용하게 되므로, 철사 굵기를 감안해야 한다. 예를 들어 같은 10mesh라고 하더라도 표준 연구용도 체의 구멍 크기(opening)은 1.7mm이나 굵은 철사를 사용하는 산업용 체의 구멍 크기는 그만큼 작아지게 된다. ex) 4mesh (sieve opening + wire dia inch) * 4.22 = (0.1870+0.0500)*4.22 = 1.00014 (1 inch)
Tyler (inch/#) | Sieve (inch/#) | 체구멍 (in) | 체구멍 (mm) | ㎛ |
- | 5 inch | 5.0 | 125 | 1250 |
- | 4.24 inch | 4.24 | 106 |
|
- | 4 inch | 4.0 | 100 | 1000 |
- | 3-1/2 inch | 3.5 | 90 |
|
2.97 inch | 3.0 inch | 3.0 | 75 |
|
- | 2-1/2 inch | 2.5 | 63 |
|
- | 2.12 inch | 2.12 | 53 | 530 |
2.10 inch | 2 inch | 2.00 | 50 | 500 |
- | 1-3/4 inch | 1.75 | 45 |
|
1.48 inch | 1-1/2 inch | 1.50 | 37.5 |
|
- | 1-1/4 inch | 1.25 | 31.5 | 315 |
1.05 inch | 1.06 inch | 1.06 | 26.5 | 265 |
- | 1 inch | 1.00 | 25.0 | |
0.883 inch | 7/8 inch | 0.875 | 22.4 |
|
0.742 inch | 3/4 inch | 0.750 | 19.0 |
|
0.624 inch | 5/8 inch | 0.625 | 16.0 |
|
0.525 inch | 0.530 inch | 0.530 | 13.2 |
|
- | 1/2 inch | 0.500 | 12.5 |
|
0.441 inch | 7/16 inch | 0.438 | 11.2 |
|
0.371 inch | 3/8 inch | 0.375 | 9.5 |
|
(2) HS 분류 사례
제11류 주2 나
ㅇ 밀과 호밀: 315마이크론(체) 통과비율 (80%이상)
ㅇ 보리: 315마이크로(체) 통과비율(80%이상)
ㅇ 귀리: 315마이크론(체) 통과비율(80%이상)
16. 섬유의 굵기 단위
가. 섬유의 굵기의 표시 방법
'번수'라는 말은 섬유의 굵기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단위이다.기준에 따라 항중식과 항장식이 있으며, 항중식은 일반적으로 면이나 울같은 단섬유를 꼬아서 만든 방적사에 사용되며,1파운드로 840야드의 실을 만들었을 때를 '1수'라고 합니다. 1파운드로 1680야드의 실을 만들면 '2수'가 되고, 항중식은 숫자가 높을 수록 가는 실을 뜻한다. 항장식은 실크나 폴리에스터같은 장섬유의 굵기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며,9000m가 1g이면 1데니어(denier)라고 말합니다.9000m가 2g이면 2데니어가 되죠..항장식은 숫자가 높을 수록 굵은 실을 뜻한다.
구 분 | 국제표준 실의 굵기(Finess) 표시방법 | |
항장식 (恒長式)
(Constant Length System) | 일정한 길이에 대한 중량비로 표시하는 방식으로 수치가 클수록 실의 굵기가 커진다. | |
텍스 (Tex) | Tex란 실의 길이 1,000m를 g수로 나타낸 것이다. 즉, 실 1,000m의 무게가 1g일 때를 1Tex(텍스)라 한다. 1 Tex = 10 decitex , 1decitex = 0.1Tex, 1Ktex: 1,000tex ※텍스는 국제표준화기구(ISO)정한 규격으로 HS품목표에서 사용하고 있는 단위이고, 필요시 미터번수를 병용한다. <번수표기 기호> Tex <환산> 텍스=1000/미터번수(Nm), 텍스 = 1/9 x 데니어 | |
데니어 (Denia)
D | 데니어란 실의 길이 9,000m를 g수로 나타내는 방식이다. 실 9,000m의 무게가 1g 일때를 1 데니어(D)라 한다. <번수표기 기호> D * 섬유업계에서는 주로 인조 필라멘트사에 사용 | |
항중식 (恒重式)
(Constant Weight System), 또는 번수법
| 일정한 중량에 대한 길이를 표시하는 방식으로 수치가 클수록 실이 가늘어 진다. 단위로는 번수(番手)를 쓰고 있다. | |
공 통 번수법 (미터번수) Nm | 공통번수( (No of Metric Count) 실 1kg(1,000g) 또는 실 1g일 때 길이를 나타내는 방식이다 → 실 1kg 일때 길이가 1000m 일때 1번수로 1’s로 표시 → 실 1g일때 길이가 1m 일때 1번수로 1’s로 표시 <번수표기 기호> Nm or NM <환산> 텍스 = 1000 / 미터번수(Nm) 공통번수 = 면번수 * 1.694, 공통번수 = 9,000/ D * HS 제52류 면사는 Tex와 미터번수를 병용 | |
면번수법 (영국식) Ne Nec | 영국식 면번수 (No of English Cotton Count) 실 1파운드(453.6g)일 때 실의 길이를 나타내는 방식이다. 실 1파운드(453.6g)가 길이 840야드(768.1m)이며 1면 번수(1’s 표시) <번수표기 기호> Ne or NE <환산> 공통번수 = 면번수 * 1.694 * 섬유업계에서는 면번수법(Ne)과 공통번수법(Nm)을 병용하여 사용하고 있음. | |
모번수법 (영국식) | - 소모번수법(Worsted count) 1파운드(453.6g) 양모솜으로 560 yd의 실을 뽑아을 때 1's 모번수 - 방모번수법(Woolen count) 1파운드(453.6g) 양모솜으로 256 yd의 실을 뽑아을 때 1's 모번수 | |
마번수법 (Lea) | - 1 파운드(453.6g)일때 실의 길이가 300 야드(yd)이며 1 마번수 (1 lea)라 한다. |
(2) 실의 굵기 단위 표시 사례
ㅇ 제5206.11호 : 단사로서 714데시텍스(decitex) 이상인 것[미터식번수 14수(14metric number)이하]
ㅇ 제5402호: 합성필라멘트 (67 데시텍스 미만의 것)
17. 함량의 표시 방법
가. 백분율 표기법(퍼센트 표기법)
(1) 중량(무게)백분율(Percentage by weight w/W %)
2종이 상의 혼합물의 경우 함량표시는 중량표시: 고체와 고체가 혼합된 경우, 액체에 고체가 혼합되어 있는 경우이다. 백분율(百分率)은 수를 100과의 비로 나타내는 방법이다. 기호는 %이다. 예를 들어 45.1%는 0.451을 나타낸다. 보통 백분율은 0과 1 사이의 값을 나타내는 데 쓰이지만, 임의의 무차원수를 백분율로 나타낼 수 있다. 백분율 기호(%) 또는 퍼센트 기호는 백분율(앞 수가 100으로 나뉜 것)을 나타내는 데 쓰이는 기호이다.
(2) 용량 백분율(Percentage by volume: v/V%)
주로 액체에 액체가 혼합된 경우에 사용된다. 단위는 %이다. HS에서는 유일하게 알콜함량 표시에만 용량백분율을 사용하고 있다.
<예시1> 제2207호: 에틸알코올(알코올의 용량이 전용량의 100분의 80이상의 것)
<예시2>제2009호에서 "발효하지 아니하였거나 주정을 첨가하지 아니한 쥬스"라 함은 알콜의 용량이 전용량의 100분의 0.5이하인 쥬스를 말한다(제22류의 주2 참조).
(3) 그밖에 표기법으로 중량대 용량백분율(w/v%), 용량대 중량백분율(v/w%)
나. 그밖에 Parts per 표기법
(1) 백만분율: ppm(parts per million)
백만분의 1이라는 뜻이며, 용액 100,0000g 에 들어있는 용질의 g수를 나타낸다. ppm을 10000으로 나누면 %(percentage)로 단위를 변환할 수 있다.
ppm미량 함유 물질의 농도를 표시할 때 사용하는데 1g의 시료 중에 100만 분의 1g, 물 1t 중의 1g, 공기 1㎥ 중의 1cc가 1ppm이다. ppm 단위를 사용하는 예로 물의 세기를 나타낼 때 미국식으로는 1ℓ 속에 포함되어 있는 칼슘 이온과 마그네슘 이온의 양을 ppm단위로 나타낸다. 수질오염의 지표값은 일반적으로 ppm(mg/ℓ)?ppb(㎍/ℓ) 등의 농도를 사용한다. 부유물질(SS)은 공정시험법이 정한 여과지를 통과시킨 후 건조시켜 측정한 것으로 물의 탁도를 결정한다. 맑은 하천의 경우 25ppm, 호소의 경우 1ppm이면 투명도가 1m 정도이다. 또 호소?댐 등의 부영양화는 1차적으로 식물성 플랑크톤(藻類)의 증식으로 나타나며 질소(N)와 인(P)이 증식에 중요한 제한요소가 되므로 가장 많이 적용되는 부영양화 지표가 된다. 일반적으로 질소 0.2ppm 이상, 인 0.015ppm 이상이 부영양화의 기준으로 적용되고 있다.
(2) ppb(parts per billion)
10억분의 1(parts per billion)을 나타내는 단위이다. 10억분율 , 농도 10억분율. 따라서 ppm의 1000분의 1에 해당된다. 분석기기의 고감도화에 의하여 사용되게 되었다. 혼합물이나 용액 중에 존재하는 초미량 물질의 농도의 비율 표시로, (중량/중량) 혹은 (용량/용량) 어느 것에도 사용된다. 수용액의 경우에 쓰이는 것은 중량 10억분율로, 예컨대 용액 1kg 중에 함유되는 용질의 수로 나타낸다. 따라서 비중이 1이라고 간주할 수 있는 묽은 용액에서는 농도를 ppb 혹은 /ℓ 같은 (중량/용량)으로 나타내더라도 실용상은 같은 값이라고 생각하여도 좋다. 그러나 용질농도가 큰 경우에는 비중이 1로는 간주할 수 없기 때문에 ppb와 /ℓ와는 구별하여 쓰지 않으면 안 된다. ppb의 1000분의 1의 비율 표시는 ppt이고, 또 그 1000분의 1의 비율표시에는 ppq가 쓰인다
(3)ppt (일조분율) :parts per trillion
|
| 품목분류 | |||
함량 (%) | 규정이상 | 규정이하 | |||
비환식 탄화수소 | 포화 비환식탄화수소 | CH4 (메탄) | 순도 불문 | - | 제2711호 |
C3H8 (프로판) | |||||
C2H6 (에탄) | 용량비 95 | 제2901호 | |||
부탄 | 용량비 95 | ||||
불포화 비환식탄화수소 | 에틸렌 | 용량비 95 | |||
프로필렌) | 용량비 90 | ||||
부틸렌 | 용량비 90 | ||||
부타디엔 | 용량비 90 | ||||
환식 탄화수소 | 방향족 화합물 | 벤젠 | 중량비 95 | 제2902호 | 제2707호 |
톨루엔 | 중량비 95 | ||||
크실렌 | 중량비 95 | ||||
안트라센 | 중량비 90 | ||||
나프탈렌 | 결정점 79.4℃ | ||||
페난트렌 | 상관례상 순수한 것 | ||||
페놀계 화합물 | 페놀(Phenol) | 중량비 90 | 제2907호 | ||
크레졸(Cresol) | 중량비 95 | ||||
크실레놀 (이성체 합) | 중량비 95 | ||||
피리딘계 화합물 | 피리딘(Pyridine) | 중량비 95 | 제2938호 | ||
피리딘유도체 | 중량비 90 |
18. 밀도와 비중표시법
가. 밀도
(1) 밀도의 정의
밀도 (密度, Density, 기호 - 그리스어: ρ)는 부피의 단위 당 질량을 나타내는 값이다. 부피가 일정할 때, 한 물체의 밀도가 클수록 그 물체의 질량은 크다. 한 물체의 평균 밀도는 그 전체 질량을 그 전체 부피로 나눈 것과 같다. 더 조밀한 물체(철과 같은)는 같은 질량의 덜 조밀한 물질(물과 같은)보다 부피가 적을 것이다.
밀도의 SI단위는 킬로그램 매 세제곱미터 (kg/m3)
(2) HS 분류사례
제4411.92호: 섬유판 밀도가 1세제곱미터당 0.8그램(0.8 g/cm3) 을 초과하는 것
나. 비중(specific gravity, 比重)
(1) 비중의 정의
비중(比重)은 어떤 물질의 밀도와, 표준 물질의 밀도와의 비이다. 상대밀도라고도 한다.
온도 및 기압 조건이 따로 제시되지 않았다면 일반적으로 고체 및 액체에 대해서는 4℃ 1기압 아래의 물, 기체에 대해서는 0℃ 1기압인 공기를 기준으로 한다. 질량끼리의 비이므로 단위가 없는 무차원량이 된다. 4℃, 대기압 상태에서 공기가 녹아 있지 않을 때 물의 밀도는 0.999972 g/cm3이다. 거의 1.0 g/cm3에 가깝기 때문에 비중과 밀도의 값을 CGS 단위계로 나타내면 거의 같은 값이 된다.밀도와 비중은 혼동되기 쉽지만, 밀도는 질량을 부피로 나눈 양이며, 비중은 기준 물질과 비교되는 밀도의 비라는 점으로 다른 것이다. 따라서, 물질이 물에 뜨거나 가라앉는다는 것은 비중으로 판단하는 것이 좀더 용이하다. 비중이 1보다 큰 물질은 물 아래로 가라앉고, 비중이 1보다 작은 물질은 물에 뜬다. 각종 물질들의 대략적인 비중은 순도, 구성물질, 온도, 압력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2) HS 비중 표시 사례
제3901.10호: 폴리에틸렌(비중 specific gravity이 0.94미만
제3901.20호: 폴리에틸렌(비중 specific gravity이 0.94이상
3. 겉보기 비중 (apparent specific gravity)
물질의 단위 체적당의 질량을 밀도라 정의하지만 섬유나 가벼운 돌과 같이 물질 자신의 표면이나 내부에 공극을 가진 물질에 있어서는 밀도외에 그 공극을 포함한 겉보기 밀도가 고려되어 진다. 일정 용기내에 분립체나 여러 가지의 충전물 혹은 촉매를 충전한 경우, 개개의 입자간 혹은 입자와 기벽의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을 포함하여 충전밀도라 하는것도 고려되어 진다. 이들에 대해서 외견상 밀도, 겉보기 충전밀도 등의 용어가 혼용되고 있지만 다음과 같이 구별된다. 지금 물질의 참의 밀도를 ρ라고 하면 (1)외견상 밀도(apparent density) ρa = ρ(1-p) 여기서 p는 물질고유의 공극율(porosity)로서 비 다공질이 아니면 물론 p=0 이다. (2) 겉보기 밀도(bulk density)또는 충전 밀도(packing density) ρb = ρ(1-ε)(1-p) 여기서 ε는 공간율로서 이 값은 물질의 충전방법에 의해서도 변화된다. 단, 외견상 밀도, 겉보기 밀도를 각각 외견상 비중, 겉보기 비중이라 말하는 경우도 있지만, 정확하게는 비중이 아닌 밀도라고 해야 한다.
(3) HS 비중 표시 사례
제2512호 규조토와 이와 유사한 규산질의 흙(겉보기 비중 apparent specific gravity이 1이하인 것), 제2515호 건축용 석회질의 암석겉보기 비중 apparent specific gravity이 2.5이상인 것)
19. 표면장력의 단위
(1) 정의
표면장력의 크기는 액체 표면 막을 단위 길이만큼 찢는데 필요한 힘(N/m) 혹은 액체 표면 막을 단위 면적만큼 확장하는데 필요한 에너지(joule/m2)로 표현할 수 있다. 힘의 단위인 뉴턴(N)과 에너지 단위인 주울(joule) 사이에는 N = joule/m 관계이므로 표면장력의 크기를 어떤 단위로 나타내도 마찬가지인 것이다. 힘의 단위를 뉴턴 대신에 다인(dyne: 105 dyne = 1N)으로, 길이 단위를 미터 대신 센티미터(cm)를 사용하면 표면장력의 크기는 dyne/cm로 나타낼 수 있고, 실험실에서도 dyne/cm 단위를 주로 사용한다. 실온(25℃)에서 물의 표면장력은 약 72 dyne/cm, 벤젠의 표면장력은 약 29 dyne/cm, 수은의 표면장력은 약 486 dyne/cm이다. 물의 표면장력이 100oC에서는 약 59 dyne/cm로 감소된 것은 액체 분자들의 활발한 움직임으로 분자 간의 응집력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2) HS 분류사례
제43류 주3. 제3402호에서“유기계면 활성제”라 함은 섭씨 20도에서 유기계면 활성제를 100분의 0.5의 농도로 물과 혼합하여 동 온도에서 1시간 방치하였을 때 물의 표면 장력은 미터당 0.045뉴튼(센티미터당45다인)이하로 저하하여야 한다.
20. 재료의 강도의 표시 방법
(1)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TS)
① 정의 및 단위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TS) 또는 최대 강도(ultimate strength)라고 하는 최대인장강도(Ultimate tensile strength, UTS)는 재료의 세기를 나타내는 힘으로, 재료가 절단되도록 끌어당겼을 때 견뎌내는 최대 하중을 재료의 단면적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② HS 분류 사례
제7208.25-1000: 인장강도가 490메가파스칼(Mpa) 이상인 것
(2) 종이의 인열(파열)강도
인열(파열)강도(Tear strength)
(3) 섬유의 강도
제11부주6(강력사의 기준) 나일론: 60센티뉴턴/텍스(60cN/tex) 이상
21. 방사능 단위표시
(1) 정의
방사능이란, 라듐, 우라늄, 토륨 따위 원소의 원자핵이 붕괴하면서 방사선을 방출하는 일이나 그런 성질을 말한다. 원자력 발전소와 같은 곳 우리가 필요한 전기를 생산하는 곳에서 나온 핵 같은 물질이다.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물질의 방사능을 천연 방사능,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물질의 방사능을 인공 방사능이라 한다.
(2) 국제단위(차원단위)
| 단위명 | 기호 | 정의 | 비고 |
방사능 | 베크렐 | Bq | 1베크렐은 방사성 핵종(核種)이 1초 동안에 한개 붕괴하는 방사능이다 | s-1 |
흡수선량 | 그레이 | Gy | 물질 1kg당 1주울의 에너지의 흡수가 있을 때의 선량 |
|
등가선량 (선량당량) | 시버트 | Sv | 방사선 종류, 에너지에 따른 신체 영향을 고려한 선량(흡수선량 × 방사선가중치) | 1Sv=100rem |
(3) 참고단위
| 단위명 | 기호 | 정의 | 비고 |
조사선량 | kg당 쿨롱 | C/kg | 공기 1kg중에 1쿨롱의 이온을 만드는 감마선 또는 X-선의 양 | SI단위 |
뢴트겐 | R | 공기 1kg중에 2.58×10-4쿨롱의 이온을 만드는 감마선 또는 X-선의 양 | 1C/kg=3876R | |
흡수선량 | 그레이 | Gy | 물질 1kg당 1주울의 에너지의 흡수가 있을 때의 선량 | SI단위 |
라드 | rad | 물질 1g당 100erg의 에너지의 흡수가 있을 때의 선량 | 1Gy=100rad | |
등가선량 | 시버트 | Sv | 방사선 종류, 에너지에 따른 신체 영향을 고려한 선량(흡수선량 × 방사선가중치) | SI단위 |
렘 | rem | 1Sv=100rem | ||
유효선량 | 시버트 | Sv | 신체 조직별 특성을 고려한 선량(등가선량 × 조직가중치) | SI단위 |
렘 | rem | 1Sv=100rem |
[물리] 국제단위로 채택된, 방사능의 단위. 1베크렐은 방사성 핵종(核種)이 1초 동안에 한개 붕괴하는 방사능이다. 프랑스의 물리학자 베크렐의 이름에서 유래한다. 기호는 Bq이다. 식품 방사능 관련 기사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단위 중 하나로 ‘베크렐(Bq)’이란 것이 있습니다. 보통 ‘식품에서 몇 베크렐(Bq)이 검출됐다’라는 식으로 많이 사용하는데요. 여기에서 베크렐(Bq)이란 ‘방사성물질이 가지고 있는 방사능의 강도’를 말합니다. 좀 더 쉬운 이해를 위해, 예를 들어볼까요? 사진 속의 생선에서 방사성세슘인 Cs-137이 100 Bq/kg이 검출됐다고 가정합니다. 이는 곧 생선 1kg이 가지고 있는 ‘방사능의 강도’가 100Bq이란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베크렐(Bq)로 측정된 수치는, 특정 대상에서 가지고 있는 방사능의 강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알려 줍니다. 하지만 이 생선을 우리가 먹었을 때 얼마나 피폭되는지 정도를 알기 위해선, 베크렐(Bq)이 아닌 시버트(Sv) 단위로 전환해야만 하는데요. 시버트(Sv)는 방사성물질에서 뿜어져 나온 방사선에 인체가 노출되었을 때, 우리 몸이 받게 되는 영향이 어느 정도인지를 나타내는 단위를 말한다.
(4) 퀴리(Curie)의 단위
퀴리(Ci) = 1퀴리 =3.7x1010 붕괴/초 = 3.7 Gq
물리학에서 방사성 물질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로 1962년 국제방사선도량형위원회는 초당 핵변환의 횟수가 정확히 3.7×1010인 방사성 핵자(核子)의 양이 나타내는 방사성을 1Ci라고 정의할 것을 건의했다. 다른 연구 그룹들은 초당 3.7×1010회의 핵분열을 일으키는 방사성 물질의 양을 1Ci라고 정의한다. 이 단위는 프랑스의 물리학자 마리 퀴리 를 기념해 명명되었다.
(5) HS 분류사례
- 제28류주6라: 합금, 분산물 그램당 비방사능이 74베크렐(0.002마이크로퀴리)을 초과하는 것
22. 메모리의 용량단위
하드디스크 | 단위 | 하위단위 | 바이트환산 | 비 고 | |
bit | 비트 | 0.125 |
|
| |
2TB | B | 바이트 | 1Byte | 10의 0 |
|
KB | 킬로바이트 | 1024B | 10의 10승 |
| |
MB | 메가바이트 | 1024KB | 10의 20승 |
| |
GB | 기가 바이트 | 1024MB | 10의 30승 |
| |
TB | 킬로바이트 | 1024GB | 10의 40승 |
| |
PB | 메가바이트 | 1024TB | 10의 50승 |
| |
EB | 기가 바이트 | 1024PB | 10의 60승 |
| |
ZB | 킬로바이트 | 1024EB | 10의 70승 |
| |
YB | 메가바이트 | 1024ZB | 10의 80승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