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화폐 5만원, 10,000원, 5천원, 천원, 100원 지폐, 동전 인물
은행권 < 인쇄 < 사업·연구개발 < 한국조폐공사
세계최고의 조폐·인증·보안 서비스 기업, 한국조폐공사
www.komsco.com
이순신 영정 저작권 2심도 "한국은행에"
[오늘의 판결]
100원 동전에 40년간 사용료
"1억원 달라"던 화백 유족 패소
김나영 기자 입력 2025.02.15. 00:46 조선일보
100원짜리 동전 속 이순신 장군 표준 영정의 저작권이 한국은행에 있다는 법원의 판단이 1심에 이어 2심에서도 나왔다. 서울중앙지법 민사8-3부(재판장 김양훈)는 14일 동양화가 고(故) 장우성 화백의 아들 장모씨가 한국은행을 상대로 낸 저작권 침해 소송에 대해 원고 청구를 기각했다.
장 화백은 1953년 충무공기념사업회의 의뢰를 받아 이순신 장군의 표준 영정을 제작한 인물이다. 이 영정은 1973년 대한민국 1호 표준 영정으로 지정됐다. 이후 장 화백은 1975년 당시 문화공보부 의뢰로 해당 영정을 화폐 도안용으로 개작(改作)해 한은에 제공했고, 한은 측은 장 화백에게 사용료 150만원을 지급했다. 이 영정은 당시 500원권 화폐에 사용됐다가, 1983년부터 현재까지 100원 동전의 앞면에 사용되고 있다.
이에 대해 장 화백 유족 측은 “저작물 이용 계약을 체결하지 않았다”며 “해당 영정을 한은이 계속 사용하는 건 저작권 침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2021년 10월 저작권 침해에 따른 40년간의 사용료를 받아야 한다며 배상금 1억원을 청구했다.
이 사건 쟁점은 화폐 도안용으로 만들어진 영정을 별도의 저작물로 볼 수 있는지 여부였다. 이에 대해 1심은 “안면부의 굴곡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등 창작적 요소가 가미됐다”며 저작권이 발생하는 별개의 창작물로 봤다. 그러나 “장 화백이 한은에 화폐 도안용 영정을 제공하고 그 대금으로 150만원을 지급받은 사실이 인정돼 이 영정의 저작권은 한은에 귀속된다”고 했다. 이날 2심은 1심 판결을 그대로 인정하면서 “장씨는 아버지로부터 영정의 저작권을 양도받은 증거도 없다”고 했다.
김나영 기자
사회부 법조팀에서 법원과 헌법재판소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21세기 영어교육연구회 / ㈜ 파우스트 칼리지
전 화 : (02)386-4802 / (02)384-3348
이메일 : faustcollege@naver.com / ceta211@naver.com
Cafe : http://cafe.daum.net/21ceta 21세기 영어교육연구회
Band : http://band.us/@ceta21 21세기 영어교육연구회
Blog : http://blog.naver.com/ceta211 21세기 영어교육연구회
Web-site : www.faustcollege.com (주)파우스트 칼리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