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만 권기의 한시에 반영된 문예미
이원걸(문학박사)
1. 머리말
용만龍巒 권기權紀(1546-1624)는 [영가지]의 편찬자로,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그런데 그가 편찬한 [영가지]에 대한 인식은 일반화되어 있지만, 그의 생애와 문학적인 성취에 대해서는 크게 알려지지 않았다. 그의 행적과 영가지 편찬 내력은 안동문화원에서 영인한 영가지 원본 서두 부분에 정리되었다. 이어 안동대학교 퇴계학연구소에서는 퇴계의 재전再傳 제자弟子들의 문집을 표점 ․ 영인했는데, 용만 권기의 시문집인 용만집이 편찬되었다.
용만은 처사적 선비로서, 그가 평생을 살다가 뼈를 묻은 안동에 대한 애착과 관심이 그 누구보다도 강했다. 이런 그의 삶은 우리 농토와 농민의 삶에 대한 아주 밀착된 것이었는데, 그는 많은 수의 전원시를 창작했다. 아울러 그는 향토의 미풍 진작을 위해 고민하기도 했다. 그의 만년 역작 영가지와 안동권씨세보는 이런 의식에서 찬술된 것이라고 한다.
용만집」은 2권 1책으로, 권 1에 시 166수가 실려 있다. 권 2에는 잡저 및 묘갈명 등이 몇 편 실려 있다. 때문에 그의 문예적인 성취는 시에 집중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용만의 시를 분석하여 거기에 반영된 문예미를 검토하기로 한다.
2. 용만의 생애
그는 본관이 안동이며, 자는 사립士立, 호는 용만龍巒으로 권태사의 23대손이다. 그의 할아버지의 이름은 미수眉壽로 벼슬은 부장部將이었다. 그의 아버지 이름은 몽두夢斗이며, 어머니는 영양남씨 한립漢粒의 따님이다. 한립의 벼슬은 충순위忠順尉였다. 이로 볼 때, 용만의 조상이나 처가 쪽 조상들이 모두 크게 벼슬을 하지 못했던 점을 알게 된다.
그는 7세 때에 어머니를 여의고 외로운 유년기를 보낸다. 이 당시 권기는 집안에서 보리떡을 만들자, 여종에게 깨끗한 그릇에 그것을 담아 달라고 해서 공손히 머리에 이고 어머니의 빈소殯所에 바치는 효성을 보였다. 용만은 3년간의 어머니상을 마치고, 10세 무렵에 고을의 선비들을 따라 광흥사에 놀러 갔는데, 매우 모범적이어서 칭찬을 받았다. 용만은 13세 때 무렵에 아버지의 가르침을 따라 소학을 익혔다. 이 당시, 스승으로부터 소학을 잘 외운다는 칭송을 받았다. 용만은 17세가 되어, 스스로 현감인 고흥운高興雲에게 가서 1년 정도 학문을 익힌 뒤,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의 문하에 들어가 성리학에 대해 듣고 밤낮으로 성리학 공부에 매달렸다. 그러면서 용만은 순수한 처사형의 선비 형상을 지녔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다가 23세부터 과거 시험장을 출입하기 시작했다. 용만은 그해 곧, 선조 1년(1568)에 향시鄕試에 우수한 성적으로 합격했다. 그러나 회시會試에는 운이 닿지 않아 번번이 실패하였다. 그가 이렇게 번번이 과거에 응시한 것은 아버지의 집요한 요구 사항에 따라 응시한 것뿐이라고 술회하였다. 그는 아버지가 세상을 뜬 이후로는 과거 보러 가는 것을 청산하고, 향리에서 처사의 삶을 마친다. 이 당시, 그의 나이는 대략 40세 무렵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후, 그는 다방면에 걸친 독서와 사색을 통해 광범위한 학문을 구축한다. 그리고 그는 학봉 김성일과 서애 유성룡의 문하에도 출입을 하면서, 대인군자에 관한 말씀도 듣게 되었다.
만년에 조정에서 그를 제용감참봉濟用監參奉이라는 직분을 주어 불렀으나, 그는 아버지상을 당했기 때문에 벼슬길에 나가지 못했다. 그는 만년에 역작을 남기게 되는데, 안동권씨세보 16권을 편수했으며, 영가지 8권을 찬술했다. 그런데 영가지를 만든 목적이 그의 이름을 후세에 남기기 위함이 아니라, 늘그막에 소일 삼아 편찬한 것이라고 밝혔다. 결국 그는 이 일 때문에 중한 눈병을 앓을 만큼 혼신의 힘을 쏟았다. 이후로 그는 눈병과 육신의 질병 속에 17년 동안 문밖출입을 못하다가 79세의 일기로 생애를 마감했다.
3. 농촌 삶의 스케치
용만은 자신이 향리에서 일생을 살았던 만큼 시골 백성들의 농촌 일상생활에 대한 관심이 많았다. 특히, 농민들의 부지런하고 건실한 삶에 주목하여, 노동하는 농민들의 모습과 농촌 일상을 계절적 추이에 따라 자세하게 묘사하였다.
비둘기 첫울음 우는 새벽에 농부는 밭에 나가
쟁기 잡고 삼태기 매고 다투어 가며 파종을 하네.
지난 해 기근이 무슨 상관이랴.
모두들 올해는 풍년 들 거라며 좋아 하네.
戴勝初鳴民在田
扶犁荷蕢播爭先
年前饑饉何須歎
歲人皆曰有豊年
이른 새벽부터 농부들의 부산한 삶의 현장이 전개된다. 한편으론 밭을 갈아엎으며, 이내 파종하기에 여념이 없는 그들에게서 어두운 삶의 그림자는 결코 보이지 않는다. 이들은 지난해에 이미 흉년을 만나 기근饑饉을 경험했던 자들이다. 하지만 그것이 결코 이들의 삶을 장애하는 요인으로 작용되지 않는다. 새봄에 걸맞게 새 희망의 파종을 서두를 뿐이다.
보리밭 고랑 사이로 콩이랑 조를 심느라
온 들판엔 이랴쯔쯔 소모는 소리뿐.
만사에 조금만 늦어도 실효가 없는 법이니
농가에선 때 맞춰 경작함이 급선무일세.
麥田間種豆兼粟
遍野驅牛嘖嘖聲
萬事少緩無實獲
農家尤急趁時耕
보리가 거의 익어 갈 무렵에 보리 이랑 사이로 콩과 조를 심기에 여념이 없는 농민들의 일하는 모습이다. 아마 온 동네 사람들은 알맞게 내린 비에 맞추어 콩과 조 심기를 서두르기 때문에 온 들판엔 소모는 소리로 야단법석이라고 한다. 때를 놓치지 않고 잡곡을 파종하려는 소박한 농부들의 마음이 드러난다.
평지에 목화 씨 뿌렸으니
열매 무성해져 가을되면 구름처럼 쌓이리.
옥 같은 손으로 찰싹찰싹 솜을 타 옷 지으면
겨울 와도 걱정 없이 온 몸을 감싸 주리.
木綿花種下平田
茂實秋來白雲堆
札札機杼勞玉手
天寒無恙遍身裁
목화 파종에 따른 농민들은 기대감에 부풀어 있다. 농부들의 알뜰한 목화 재배는 가을철에 이르러 흰 구름 더미처럼 많은 양의 솜을 수확할 수 있으리라고 자신한다. 이는 고운 손의 여인에 의해 솜이 생산되고, 이어 솜옷을 지어 입게 되면 한 겨울의 추위도 거뜬히 막아내리라는 행복에 젖은 농민들의 정서가 반영되어 있다.
추포의 보리 거두는데
구름 걷히고 햇빛은 쨍쨍
도리깨 소리 급하고
보리 베는 낫 번개 같구려.
막걸리에 된장으로 목 추기고
산나물과 밥으로 주린 배 채우네.
오쟁이에 넘치는 보리를
저녁 답에 수레 가득 싣고 오네.
欲收楸浦麥
雲捲日生暉
彭朴聲猶急
鉏鎌光若飛
酒漿頻沃渴
菜飯屢充飢
擔石終盛實
滿車趁暮歸
보리 추수의 정경이다. 오뉴월 뜨거운 태양 아래 우리 농부들이 신명나게 보리를 베면서 한쪽에선 연이어 공동으로 타작을 한다. 흥겨운 도리깨 소리와 번쩍이는 낫은 청각과 시각적 묘미를 이룬 가운데 민첩한 농부들의 손놀림을 보여준다. 막걸리와 된장, 산나물밥은 우리 토속 농촌 음식으로 농촌 정서를 잘 보여주는 소도구이다. 농부들이 저녁 무렵에 섬에 넘치는 보리를 수레 가득 싣고 귀가하는 모습은 흥겹기만 하다. 다음은 된장 담그는 모습을 그린 작품이다.
콩을 쪄서 빻아 메주 덩이 만들어
아랫목에 묻었다가 곰팡이 돋아나거들랑
햇볕에 잘 말리고 다시 잘게 쪼갠 뒤
항아리에 넣고서 소금물로 장 담그리라.
煮豆舂成塊
埋焄粉滿身
曝乾還細碎
納瓮水鹽均
콩을 삶아 메주를 만들어 된장을 담그는 과정이 자세하게 소개되어 있다. 된장은 우리 민족 고유의 발효 음식으로, 오랜 세월 동안 그 맛깔을 유지해 오고 있다. 용만은 콩을 삶아 메주 덩이를 만들어 아랫목에서 충분히 발효시킨 다음, 맑은 햇살에 건조시켜 항아리에 된장을 담그기까지의 과정을 매우 자세하게 그려
내었다. 이어 농민의 슬픔을 대신하여 표현한 시를 보기로 한다.
4. 농민의 슬픔을 대신하여
용만이 농촌 생활 모습 묘사에 못지않게 관심한 것은 농민들의 어려운 생활 모습이다. 주 생업이 농업인 농민들에게 일 년 농사의 풍흉은 그들의 삶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그 풍흉을 결정해 주는 요인은 각종 자연 재해이다. 용만은 자연재해로 인해 농민들이 겪는 고충을 시에 담았는데, 이는 그가 향리 농민들에 대해 그만큼 강한 애정을 지녔음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쨍쨍 내리쬐는 태양에 땅은 불화로
파종한 이삭이 말라버려 어쩔 도리가 없는데
대궐에선 농가 돌보는 일 다 했다고 하니
은나라 수도처럼 가뭄도 심하네.
火傘張空地作爐
揷秧枯稿更無謀
九重已盡幸林責
乾旱如何甚亳都
농촌 백성들이 겪는 가뭄에 대해 슬픈 마음을 담은 시이다. 지독한 가뭄은 파종한 이삭들을 이내 마르게 했고 농민들의 슬픔은 더욱 깊어졌다. 그런데도 조정에선 농민들의 생활 실태를 모두 파악한 것으로 처리되어 이들의 슬픔과 어려움은 해결될 길이 없음을 안타까워한 것이다. 가뭄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농민을 슬퍼하며 지은 시이다. 다음 작품을 보기로 한다.
농민들 농사에 힘썼으나 흉년을 당한 터에
홍수까지 겹쳐 수마가 온 밭을 덮쳤다네.
지난 해 근심을 채 다 말하기도 전에
벌써 수천 구 시체를 보았네.
嗟民力業未逢年
大水狂浪盡沒田
去歲顚連不忍說
來頭又見積屍千
지난 해 흉년을 당한 농민들에게 이어진 수해는 이들의 생활을 더욱 궁벽하게 만들었다. 지난 수해로 인한 상처가 치유되기도 전에 수마가 스쳐 간 농촌엔 기근으로 고생하다가 죽은 시신들이 언덕을 이루는 참상이 전개된다. 시인의 애상은 이즈음에 이르러 점차 고조된다. 아사한 시신들을 바라보는 시인의 심정은 참담할 뿐이다. 이런 심정은 다음 시에서 더욱 증폭된다.
지금 하늘의 뜻
누가 헤아릴거나
백성들 불쌍히 여기지 않고
이 재앙 내리셨나요.
진흙에 묻힌 올보리는
살 릴 길 없으니
곳곳마다 농민들
슬피 부르짖고 있네.
今夫天意誰能測
不恤蒼生降此災
來麥深泥難掘拾
嗷嗷處處哭聲哀
자연 재해란 고금을 막론하고 인력으로 극복하기가 어려운 법이다. 그래서 용만은 이 재난을 내린 하늘을 원망해 보기도 하였다. 묵묵부답인 하늘을 주시하다가 지친 시인의 시선은 수마로 인한 농토를 주목하기에 이른다. 진흙 더미가 산처럼 올보리 밭을 덮쳐 보리밭을 엉망으로 만들어 버렸다. 비참한 현실 앞에 무력한 농민들이 시인의 발길 닿는 곳마다 목 놓아 울부짖고 있다.
괴로운 비 주룩주룩 도무지 그치질 않더니
강물은 출렁출렁 긴 둑을 무너 뜨렸네.
농가는 이미 추수할 희망을 잃어버렸는데
무서운 세금 번거로운 요역을 어찌할거나.
苦雨淋淋終不止
江流洶湧沒長披
田家已失西成望
重賦煩徭答奈何
장마 비는 결국 마을을 보호하던 둑을 무너뜨리고 마을 전체를 을 덮쳐 엄청난 수해를 가져왔다. 이로 인해 농토는 침수와 유실되고 집마저 무너진 것이다. 농가에서는 추수할 희망을 잃어버린 채 생계가 어렵게 되었다. 하지만 세금을 부담해야 하는 농민에게 세금 부담과 요역徭役을 부담해야하는 괴로움이 겹쳐 있다. 시인은 이들의 아픔을 결코 지나쳐 버릴 수 없었다. 그래서 용만은 이들 농민의 슬픔과 어려움을 시로 표현해 내었던 것이다. 이어 인재와 문흥의 안동 고을에 대한 자부심을 담은 시를 보기로 한다.
5. 인재와 문흥의 고장 안동에
용만의 향토 사랑 의지는 향촌의 어질고 넉넉했던 풍속이 점차 퇴색되고 경박한 풍속으로 변질되고 있음을 염려하는 시에서 나타난다. 이는 유교적인 향촌 사회를 건립하고자 하는 의식과도 연관이 있다.
이웃 마을에 점점 어질고 넉넉한 풍속이 사라지니
문득 옛날을 생각하며 길이 탄식하였네.
성현 존경하는 마음은 가을매미 날개처럼 가벼워지니
우정이 시드는 건 당연한 일일세.
近里漸無仁厚俗
飜思昔日感歎長
尊賢心似秋蟬翼
朋友交哀勢固當
이웃 마을의 경박한 풍속을 보고 난 뒤에 인재와 문흥文興의 고장 안동에 악한 풍습이 생겨날까 염려면서, 문득 순수하고 넉넉한 풍습이 찬란히 빛나던 옛날을 회상해 보았다. 옛날과 현실의 풍속은 아주 많이 달라져 있다. 이로 인해 용만은 슬픈 탄식을 늘어놓았다. 그래서 어진 이를 추모하는 마음은 점차 퇴색되었고 순수해야 할 우정마저 시들어졌다는 것이다. 이러한 그의 우려는 다음 시에서도 드러난다.
향약이 엄명함은 조종으로부터 시작되어
자손들이 따라 받든 백년 사이에
이제는 말로 되어 투박한 습속이 많아졌고
유전하던 효제의 풍속도 무너졌네.
鄕約嚴明自祖宗
雲仍尊奉百年中
嗟今末路多偸習
壞了流傳孝弟風
향약에 대한 언급이 있다. 향약이 시행된 지 백년을 지나오면서 미풍 진작과 유교적 덕목에 의한 향촌 사회의 건립 운동이 전개되어 가는 듯했지만, 이제는 말기적 현상만 노출되었다고 한다. 시인은 우리 민족 전통인 효도와 공경의 풍습마저 그 기능을 상실해 가는 현실이 무척 안타깝다고 했다.
술 얻어먹으러 갔다가 허탕을 친 꼴도 참 우습고
깊은 진흙탕에 처박힌 것도 역시 부끄러운 일
남을 대접함에 후박을 따져 무엇하랴.
마땅히 먼저 처신을 옳게 할 줄 알아야지.
求飮空還良可哂
深泥倒落亦云羞
接人厚薄何須說
行已當先十分求
이 시는 제목이 상당히 길다. 「갑이란 위인이 부잣집을 찾아가 술을 얻어먹으려고 했지만 얻어 마시지 못한 채 돌아오자, 을이란 자가 이어 찾아가니 부잣집에선 풍악을 울리며 접대를 잘 해서 을은 만취가 되어 깊은 진흙탕에 빠졌다. 갑과 을이 모두 우스꽝스러운 꼴이기에 장난삼아 시를 지어, 후일 볼거리로 삼고자 하기 위한다고 함」이다.
제목에서 시를 지은 동기와 교훈적 의미를 제시하고 있다. 갑과 을이란 자의 행동이 바람직한 것은 아니라고 나무라면서 부자가 갑에게는 박대하고 을에게는 잘 대접을 한 원인이 당사자들의 평소 행동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에 굳이 부자를 탓할 이유가 없다는 말이다. 이에 용만은 평소 각자의 행동을 단아하게 해서 건전한 사회 기풍 조성에 이바지하자고 충고한다.
근년에 소송이 어지럽게 일어나니
피폐된 풍속 상한 인륜을 차마 듣지 못하겠네.
동헌의 원님은 명확한 판결을 하지 못해
법정엔 날조한 문서로 가득하구나.
近年爭訟起紛紛
敗俗傷倫不忍聞
堂上亦無明若火
滿庭都是織羅文
이렇듯 무너지는 사회 기풍은 잦은 쟁송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나기 마련이다. 해마다 잦은 이권 다툼에서 비롯된 소송은 이웃과의 관계를 멀게 할 뿐만 아니라 미풍양속을 해치는 주범으로 작용된다. 이는 향리 주민들의 불화에 근원적 책임이 있는 게 아니라, 행정 담당자들의 부정과 연결되어 있다. 고을의 원님은 명확한 판결을 내리지 않고, 문서를 담당한 아전과 서리들은 문서를 날조하기에 급급하다. 이를 제대로 파악한 용만은 내내 답답하기만 하다. 백성들의 어려움을 해결할 방법을 찾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어지는 시는 용암의 고독한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6. 처사의 고독감
이미 생애 부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용만은 과거 시험에서 연속된 불행을 겪고, 만년 오랜 병으로 인해, 매우 고생스러운 생을 마쳤던 인물이었다. 때문에 그의 시에는 이러한 처사의 고독한 심정이 그려지기 마련이다.
소년 시절엔 과거 시험은
주머니 속 물건인냥 취급했었지
천명인 걸 어쩌랴.
헛되이 늙고 병도 겹쳤네.
我昔少年時
視科如囊物
在天命奈何
虛老又多病
용만의 소년 시절에 느꼈던 자만심과 노년기의 병약한 모습이 동시에 표현되어 있다. 소년기의 용만은 나름대로는 학문과 덕행을 갖추고 입신출세의 의지도 가졌을 것이다. 그러나 그는 연거푸 불운을 겪어 과거와는 인연이 닿지 않았다. 그는 고향에서 벼슬하지 않고 살면서, 이에 대한 갈등을 느꼈을 것이다. 그러므로 그는 지난 세월의 모든 것은 운명으로 돌린 채 부질없이 늙은 몸에 병마저 겹쳤다고 하면서 체념이 담긴 탄식을 토로했던 것이다.
근심스레 잠 못 이루는 밤
오동잎 지는 창가에서 밤을 새웠네.
남들은 나의 괴로움 모른 채
밤 내내 무슨 생각이 그리 많소 하네.
耿耿中宵無夢寐
梧窓獨坐到天明
傍人不識儂沈苦
謂我窮思晝所行
용만은 고독한 마음 때문에 밤에도 잠을 이룰 수 없다. 가을의 쓸쓸한 계절감과 세월의 무상한 정서는 그의 고독한 내면세계를 더욱 외롭게 했다. 곁의 친한 사람도 그의 괴로움을 깨닫지 못한다. 용만 개인의 고독이며 갈등이다. 남들은 그의 괴로움을 알지 못한 채 무슨 생각을 그렇게 많이 하느냐며 나무라기만 한다. 이러한 그의 좌절에 따른 고독감 표현은 다음 시에서도 보여 진다.
가을밤 길고도 느리게 지나는데
찬 창가의 오동잎엔 비가 내리네.
구슬이 배에 가득해도 쓸 데가 없어
답답한 맘 읊조리며 앉아 밤을 새우네.
秋夜漫漫更漏遙
寒窓梧葉雨蕭蕭
琅玕滿腹終無用
鬱鬱沈吟坐待朝
가을의 긴 밤은 그에게 매우 지루하기만하다. 차가운 창과 가을비는 그의 고독하고 고달픈 인생을 더욱 슬프게 한다. 용만 자신에게 많은 재능이 축적되어 있지만 알아주는 이 없고, 그 재능은 결국 쓰이지 못한 채 시들고 말아야 하는 시점에서 암담한 심정을 표현한 것이다. 그 때문에 괴로운 용만은 시를 읊으며 긴 밤을 지새운다. 이어지는 시에서도 이러한 체념이 담겨 있다.
부질없는 인생 칠십을 바라보는데
두 뺨에 백발이 성성하여라.
후세에 이름 한 자 남기지 못한 채
공연히 백 가지 병으로 임천에서 죽어가네.
浮生焂忽近稀年
白髮紛如兩鬢邊
未有一名留後世
空將百疾死林泉
칠십 살 나이를 먹은 용만의 두 뺨엔 백발이 성성하다. 남아로 태어나 입신양명立身揚名하는 것은 지극한 도리임에도 불구하고, 그는 결국 이를 이루지 못한 채 늙고 만 것이다. 이로 인해 용만은 자신의 신세를 깊이 한탄한다. 먼 시골에서 벼슬하지 못한 채 늙어가는 자신의 신세와 여생이 결코 길지 않음을 직감한 슬픔이 집약되어 있다.
7. 마무리
용만집」은 2권 1책으로, 권1에 시 166수가 실려 있다. 용만 권기의 문예적 성취가 드러난 시를 중심으로 거기에 반영된 문예미를 살펴보았다. 그는 처사형 선비로, 안동 지역에 대한 애착이 매우 강했다. 그래서 그는 우리 농토와 농민의 삶에 근거한 전원 취향의 시를 창작하였다. 부지런히 일하는 농부들의 일상과 그들의 건강하고 잔잔한 삶의 미학을 시로 표현해 냈다. 이는 농민들이 각종 자연 재해로 인해 겪는 아픔과 고통을 동일하게 여기는 시로 확대되었다. 우리는 이즈음에서 용만의 우리 농토와 농민에 대한 애정을 읽어 낼 수 있었다.
이처럼 정감이 담긴 서정의 시적 표출은 건전한 향촌 사회 건립 의지를 표명하면서부터 대사회적인 것으로 확대되었다. 그는 미풍양속이 점차 위기 일로로 치닫는 현실을 우려하면서 지방 관아 관리들의 각종 비리와 악행을 고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가 평생을 처사로 자임하면서 향리에서 생을 마쳤지만, 나름대로 입신양명하지 못한 불운과 병약한 심정을 시로 토로하였다. 만년에 그가 심혈을 기울인 역작 안동권씨세보 16권과 영가지 8권의 찬술은 결국 이런 위기의식의 극복 대안이 아니었을까 한다.
출처 : 이원걸, '용만 권기의 한시에 나타난 문예미', [안동문화], 안동문화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