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희년'을 맞이하는 '전대사'의 은총에 대해 ]
대희년은 2000년이었습니다. 성경에 보면 대희년은 50년마다 거행하기로 되어 있습니다. 희년은 레위기 25장 10절에 “너희는 이 오십 년째 해를 ‘거룩한 해’로 선언하고 너희 땅에 사는 주민들에게 해방을 선포하여라“ 하는 하느님의 말씀에 유래되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은 50년마다 희년을 지켰으며 이 시기에는 부채 탕감, 소유지 반환, 노예해방 등을 통해 하느님께서 원하시는 인간의 존엄성 회복, 사회정의를 실현하였습니다. 그러나 가톨릭교회에서는 신자들이 한 번은 받을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25년마다 신자들에게 특별한 은총을 베푸는 희년의 해를 선포합니다. 교회는 이 희년의 시기에 신앙의 쇄신과 회개를 촉구하며 전대사의 은총을 받을 수 있도록 특별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죄를 지으면 영혼에 상처가 생깁니다. 전대사의 은총은 죄 전부의 용서 뿐만 아니라 전부의 상처까지도 치유 받는 은총을 의미합니다. 즉 전대사의 은총은 하늘나라에 들어가는 은총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교황님께서는 하느님께서 베푸는 전대사의 은총을 받을 수 있도록 우리에게 다음과 같은 3가지 사항을 제시했습니다.
1) ⓵고해 성사, ⓶영성체, ⓷교황님의 지향을 따른 기도.
⓵고해성사: 우리는 그동안 전 생애의 죄를 참회하고 고백성사로 죄를 용서받습니다.
⓶영성체: 우리는 미사에 참석하여 영성체를 합니다.
우리에게 일어나는 모든 일이 바로 예수님께서 우리를 위하여 바치는 예수님의 몸이요 피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미사 중 영성체를 하고 우리의 일상에서 주님께서 주시는 은총을 보며 선을 실천하며 즉 예수님의 몸과 피를 먹고 마시며 영생을 길을 가는 것을 결심합니다.
⓷교황의 지향에 따른 기도: 교황님의 지향은 이 땅에 하늘나라를 이루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교황님의 지향에 따라 주님의 기도 성모송을 바칩니다.
2)순례, 경건한 장소의 방문
외국에는 교황님이 지정한 거룩한 성당들이 있습니다.(게시판 참조)
전주교구에는 교구장이 정한 5곳의 희년 순례 지정 성당과 8개의 성지가 있습니다.
가) 순례 지정 성당 5곳
중앙주교좌성당, 전동성당, 윤지충성당, 권상연성당, 윤지현성당입니다.
나) 순례 지정 성지 8곳
김제 순교성지 요촌성당, 개갑장터 순교성지, 나바위성지, 여산순교성지,
전주 숲정이성지, 천호성지, 치명자산성지, 초남이성지
우리는 순례지를 순례하며 전 삶을 참회하고 새롭게 태어나는 은총을 지향하며 미 사, 묵주기도, 십자가의 길을 바칩니다.
거룩한 장소를 방문할 경우 전 삶을 참회하고 새롭게 태어나는 은총을 지향하며 성체조배, 묵상하고 주님의 기도, 사도신경을 바치며 성모님께 도움을 요청하는 기도를 바칩니다.
3)자비와 참회의 활동
일상의 삶에서는 도움이 필요한 이들(병자 수감자, 고독한 노인, 장애인들)을 방문 하거나 지원하는 자비를 실천합니다.
이 3가지 조건을 하루에 수행할 때 우리는 전대사의 은총을 입을 수가 있습니다. 부분을 행하면 부분대사의 은총을 입는 것입니다
교황님께서는 순례나 거룩한 장소 방문이 어렵고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에게도 전대사의 은총을 입을 수 있도록 제시하였습니다. 그들은 자신이 머무는 곳에서 주님의 기도와 사 도신경과 희년기도문을 바치고 자신의 고통이나 고난을 하느님께 봉헌하는 삶을 통하여 전대사의 은총을 입을 수 있습니다.
전대사의 은총은 한 번 하고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계속하여 전대사의 은총을 쌓아가는 것입니다. 우리는 전대사의 은총을 연옥영혼에도 양도할 수가 있습니다. 하루에 두 번 전대사의 은총을 수행할 수도 있습니다. 두 번 전대사의 은총을 수행할 경우 두 번째는 반드시 연옥영혼에게 양도해야 합니다. 그러면 그 전대사의 은총은 연옥영혼에게 전도되어 그분이 은혜를 입게 되는 것입니다. 교황님은 우리에게 하느님 나라를 찾는 희망의 순례자가 되라고 요청합니다.
여러분은 2025년 하느님께서 베푸시는 희년의 전대사 은총에 참여하기 위해 전 삶을 참회하고 구원을 위해 순례지를 향하여 순례하는 희망의 순례자가 되기를 기도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