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래정씨(東萊鄭氏)는 고려 때 보윤호장(甫尹戶長)이었던 정지원(鄭之遠)을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을미보(乙未譜)’에는 안일호장(安逸戶長)이었던 정회문(鄭繪文)을 시조로 하여 기세(起世)하였으나 ‘병신보(丙申譜)’이후부터는 문안공(文安公) 정항(鄭沆)의 묘지(墓誌)가 발견된 이후 묘지문(墓誌文)에 의해 그로부터 3세(世)를 소급하게 되었으므로 정지원(鄭之遠)을 중시도로 하여 기세(起世)하고 있다. 정지원(鄭之遠)과 정회문(鄭繪文) 사이의 세계(世系)는 알 수 없는 실정이다. 동래정씨(東萊鄭氏)는 3세조 정목(鄭穆)이 문과(文科)를 거쳐 상서좌복사(尙書左僕射)에 오르고, 그의 네 아들이 모두 문과에 오름으로써 명족(名族)이 되기 시작했다. 고려조에 이미 대족(大族)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東萊鄭氏)는 조선조 전기간에 걸쳐 17명의 상신(相臣)을 내었다. 이는 전주이씨(全州李氏)의 22명, 안동김씨(安東金氏)의 19명에 이어 세번째로 많은 것이다. 그외에 대제학(大提學) 2, 호당(湖當) 6, 공신 4, 판서 20여 명과 문과급제 1백98명을 배출했다. 왕족 이씨(李氏)와 세도정치의 안동김씨(安東金氏) 다음으로 많은 상신(相臣)을 배출하면서도 외척으로 세력을 얻지 않았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동래정씨(東萊鄭氏)의 분파(分派)는 ‘을미보(乙未譜)’편찬 때는 교서랑공파(校書郞公派), 첨사공파(詹事公派), 대호군공파(大護軍公派)의 3개파로 나누었다. 그런데 ‘병신보(丙申譜)’를 편찬할 때는 6세조 정보(鄭輔)의 후손을 교서랑공파(校書郞公派), 정필(鄭弼)의 후손을 첨사공파(詹事公派)의 2개파로 나누었는데, 204년 이후 편찬된 ‘경신보(庚申譜)’ 편찬 때에도 분파(分派)는 여기에 의거했다. 그런데 이 2개파는 3세조 정목(鄭穆)의 후손에서 정택(鄭澤)의 후손만으로 된 것으로, 정항(鄭沆)의 후손이나, 정문도(鄭文道)의 둘째 아들로 동래(東萊)에 남아 호장직(戶長職)을 계속해간 정선조(鄭先祚)의 후손은 빠져있다. 교서랑공파(校書郞公派)는 다시 전서공파(典書公派), 설학재공파(雪壑齋公派), 문경공파(文景公派), 참의공파(參議公派), 평리공파(評理公派), 참판공파(參判公派)로 나누어지고, 첨사공파(詹事公派)는 다시 윤창파(允昌派), 호군공파(護軍公派), 수찬공파(修撰公派), 직제학공파(直提學公派), 참봉공파(參奉公派), 대호군공파(大護軍公派)로 나누어졌다. 보윤호장(甫尹戶長)을 지낸 정지원(鄭之遠), 안일호장(安逸戶長)을 지낸 정문도(鄭文道)의 후손은 3세조인 정목(鄭穆)이 과거를 통해 고려 중앙정부로 진출하게 된 이후 계속 과거를 통해 중앙정계에 나아갔다. 정지원(鄭之遠) 이전에도 정씨(鄭氏)는 동래(東萊)의 토착세력으로 향직(鄕職)에 종사했었을 것이다. 한편 정선조(鄭先祚)의 후손은 계속 동래(東萊)에 남아 향리직(鄕吏職)에 종사했다. 정제(鄭濟), 정점(鄭漸), 정택(鄭澤), 정항(鄭沆)은 정목(鄭穆)의 아들로 모두 문과에 올라 각각 시랑(侍郞), 형부랑중(刑部郞中), 문하급사중(門下給事中) ㆍ 태자찬선대부(太子贊善大夫), 예부상서한림학사(禮部尙書翰林學士)에 이르렀다. 이중에서 정항(鄭沆)은 청백함으로 이름이 높아 ‘고려사’에 입전(立傳)된 인물이다. 그가 죽은 뒤 그의 집에는 초상을 치를 한섬의 곡식조차 없었는데, 왕이 그의 청빈함에 놀라 “30년동안 근시(近侍)의 직에 있었고, 11년 동안 승지(承旨)로 있었으면서도 가난함이 이 정도이니 가상하다”고 하며 박미(膊米)로 쌀 1백섬과 베 2백필을 하사하고 친필로 문안(文安)의 시호를 내렸다. 그의 아들 정서(鄭叙)는 임금을 그리는 노래 ‘정과정곡(鄭瓜亭曲)’을 남긴 인물로 국문학사에 이름을 남겼다. 그는 고려 인종과 동서간으로 내시중랑(內侍中郞)의 벼슬까지 지냈으나 의종이 즉위한 뒤 모함으로 동래(東萊)로 귀양길에 오른다. 그가 귀양갈 때 왕(王)이 곧 다시 부르겠다고 약속했으나, 오래도록 부름이 없자 그곳에서 임금을 그리는 노래를 지어 불렀는데, 후대 사람들이 이 노래에 그의 호를 붙여서 ‘정과정곡(鄭瓜亭曲)’이라 불렀다. “내 님을 그리사와 우니나니/산졉동새 난 이슷하요이다/아니시며 거츠르신 아으 잔월 효성이 아르시리이다/넋이라도 님을 한데 녀져라/아으/벼기시더니 뉘러시니잇가/과도 허물도 천만 없소이다/무흰 말이신져 슬읍뿐더/아으/님이 나를 마 잊어시니이까/아소 님아 도람도르샤 계오쇼셔” 교서랑공(校書郞公)의 5세손인 정량생(鄭良生)은 단성보리찬화공신(端誠輔理贊化功臣)에 책록되고 봉원부원군(蓬原府院君)에 봉해졌다. 그의 아들 정구(鄭矩)는 우왕3년 문과에 급제하고 조선개국 후 고관에 올랐다. 조선 개국 후 한성부우윤(漢城府右尹)이 되었다. 1394년 왕명(王命)으로 한리(韓理), 조서(曺庶) 등과 함께 ‘법화경(法華經)’ 4부(部)를 금니(金泥)로 썼다. 정종 때 도승지(都承旨) ㆍ 대사헌(大司憲), 태종 때 예문관학사(藝文館學士)를 거쳐 참지의정부사(參知議政府事), 공조판서(工曹判書), 호조판서(戶曹判書),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 개성류후(開城留後) 등을 역임하고 의정부참찬(議政府參贊)으로 성절사(聖節使)가 되어 명(明)나라 태조(太祖) 때 만든 각궁(角弓)을 수입해 왔다. 후에 의정부찬성(議政府贊成)이 되었으나 병(病)으로 사퇴했다. 글씨를 잘 썼는데 ‘건원릉신도비(健元陵神道碑)’의 제액(題額)을 쓴 것이 남아있다. 정량생(鄭良生)의 세째 아들인 정부(鄭符)의 집안은 그의 아들 정흠지(鄭欽之)와 손자 정갑손(鄭甲孫), 정창손(鄭昌孫)의 의해 크게 이름을 날렸다. 정흠지(鄭欽之)는 음보로 지평(持平)이 된 후 태종 11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급제했다. 이조(吏曹), 병조정랑(兵曹正郞), 좌헌납(左獻納)을 거쳐 집의(執義), 지신사(知申事), 이조참판(吏曹參判) 등을 역임하고 1430년 대사헌(大司憲)에 승진, 이듬해 형조판서(刑曹判書)가 되었다. 1433년 황보인(皇甫仁) 등과 ‘계축진설(癸丑陣說)’을 찬진(撰進)하고, 이어 충청(忠淸) ㆍ 전라(全羅) ㆍ 경상삼도도순무사(慶尙三道都巡撫使)가 되어 주군(州郡)의 성(城)터를 심정(審定)했다. 경사(經史)와 천문(天文)에 밝았다. 세종 때 벼슬길에 오른 정갑손(鄭甲孫)은 청렴결백과 대쪽같은 성품, 서슴지 않은 직언으로 이름이 있었다. 함경도(咸鏡道)관찰사 시절 아들 정오(鄭烏)가 향시에 합격한 것을 보고 시험관을 불러 “내 아들이 학문에 등한한 것을 아는데 아첨을 하려고 임금을 속이느냐”고 대노하며 시험관을 퇴직시켰다는 일화가 전하고 있다. 우찬성(右贊成)에 이르렀다. 그의 동생 정창손(鄭昌孫)은 세조의 집권에 참여한 공으로 세조~성종대에 벼슬이 크게 올라 집현전저작랑(集賢殿著作郞), 교리(校理) 등을 역임했다. 1444년 집현전응교(集賢殿應敎)로 최만리(崔萬理) 등과 함께 한글제저에 반대했다가 투옥되고, 1446년 집의(執義)로 있으면서 불교숭상(佛敎崇尙)을 반대하다가 다시 파직되었다. 1449년 집현전부제학(集賢殿副提學)으로 춘추관편수관(春秋館編修官) ㆍ 수사관(修史官)을 겸직, ‘고려사(高麗史)’, ‘세종실록(世宗實錄)’, ‘치평요람(治平要覽)’ 편찬에 참여했다. 대사헌(大司憲), 대제학(大提學), 병조판서(兵曹判書)를 역임하고, 단종 원년(元年) 이조판서(吏曹判書)를 거쳐 세조가 즉위하자 우찬성(右贊成)으로 좌익공신2등(佐翼功臣2等)이 되어 봉원군(蓬原君)에 봉해졌다. 이듬해 단종(端宗) 복위(復位) 음모를 선변(先變)한 공(功)으로 부원군(府院君)에 진봉(進封)되었다. 대사성(大司成) ㆍ 대제학(大提學) 등을 겸직, 우의정(右議政)을 거쳐 1457년 좌의정(左議政), 이듬해 영의정(領議政)에 올랐다. 그후 익대공신3등(翊戴功臣3等)에 오르고, 1469년 성종이 즉위하자 원상(院相)이 되고, 1471년 좌이공신2등(佐理功臣2等)이 되었으며 70세에 궤장(几杖)을 하사(下賜)받았다.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되고 성종 묘정에 배향되었다. 정창손(鄭昌孫)의 아들 정괄(鄭佸)은 좌의정에까지 올랐는데, 강직하기로 이름이 있었다. 사은사(謝恩使)로 명(明)에 다녀오다가 죽었다. 조선전기에 동래정씨(東萊鄭氏)의 가세는 정란종(鄭蘭宗)과 그의 아들 정광필(鄭光弼)에 의해 더욱 굳게 되었다. 정란종(鄭蘭宗)은 세조 2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급제, 여러 관직을 거쳐 1469년 동지춘추관사(同知春秋館事)로서 ‘세조실록’편찬에 참여하였다. 성종 2년 좌리공신4등(佐理功臣4등)으로 동래군(東萊君)에 봉해졌다. 호조판서(戶曹判書), 우참찬(右參贊)을 역임했다. 성리학에 밝았고 서예에도 능했는데, 글씨로는 ‘원각사비(圓覺寺碑)’, ‘낙산사종명(洛山寺鐘銘)’ 드이 남아 전한다. 정광필(鄭光弼)은 성종 23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급제, 홍문관(弘文館)에 등용되고, 부제학(副提學), 이조참의(吏曹參議)를 역임했다. 1504년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왕(王)에게 극간(極諫)하다가 아산(牙山)으로 귀양갔다. 1506년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부제학(副提學)에 복직되고, 그후 우의정(右議政), 좌의정(左議政)을 거쳐 영의정(領議政)에 올랐다. 기묘(己卯)사화가 일어나 유가(儒家)의 왕도(王道)정치 이상을 실현하려던 조광조(趙光祖) 중심의 사림세력이 모두 화를 입을 때 그는 임금의 노염을 사면서도 이들 이상파 소장학자들을 두둔, 희생을 막았다. 그러나 그는 파면당했다. 그후 김안로(金安老)의 무고(誣告)로 김해(金海)에 귀양갔다가 김안로(金安老)가 사사(賜死)되자 풀려나와 영의정(領議政) 윤은보(尹殷輔) 등에 의해 영의정(領議政)에 추천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죽은 뒤 중종(中宗)묘정에 배향되고 문익공(文翼公)의 시호가 내려졌다. 그의 집은 당시 서울 남산 아래 회동(會洞) (지금의 회현동(會賢洞))에 있었는데 이곳을 근거지로 정(鄭)씨 일문(一門)이 모여 살기 시작, 그후 이들을 회동정씨(會洞鄭氏)라 부르기도 했다. 정광필(鄭光弼) 이후 그의 후손들은 계속 고관에 나아갔다. 특히 정광필(鄭光弼)의 손자 임당(林塘) 정유길(鄭惟吉) (대제학(大提學) ㆍ 좌의정)의 자손에서 벼슬이 많이 배출됐다. 우선 외아들 정창연(鄭昌衍)이 좌의정, 큰손자 정광성(鄭廣成)이 형조판서, 작은손자 정광경(鄭廣敬)이 이조판서를 지냈다. 증손대에서는 정광성(鄭廣成)의 아들 정치화(鄭致和) (좌의정), 정광경(鄭廣敬)의 아들 정지화(鄭知和) (좌의정)가 각기 정승을 지내 동래정씨(東萊鄭氏) 집안에 삼정승(三政丞)이 났다고 일컫는다. 그 다음 대에서는 정태화(鄭太和)의 아들 정재숭(鄭載嵩)이 우의정, 정지화(鄭知和)의 아들 정재희(鄭載禧)가 예조판서로서 벼슬의 맥을 이어갔다. 6대손에서 정석오(鄭錫五) (좌의정), 정형익(鄭亨益) (예판(禮判)), 7대손에서 정홍순(鄭弘淳) (우의정), 정상순(鄭尙淳) (이판(吏判)), 정경순(鄭景淳) (형판(刑判)), 정일상(鄭一祥) (호판(戶判)), 8대손에서 정존겸(鄭存謙) (영의정), 정존중(鄭存中) (공판(工判)), 9대손에서 정원용(鄭元容) (영의정), 정시용(鄭始容) (형판(刑判)), 정헌용(鄭憲容) (공판(工判)), 정대용(鄭大容) (이판(吏判)), 10손에서 정기회(鄭基會) (이판(吏判)), 정기세(鄭基世) (이판(吏判)), 정기선(鄭基善) (예판(禮判)), 11대손에서 정범조(鄭範朝) (좌의정), 정건조(鄭健朝) (이판(吏判)) 등 선조에서 고종대에 이르는 동안 정유길(鄭惟吉)의 집안은 12대에 걸쳐 정승(政丞) ㆍ 판서(判書)의 성좌를 고루 오르내렸다. 정유길(鄭惟吉)은 안동김씨(安東金氏)에게 잊을 수 없는 인물이다. 길을 가다 우연히 만난 안동김씨(安東金氏)인 김극효(金克孝)의 관형을 보니 그의 몸에서 정승 ㆍ 판서가 나올 상이어서 사위로 맞았다. 김극효(金克孝) 자신은 큰 벼슬자리에 오르지 못했지만 역시 그의 아들 형제 중 두 아들이 정승을 지내 안동김씨(安東金氏) 세도정치의 뿌리가 여기서부터 시작하게 되었다. 정광필(鄭光弼)의 아들 정창연(鄭昌衍)은 광해군 때 좌의정에 있으면서 생질녀(임당(林塘)의 외손녀)인 광해군비(光海君妃) 류(柳)씨를 억울하게 옥사(獄事)의 고초를 당훈 숱한 사람들을 은밀히 구해주어 칭송을 들었다. 그의 장손 정태화(鄭太和)는 인도~효종대에 걸쳐 6차례나 여의정을 지낸 명상으로 37번이나 사직하기를 청원한 끝에 간신히 왕의 허락을 받을 정도로 신망이 두터웠다. 중은 후 현종묘정에 배향되었다. 그의 아우 정치화(鄭致和)는 병자호란 후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 보덕(輔德)으로 봉림대군을 심양에 호종했다. 그는 서인(西人)이면서도 성품이 원만해 숙종 1년 자의대비(慈懿大妃)의 복상문제로 서인(西人)몰락 때 화를 면했는데, 그 역시 11번이나 사직을 간청한 끝에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영조 대에 우의정으로 일등 재정관이던 정홍순(鄭弘淳)은 분수를 알고 절약하는 것을 신조로 삼아 나라 살림을 자기 살림 아끼듯 했으며 그의 딸을 시집보내면서 입은 옷에 먹던 밥으로 혼례를 치룰 정도였다. 영조 21년 정시문과(庭試文科)에 급제하였다. 호조판서(戶曹判書)로 10년간 재직하면서 재정에 재능을 발휘했다. 그는 파전(破錢) 한 푼을 땜질하는 데 두 푼을 들였다. 이를 본 이가 “두 푼을 들여 한 푼을 얻으면 손해가 아니냐”고 묻자 “나 개인은 한 푼을 잃어도 나라에는 한 푼이 이익이 되니 공익(公益)이 아니냐”고 했다는 일화가 전하고 있다. 정문일가(鄭門一家)는 선조 때 정여립(鄭汝立)의 음모사건으로 된서리를 맞고 한때 몰락의 길을 걷기도 했으나, 조선조를 통해 대표적인 가문으로 계속 그 세력을 유지, 발전해 왔다. 구한말, 한일합병 이후의 인물로는 정숙조(鄭肅朝)와 정인보(鄭寅普)를 들 수 있다. 정숙조(鄭肅朝)는 집이 가난했으나 독서를 즐겼고 집안에 예절이 있었다. 김명진(金明鎭)의 추천으로 고종이 태자(太子)를 받들게 하려고 세마(洗馬)를 제수하여 오래도록 동궁시종관(東宮侍從官)에 종사토록 하였다. 만년에 국사가 날로 그릇되어감을 보고 관직을 버리고 은거하다가, 한일합병 후에는 아예 두문불출, 세상를 떠났다. 위당(爲堂) 정인보(鄭寅普)는 나라가 망한 난세에서 5천년간 이어온 조선의 얼을 통해 민족혼을 일깨우고자 한 지사였다. 1910년 중국에 유학하여 동양학을 전공하면서, 동지들과 함께 동제사(同濟社)를 조직하여 광복운동에 종사하였다. 1919년 귀국하여 주로 연희전문학교를 비록하여 이화여자전문학교,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중앙불교전문학교에서 국학, 동양학을 강의하는 한편, ‘시대일보’, ‘동아일보’의 논설위원으로 민중들에게 국혼(國魂)을 환기시켰다. 광복 후 1948년 국학대학장에 취임, 1951년에는 초대 감찰위원장에 취임하였으나 6 ㆍ 25때 납북되었다. 그는 “그러므로 학문이 얼이 아니면 헛것이 되고, 문학이 얼이 아니면 달(達)할 것이 없고, 역사도 얼이 아니면 말할 데가 없다”며 조선의 얼을 강조했다. 국문학사, 한문학, 국사학에 연구가 깊었으며 시조 ㆍ 한시에도 능했다. 저서로 ‘조선사연구(朝鮮史硏究)’, ‘담원문존(薝園文存)’, ‘월남이상재선생전(月南李商在先生傳)’, ‘조선문학원류고(朝鮮文學源流考)’, ‘담원시조집’, ‘담원국학산고(薝園國學散藁)’ 등이 전한다.
|
|
|
|
역대 주요 인물 |
|
▲고려조 정목(鄭穆) (좌복사(左僕射)) 정택(鄭澤) (문하급사중(門下給事中)) 정균(鄭筠) (소경(少卿)) 정길흥(鄭吉興) (정랑(正郞)) 정항(鄭沆) (자(字): 자림(子臨) · 시호(諡號): 문안(文安) ·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 정서(鄭敍) (호(號): 과정(瓜亭) · 문인(文人)) ▲조선조 정인후(鄭仁厚) (돈녕부정(敦寧副正)) 정갑손(鄭甲孫) (좌찬성(左贊成)) 정숙 (목사(牧使)) 정개(鄭价) (좌승지(左承旨)) 정창손(鄭昌孫) (호(號): 동산(東山) · 시호(諡號): 충정(忠貞) · 봉원부원군(蓬原府院君) · 영의정(領議政)) 정절(鄭節) (예조참의(禮曹參議)) 정결(鄭潔) (목사(牧使)) 정구(鄭球) (호(號): 괴은(乖隱) · 대사간(大司諫)) 정개보(鄭介保) (호(號): 봉곡(蓬谷) · 참판(參判)) 정사(鄭賜) (직제학(直提學))정란손(鄭蘭孫) (집의(執義)) 정광세(鄭光世) (시호(諡號): 소평(昭平) · 이판(吏判)) 정충량(鄭忠樑) (호(號): 마재(磨齋) · 도승지(都承旨)) 정광국(鄭光國) (참의(參議)) 정충준(鄭忠俊) (부사(府使)) 정관정(鄭光廷) (돈녕부정(敦寧副正)) 정란종(鄭蘭宗) (호(號): 허백당(虛白堂) · 동래군(東萊君) · 이판(吏判)) 정광보(鄭光輔) (부사(府使)) 정광필(鄭光弼) (호(號): 수부(守夫) · 시호(諡號): 문익(文翼) · 영상(領相)) 정복겸(鄭福謙) (부사(府使)) 정세겸(鄭世謙) (목사(牧使)) 정란무(鄭蘭茂) (부사(府使)) 정수홍(鄭守弘) (판서(判書)) 정계소(鄭繼韶) (부사(府使)) 정숙하(鄭淑夏) (호(號): 월호(月湖) · 감사(監司)) 정택승(鄭宅升) (부사(府使)) 정지(鄭智) (부사(府使)) 정선(鄭選) (부사(府使)) 정사(鄭思) (좌통례(左通禮)) 정서(鄭恕) (첨사(僉使)) 정만압 (좌윤(左尹)) 정희남(鄭喜男) (대호군(大護軍)) 정하남(鄭賀男) (대호군(大護軍)) 정길남(鄭吉男) (대호군(大護軍)) 정종무(鄭宗懋) (예빈사부정(禮賓寺副正)) 정덕일(鄭德逸) (참판(參判)) 정하생(鄭下生) (참의(參議)) 정언충 (부사(府使)) 정대년(鄭大年) (호(號): 사암(思庵) · 시호(諡號): 충정(忠貞) · 좌찬성(左贊成)) 정량필(鄭良弼) (호(號): 추천(秋川) · 참판(參判)) 정화제(鄭華齊) (호(號): 취전(醉全) · 부사(府使)) 정익선(鄭翊善) (돈녕부정(敦寧副正)) 정동후(鄭東後) (호(號): 송애(松崖) · 승지(承旨)) 정복경(鄭復慶) (대호군(大護軍)) 정필동(鄭必東) (호(號): 수와(睡窩) · 승지(承旨)) 정언섭(호(號): 정지재(定止齋) · 참판(參判)) 정정동(鄭貞東) (부사(府使)) 정희홍(鄭希弘) (목사(牧使)) 정지경(鄭之經) (호(號): 기은(機隱) · 목사(牧使) 정지함(鄭之咸) (부정(副正)) 정홍재(鄭弘在) (호(號): 청림(靑林) · 목사(牧使)) 정홍익(鄭弘翼) (호(號): 휴옹(休翁) · 부제학(副提學)) 정언충(호(號): 귀옹(龜翁) · 참판(參判)) 정복시(鄭復始) (호(號): 계담(桂潭) · 참의(參議)) 정순우(鄭純祐) (목사(牧使)) 정지우(鄭之羽) (호(號): 창해(滄海) · 참판(參判)) 정래주(鄭來周) (호(號): 동계(東溪) · 병참(兵參)) 정행백(鄭行百) (부사(府使)) 정경욱(鄭景旭) (부사(府使)) 정지연(鄭芝衍) (호(號): 남봉(南峯) · 우의정(右議政)) 정유신(鄭惟愼) (호(號): 매계(梅溪) · 판윤(判尹)) 정응화(鄭應和) (부사(府使)) 정욱선 (도정(都正)) 정각선(鄭覺先) (호(號): 두릉(杜陵) · 도정(都正)) 정혁선(鄭赫先) (목사(牧使)) 정석삼(鄭錫三) (참판(參判)) 정홍순(鄭弘淳) (호(號): 표천(瓢泉) · 시호(諡號): 충헌(忠憲) · 우상(右相)) 정만순(鄭晩淳) (참판(參判)) 정달선(鄭達先) (부사(府使)) 정재항(鄭載恒) (목사(牧使)) 정시선(鄭是先) (감사(監司)) 정석규(鄭錫圭) (부사(府使)) 정석주(鄭錫疇) (목사(牧使)) 정익검(鄭益儉) (부정(副正)) 정재희(鄭載禧) (호(號): 양촌(陽村) · 예참(禮參)) 정언지(호(號): 동곡(東谷) · 이참(吏參)) 정언신(호(號): 라암(懶庵) · 우의정(右議政)) 정유(鄭攸) (호(號): 수은(睡隱) · 승지(承旨)) 정래상(鄭來祥) (승지(承旨)) 정세구(鄭世矩) (호(號): 지가(之家) · 관찰사(觀察使)) 정규응(鄭圭應) (호(號): 라대(羅帶) · 통제사(統制使)) 정두해(鄭斗海) (오위장(五衛將)) 정필석(鄭必錫) (첨중추(僉中樞)) 정효식(鄭孝植) (동중추(同中樞)) 정기폭(鄭紀輻) (동중추(同中樞)) 정치현(鄭致鉉) (오위장(五衛將)) 정수영(鄭壽永) (대호군(大護軍)) 정수경(鄭秀敬) (도정(都正)) 정세환(鄭世煥) (동중추(同中樞)) 정국환(鄭國煥) (도정(都正)) 정호석(鄭昊錫) (첨중추(僉中樞)) 정해조(鄭海朝) (동중추(同中樞)) 정린조(鄭麟朝) (동중추(同中樞)) 정두용(鄭斗容) (오위장(五衛將)) 정래대(鄭萊大) (동중추(同中樞)) 정인갑(鄭仁甲) (동중추(同中樞)) 정기혜(鄭基惠) (도정(都正)) 정상조(鄭相朝) (동중추(同中樞)) 정인조(鄭仁朝) (동중추(同中樞)) 정학묵(호(號): 금초(錦樵) · 승지(承旨)) 정택동(鄭宅東) (부사(府使)) 정청 (부사(府使)) 정위 (부사(府使)) 정철동(鄭喆東) (부사(府使)) 정완묵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 정운달(鄭雲達) (오위장(五衛將)) 정준묵 (도정(都正)) 정한동(鄭漢東) (좌윤(左尹)) 정봉조(鄭鳳朝) (도정(都正)) 정재조(鄭在朝) (동중추(同中樞)) 정인양(鄭寅洋) (오위장(五衛將)) 정인문(鄭寅文) (동중추(同中樞)) 정의조(鄭義朝) (도정(都正)) 정기일(鄭基一) (호(號): 죽하(竹下) · 이참(吏參)) 정구용(鄭久容) (부사(府使)) 정인성(鄭寅性) (승지(承旨)) 정우용(鄭友容) (목사(牧使)) 정동관(鄭東觀) (이참(吏參)) 정동준(鄭東浚) (호(號): 동재(同齋) · 참판(參判)) 정기만(鄭基晩) (도정(都正)) 정동교(鄭東敎) (목사(牧使)) 정기락(鄭基洛) (참의(參議)) 정동간(鄭東幹) (참판(參判)) 정동만(鄭東萬) (부사(府使)) 정선용(鄭善容) (부사(府使)) 정주용(鄭周容) (호(號): 우석(友石) · 동돈녕(同敦寧)) 정기회(鄭基會) (이판(吏判)) 정동원(鄭東元) (부사(府使)) 정인표(鄭寅杓) (승지(承旨)) 정우용(鄭遇容) (부사(府使)) 정원용(鄭元容) (호(號): 경산(經山) · 시호(諡號): 문충(文忠) · 영상(領相)) 정기세(鄭基世) (호(號): 주계(周溪) · 찬성(贊成)) 정범조(鄭範朝) (호(號): 채당(蔡堂) · 시호(諡號): 문헌(文獻) · 우상(右相)) 정기명(鄭基命) (부사(府使)) 정시용(鄭始容) (목사(牧使)) 정동귀(鄭東龜) (부사(府使)) 정기대(鄭基大) (참판(參判)) 정기익(鄭基翊) (승지(承旨)) 정윤용(鄭允容) (호(號): 수암(睡庵) · 참의(參議)) 정노용(鄭老容) (부사(府使)) 정기직(鄭基稷) (승지(承旨)) 정동협(鄭東協) (목사(牧使)) 정인학(鄭寅學) (대사헌(大司憲)) 정대용(鄭大容) (호(號): 기호(耆湖) · 이판(吏判)) 정최조 (판서(判書)) 정경조(鄭慶朝) (부사(府使)) 정기식(鄭基植) (도정(都正)) 정서조(鄭舒朝) (도정(都正)) 정동각(鄭東閣) (목사(牧使)) 정영조(鄭永朝) (부사(府使)) 정기중(鄭基重) (부사(府使)) 정용조(鄭龍朝) (도정(都正)) 정면조(鄭冕朝) (호(號): 석천(石川) · 승지(承旨)) 정예용(鄭禮容) (참판(參判)) 정지용(鄭持容) (목사(牧使)) 정기선(鄭基善) (호(號): 수석(脩石) · 예판(禮判)) 정익조(鄭翌朝) (이참(吏參)) 정헌조(鄭憲朝) (승지(承旨)) 정재용(鄭在容) (목사(牧使)) 정기태(鄭基泰) (도정(都正)) 정기묵 (도정(都正)) 정기찬(鄭基贊) (부사(府使)) 정준용(鄭駿容) (대사헌(大司憲)) 정기용 (승지(承旨)) 정기면(鄭基勉) (이의(吏議)) 정존중(鄭存中) (판서(判書)) 정숙조 (공참(工參)) 정인성(鄭寅星) (승지(承旨)) 정인석(鄭寅奭) (승지(承旨)) 정석조(鄭錫朝) (승지(承旨)) 정인섭(鄭寅燮) (승지(承旨)) 정세창(鄭世昌) (부사(府使)) 정관수(鄭觀綏) (이의(吏議)) 정존겸(鄭存謙) (호(號): 양재(陽齋) · 시호(諡號): 문안(文安) · 영상(領相)) 정직조(鄭稷朝) (이참(吏參)) 정동신(鄭東愼) (좌윤(左尹)) 정기천(鄭基天) (오위장(五衛將)) 정운조(鄭雲朝) (도정(都正)) 정원조(鄭願朝) (도정(都正)) 정세수(鄭世綏) (동중추(同中樞)) 정태수(鄭泰綏) (도정(都正)) 정원조(鄭元朝) (도정(都正)) 정응복(鄭應福) (호(號): 죽오(竹塢) · 절제사(節制使)) 정량권(鄭良權) (첨중추(僉中樞)) 정신택(鄭新宅) (도정(都正)) 정태진(鄭泰鎭) (좌승지(左承旨)) 정순배(鄭順培) (첨중추(僉中樞)) 정의복(鄭義復) (우승지(右承旨)) 정익동(鄭翊東) (참판(參判)) 정환진(鄭煥軫) (동중추(同中樞)) 정상고(鄭尙古) (부사(府使)) 정예검(鄭禮儉) (첨중추(僉中樞)) 정희용(鄭希容) (부승지(副承旨)) 정창래(鄭昌萊) (동중추(同中樞)) 정탁용(鄭鐸容) (첨중추(僉中樞)) 정정조(鄭貞朝) (동중추(同中樞))
[등과(登科) · 음사인명(蔭仕人名)]
▲고려조 문과(文科) 정항(鄭沆) (숙종조) 정가종(鄭可宗) (공민왕조) 정목(鄭穆) (공민왕조) 정구(鄭矩) (우왕조) 정곤(鄭坤) (우왕조) 정정(鄭井) (창왕조) 정수(鄭需) (창왕조) 정수홍(鄭守弘) (공양왕조)
▲조선조 문과(文科) 정수홍(鄭守弘) (대헌(大憲)) 정윤로(鄭允老) (박사(博士)) 정주(헌납(獻納)) 정개보(鄭介保) (좌랑(佐郞)) 정흠지(鄭欽之) (이판(吏判) · 내산군(萊山君) · 시(諡): 문경(文景)) 정갑손(鄭甲孫) (좌참찬(左參贊) · 시(諡): 정절(靖節)) 정옹(鄭雍) (수찬(修撰)) 정사(鄭賜) (직제학(直提學)) 정창손(鄭昌孫) (영상(領相) · 시(諡): 충정(忠貞)) 정이한(鄭而漢) (병판(兵判)) 정종주(鄭宗周) (참의(參議)) 정란종(鄭蘭宗) (이판(吏判) · 호(號) · 시(諡): 익혜(翼惠)) 정이우(鄭而虞) (집의(執義)) 정기(鄭期) (경차관(敬差官)) 정휘(鄭徽) (교리(校理)) 정괄 (좌상(左相) · 시(諡): 공숙(恭肅)) 정지(鄭摯) (장령(掌令)) 정량(鄭亮) 정륜(鄭綸) (장령(掌令)) 정광세(鄭光世) (형판(刑判) · 시(諡): 소평(昭平)) 정자당(鄭子堂) (교리(校理)) 정광국(鄭光國) (이참(吏參)) 정환(鄭渙) (응교(應敎)) 정광필(鄭光弼) (영상(領相) · 시(諡): 문익(文翼)) 정사걸(鄭士傑) (헌납(獻納)) 정인겸(鄭仁謙) (전적(典籍)) 정충량(鄭忠樑) (지중(知中)) 정전 (한림(翰林)) 정사룡(鄭士龍) (보국(輔國) · 형(衡) · 호(湖)) 정구(鄭球) (사간(司諫)) 정응 (전한(典翰) · 호(湖)) 정원(鄭源) (승지(承旨)) 정희렴(鄭希濂) (지평(持平)) 정희홍(鄭希弘) (목사(牧使)) 정진(鄭振) (예좌(禮佐)) 정대년(鄭大年) (찬성(贊成) · 시(諡): 충정(忠貞)) 정희등(鄭希登) (교리(校理)) 정유길(鄭惟吉) (좌상(左相) · 형(衡)) 정유인(鄭惟仁) (봉상정(奉常正)) 정순우(鄭純祐) (목사(牧使)) 정희증(鄭希曾) (첨지(僉知)) 정개(鄭价) (승지(承旨)) 정항(鄭恒) (참판(參判)) 정복시(鄭復始) (호의(戶議)) 정언지 (이참(吏參)) 정유일(鄭惟一) (대간(大諫)) 정언신 (좌상(左相)) 정지연(鄭芝衍) (우상(右相)) 정여립(鄭汝立) (수찬(修撰)) 정유청(鄭惟淸) (보덕(輔德)) 정숙하(鄭淑夏) (강백(江伯)) 정표(鄭彪) (현감(縣監)) 정창연(鄭昌衍) (우상(右相)) 정엽(鄭燁) (승지(承旨)) 정호(鄭灝) 정사신(鄭思愼) (사정(寺正)) 정기원(鄭期遠) (예참(禮參) · 시(諡): 충경(忠敬)) 정협(鄭協) (이참(吏參)) 정유 (승권(承權)) 정홍좌(鄭弘佐) (목사(牧使)) 정홍익(鄭弘翼) (부제학(副提學)) 정광성(鄭廣成) (형판(刑判) · 호(湖)) 정언굉 (부사(府使)) 정세미(鄭世美) (부사(府使) · 시(諡): 남상(南床)) 정광경(鄭廣敬) (이참(吏參)) 정세구(鄭世矩) (감사(監司)) 정홍원(鄭弘遠) (필선(弼善)) 정량윤(鄭良胤) (수찬(修撰)) 정량필(鄭良弼) (감사(監司)) 정지경(鄭之經) (목사(牧使)) 정홍임(鄭弘任) (부사(府使)) 정지우(鄭之羽) (승지(承旨)) 정치화(鄭致和) (좌상(左相)) 정태화(鄭太和) (영상(領相) · 시(諡): 충익(忠翼)) 정태재(鄭泰齋) (이의(吏議)) 정지화(鄭知和) (우상(右相)) 정지호(鄭之虎) (참판(參判)) 정유(鄭攸) (승지(承旨)) 정유지(鄭維地) (현감(縣監)) 정승명(鄭承明) (지평(持平)) 정수(鄭脩) (한림(翰林)) 정만화(鄭萬和) (이참(吏參)) 정익(鄭翼) 정재해(鄭載海) (병정(兵正)) 정재숭(鄭載嵩) (우상(右相)) 정재희(鄭載禧) (판돈녕(判敦寧)) 정화재(鄭華齋) (부사(府使)) 정욱(鄭煜) (정언(正言)) 정인수(鄭仁壽) (예좌(禮佐)) 정래상(鄭來祥) (승지(承旨)) 정제선(鄭濟先) (지평(持平)) 정희량(鄭希良) 정필동(鄭必東) (부윤(府尹)) 정두평(鄭斗平) (현감(縣監)) 정요천(鄭堯天) (전적(典籍)) 정행오(鄭行五) (군자정(軍資正)) 정찬선(鄭纘先) (응교(應敎)) 정동준(鄭東俊) (승지(承旨)) 정래주(鄭來周) (병참(兵參)) 정창원(鄭敞遠) (찰방(察訪)) 정석삼(鄭錫三) (호참(戶參)) 정석오(鄭錫五) (좌상(左相) · 시(諡): 정간(貞簡)) 정중대(鄭重岱) (현감(縣監)) 정창선(鄭敞選) (현감(縣監)) 정형익(鄭亨益) (예판(禮判)) 정유일(鄭惟一) (병좌(兵佐)) 정언유 (참판(參判)) 정언섭 (참판(參判)) 정형복(鄭亨復) (판서(判書)) 정홍상(鄭弘祥) (수찬(修撰)) 정리검(鄭履儉) (대간(大諫)) 정순검(鄭純儉) (대간(大諫)) 정석유(鄭錫儒) (봉주(奉主)) 정원순(鄭元淳) (정언(正言)) 정언상 (지평(持平)) 정언충 (참판(參判)) 정언욱 (승지(承旨)) 정석화(鄭錫華) (주서(注書)) 정교(鄭僑) (필선(弼善)) 정원기(鄭元紀) (정언(正言)) 정경서(鄭景瑞) (동돈녕(同敦寧)) 정홍순(鄭弘淳) (우상(右相) · 시(諡): 정민(靖敏)) 정언섬 (승지(承旨)) 정존겸(鄭存謙) (영상(領相)) 정상순(鄭尙淳) (이판(吏判)) 정석합(鄭錫合) (병좌(兵佐)) 정만순(鄭晩淳) (대헌(大憲)) 정필충(鄭必忠) (좌랑(佐郞)) 정계순(鄭啓淳) (대간(大諫)) 정석상(鄭錫祥) 정택동(鄭宅東) (병좌(兵佐)) 정지검(鄭志儉) (이참(吏參)) 정연순(鄭淵淳) (응교(應敎)) 정우순(鄭宇淳) (대헌(大憲)) 정동신(鄭東愼) (좌윤(左尹)) 정일상(鄭一祥) (판서(判書)) 정동준(鄭東浚) (참판(參判)) 정언승(찰방(察訪)) 정존중(鄭存中) (판서(判書)) 정동관(鄭東觀) (부제학(副提學)) 정대용(鄭大容) (이판(吏判)) 정언인 (정언(正言)) 정한(鄭瀚) (헌납(獻納)) 정리수(鄭履綏) (수찬(修撰)) 정동간(鄭東幹) (참판(參判)) 정발(鄭渤) 정원수(鄭元綏) 정문수(鄭文綏) 정예용(鄭禮容) (참판(參判)) 정원용(鄭元容) (영상(領相)) 정관수(鄭觀綏) (이의(吏議)) 정광묵 (필선(弼善)) 정동일(鄭東逸) (응교(應敎)) 정기선(鄭基善) (예판(禮判)) 정욱동(鄭郁東) (정언(正言)) 정지용(鄭知容) (이의(吏議)) 정동환(鄭東煥) (대간(大諫)) 정기일(鄭基一) (이참(吏參)) 정최조(鄭最朝) (판서(判書)) 정기세(鄭基世) (찬성(贊成)) 정준용(鄭駿容) (승지(承旨)) 정기직(鄭基稷) (승지(承旨)) 정익조(鄭翊朝) (참판(參判)) 정석조(鄭錫朝) (승지(承旨)) 정직동(鄭直東) (정언(正言)) 정건조(鄭健朝) (판서(判書)) 정기용 (승지(承旨)) 정시용(鄭始容) (판서(判書)) 정수용(鄭壽容) (지평(持平)) 정면조(鄭冕朝) (대간(大諫)) 정기회(鄭基會) (병판(兵判)) 정범조(鄭範朝) (좌상(左相)) 정학묵 (참판(參判)) 정직조(鄭稷朝) (참판(參判)) 정한조(鄭漢朝) (판서(判書)) 정순조(鄭順朝) (판서(判書)) 정기면(鄭期勉) (이의(吏議)) 정기면(鄭基冕) (교리(校理)) 정인성(鄭寅性) (참판(參判)) 정인협(鄭寅協) (참판(參判)) 정은조(鄭誾朝) (참판(參判)) 정승모(鄭承謨) (승지(承旨)) 정헌조(鄭憲朝) (승지(承旨)) 정인흥(鄭寅興) (참판(參判)) 정현모(鄭玄謨) (승지(承旨)) 정익조(鄭益朝) (교리(校理)) 정인석(鄭寅奭) (부윤(府尹)) 정인학(鄭寅學) (판서(判書)) 정인승(鄭寅昇) (참판(參判)) 정만조(鄭萬朝) (승지(承旨)) 정인성(鄭寅星) (참판(參判)) 정인섭(鄭寅燮) (승지(承旨)) 정인욱(鄭寅旭) (직각(直閣)) 정인표(鄭寅杓) (승지(承旨)) 정한모(鄭翰謨) (승지(承旨)) 정승조(鄭升朝) (옥당(玉堂)) 정인형(鄭寅衡) (주서(注書)) 정항조(鄭恒朝) (승지(承旨)) 정인오(鄭寅五) (교리(校理)) 정인한(鄭寅漢) (승지(承旨)) 정한진(鄭漢鎭)
무과(武科) 정언형 (병사(兵使)) 정청 (동중추(同中樞)) 정위 (부사(府使)) 정선용(鄭善容) (부사(府使)) 정철동(鄭喆東) (동중추(同中樞)) 정태동(鄭泰東) (아장(亞將)) 정하응(鄭夏應) (아장(亞將)) 정주응(鄭周應) (아장(亞將)) 정영묵 (현감(縣監)) 정주묵 (병사(兵使)) 정완묵 (판윤(判尹)) 정기덕(鄭基德) (군수(郡守)) 정교민(鄭敎民) (공사관(公事官)) 정교걸(鄭敎杰) (선전(宣傳)) 정규면(鄭圭冕) (사과(司果)) 정규찬(鄭圭瓚) (현감(縣監)) 정지영(鄭祉永) (공사관(公事官)) 정귀조(鄭龜朝) (현감(縣監)) 정규혁(鄭圭赫) (군수(郡守)) 정규선(鄭圭善) (선전(宣傳))
[음사인명(蔭仕人名)]
정회문(鄭繪文) (호장(戶長)) 정지원(鄭之遠) (호장(戶長)) 정문도(鄭文道) (호장(戶長)) 정목(鄭穆) (상서좌복사(尙書左僕射)) 정선조(鄭先祚) (호장(戶長)) 정제(鄭濟) (문과(文科)) 정점(鄭漸) (상서(尙書)) 정택(鄭澤) (태자찬선(太子贊善)) 정항(鄭沆) (상서(尙書)) 정자가(鄭子家) (전옥서(典獄署)) 정자야(鄭子野) (간의대부(諫議大夫)) 정보(鄭輔) (교서(校書)) 정필(鄭弼) (태자첨사(太子詹事)) 정균(鄭筠) (대부소경(大府少卿)) 정유의(鄭惟義) (판사사(判寺事)) 정호(鄭瑚) (봉산군(蓬山君)) 정량생(鄭良生) (봉산군(蓬山君) · 시(諡): 간도(艮度)) 정안생(鄭安生) (주부(注簿)) 정규(鄭規) (전서(典書)) 정구(鄭矩) (좌찬성(左贊成)) 정부(鄭符) (부윤(府尹)) 정절(鄭節) (예의(禮義)) 정효경(鄭孝卿) (현령(縣令)) 정선경(鄭善卿) (판관(判官) · 동평군(東平君)) 정의지(鄭疑之) (생원(生員)) 정린손(鄭麟孫) (경력(經歷)) 징흥손(鄭興孫) (부윤(府尹)) 정희손(鄭喜孫) (감찰(監察)) 정륙손(鄭陸孫) (목사(牧使)) 정춘로(鄭椿老) (주부동정(注簿同正)) 정숭(鄭崇) (검교첨사(檢校詹事)) 정지형(鄭之衡) (자섬부(資贍副)) 정승원(鄭承源) (응교(應敎)) 정귀령(鄭龜齡) (현감(縣監)) 정복주(鄭復周) (사직(司直)) 정영후(鄭榮後) (참봉(參奉)) 정영방(鄭榮邦) (진사(進士)) 정란손(鄭蘭孫) (집의(執義)) 정란수(鄭蘭秀) (군수(郡守)) 정란원(鄭蘭元) (첨정(僉正)) 정란무(鄭蘭茂) (부사(府使)) 정광문(鄭光門) (좌랑(佐郞)) 정광정(鄭光廷) (부정(副正)) 정수후(鄭守厚) (별제(別提)) 정린수(鄭麟壽) (첨정(僉正)) 정홍보(鄭弘輔) (참봉(參奉)) 정충준(鄭忠俊) (부사(府使)) 정수륜(鄭守綸) (참봉(參奉)) 정지신(鄭之信) (감찰(監察)) 정충려(鄭忠礪) (판관(判官)) 정충건(별좌(別坐)) 정흥선(鄭興善) (인의(引義)) 정호선(鄭好善) (직장(直長)) 정홍연(鄭弘衍) (군수(郡守)) 정원조(鄭元朝) (통정(通政)) 정광보(鄭光輔) (남대부사(南臺府使)) 정광좌(鄭光佐) (군수(郡守)) 정광형(鄭光衡) (직장(直長)) 정한룡(鄭漢龍) (현령(縣令)) 정원룡(鄭元龍) (진사(進士)) 정언룡 (군수(郡守)) 정순지(鄭純祉) (별좌(別坐)) 정순복(鄭純福) (서령(署令)) 정순호(鄭純祜) (군수(郡守)) 정순기(鄭純祺) (군수(郡守)) 정순희(鄭純禧) (전부(典簿)) 정상철(鄭象哲) (동돈(同敦) · 봉산군(蓬山君)) 정상의(鄭象義) (현감(縣監)) 정진원(鄭震遠) (동돈(同敦) · 봉해군(蓬海君)) 정지익(鄭之翼) (동돈(同敦) · 봉천군(蓬川君)) 정행인(鄭行仁) (증공참(贈工參) · 봉계군(蓬溪君)) 정필세(鄭必世) (동추(同樞) · 봉성군(蓬城君)) 정사급(鄭師伋) (증복정(贈僕正)) 정혼(鄭混) (증리참(贈吏參) · 봉원군(蓬原君)) 정한동(鄭翰東) (동추(同樞) · 봉안군(蓬安君)) 정상신(鄭象信) (별좌(別坐) · 래산군(萊山君)) 정회원(鄭恢遠) (첨추(僉樞)) 정충원 (사직(司直)) 정의원(鄭疑遠) (진사(進士)) 정지심(鄭之諶) (군수(郡守)) 정행성(鄭行成) (사과(司果)) 정두서(鄭斗瑞) (참봉(參奉)) 정지숙 (증복정(贈僕正)) 정유상(鄭有相) (증리의(贈吏議)) 정한주(鄭翰周) (증리참(贈吏參)) 정행일(鄭行一) (현감(縣監)) 정윤주(鄭潤周) (참봉(參奉)) 정하서(鄭河瑞) (군수(郡守)) 정홍진(鄭鴻鎭) (보병참위(步兵參尉)) 정노겸(鄭勞謙) (주부(注簿)) 정익겸(鄭益謙) (부정(副正)) 정복겸(鄭福謙) (부사(府使)) 정유신(鄭惟愼) (판윤(判尹)) 정시연(鄭蓍衍) (진사(進士)) 정응운(鄭應運) (좌랑(佐郞)) 정진영(鄭晋榮) (진사(進士)) 정재대(鄭載岱) (참의(參議)) 정재악(鄭載岳) (지돈녕(知敦寧)) 정재항(鄭載恒) (목사(牧使)) 정욱선 (도정(都正)) 정각선(鄭覺先) (도정(都正)) 정혁선(鄭赫先) (목사(牧使)) 정석명(鄭錫命) (진사(進士)) 정동우(鄭東愚) (증리의(贈吏議)) 정문용(鄭文容) (첨정(僉正)) 정인헌(鄭寅獻) (군수(郡守)) 정석백(鄭錫百) (동추(同樞)) 정동교(鄭東敎) (목사(牧使)) 정한용(鄭漢容) (참봉(參奉)) 정화순(鄭華淳) (목사(牧使)) 정문순(鄭文淳) (통덕랑(通德郞)) 정동채(鄭東采) (통덕랑(通德郞)) 정인택(鄭寅宅) (보병부위(步兵副尉)) 정달선(鄭達先) (부사(府使)) 정동예(鄭東藝) (참봉(參奉)) 정임선(鄭任先) (생원(生員)) 정석증(鄭錫曾) (증리판(贈吏判)) 정동만(鄭東晩) (도정(都正)) 정재륜(鄭載崙) (동평위(東平尉) · 시(諡): 익효(翼孝)) 정효선(鄭孝先) (증영상(贈領相)) 정양순(鄭養淳) (첨정(僉正)) 정동신(鄭東藎) (군수(郡守)) 정동협(鄭東協) (목사(牧使)) 정동보(鄭東保) (군수(郡守)) 정리용(鄭履容) (진사(進士)) 정익모(鄭翼謨) (진사(進士)) 정시선(鄭是先) (감사(監司)) 정석조(鄭錫祚) (현감(縣監)) 정석년(鄭錫年) (증이참(贈吏參)) 정석범(鄭錫範) (목사(牧使)) 정신검(鄭愼儉) (판관(判官)) 정동윤(鄭東尹) (증이판(贈吏判)) 정기익(鄭基翼) (증이판(贈吏判)) 정동현(鄭東顯) (동추(同樞)) 정하용(鄭夏容) (군수(郡守)) 정기중(鄭基重) (부사(府使)) 정용조(鄭龍朝) (진사(進士)) 정치검(鄭致儉) (목사(牧使)) 정동륜(鄭東倫) (증이참(贈吏參)) 정지용(鄭持容) (목사(牧使)) 정복선(鄭復先) (목사(牧使)) 정석규(鄭錫圭) (부사(府使)) 정석로(鄭錫老) (감역(監役)) 정석주(鄭錫疇) (목사(牧使)) 정석기(鄭錫耆) (부사(府使)) 정석구 (군수(郡守)) 정지화(鄭至和) (찰방(察訪)) 정채화(鄭采和) (도정(都正)) 정재후(鄭載厚) (목사(牧使)) 정문수(鄭文綏) (현감(縣監)) 정존대(鄭存大) (증이의(贈吏議)) 鄭世奭(진사(進士)) 정세화(鄭世華) (현감(縣監)) 정형운(鄭亨運) (증찬성(贈贊成)) 정문상(鄭文祥) (증영상(贈領相)) 정치수(鄭致綏) (군수(郡守)) 정세익(鄭世翼) (군수(郡守)) 정몽필(鄭夢弼) (증통정(贈通政)) 정태석(鄭泰碩) (증가선(贈嘉善)) 정성준(鄭聖俊) (증통정(贈通政)) 정삼혁(鄭三赫) (증가선(贈嘉善)) 정희녹(鄭希祿) (증통정(贈通政)) 정장옥(鄭章玉) (동추(同樞)) 정태환(鄭台煥) (의관(議官)) 정인(鄭絪) (대호군(大護軍)) 정섬(鄭暹) (증이판(贈吏判)) 정흥사(鄭興嗣) (예판(禮判)) 정곤(鄭坤) (대성(大成)) 정가종(鄭可宗) (예판(禮判)) 정률(鄭慄) (군수(郡守)) 정세규(鄭世規) (이판(吏判) · 시(諡): 경헌(景憲)) 정기원(鄭基元) (통정(通政))
[조선조 급제자 정록]
윤로(允老) (태종(太宗) 1년 · 증광시(增廣試) · 진사(進士)) 주 (태종(太宗) 2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개보(介保) (태종(太宗) 8년 · 식년시(式年試) · 진사(進士)) 흠지(欽之) (태종(太宗) 11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갑손(甲孫) (태종(太宗) 17년 · 식년시(式年試) · 진사(進士)) 옹(雍) (태종(太宗) 17년 · 식년시(式年試) · 진사(進士)) 사(賜) (세종(世宗) 2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창손(昌孫) (세종(世宗) 8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이한(而漢) (세종(世宗) 14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종주(宗周) (문종즉위 · 추장(秋場) · 정과(丁科)) 난종(蘭宗) (세조(世祖) 2년 · 식년시(式年試) · 정과(丁科)) 이우(而虞) (세조(世祖) 2년 · 식년시(式年試) · 정과(丁科)) 휘(徽) (세조(世祖) 11년 · 식년시(式年試) · 을과(乙科)) 괄 (세조(世祖) 11년 · 식년시(式年試) · 정과(丁科)) 지(摯) (성종(成宗) 2년 · 별시(別試) · 갑과(甲科)) 륜(綸) (성종(成宗) 8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광세(光世) (성종(成宗) 10년 · 식년시(式年試) · 갑과(甲科)) 자당(子堂) (성종(成宗) 20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광국(光國) (성종(成宗) 20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광필(光弼) (성종(成宗) 23년 · 식년시(式年試) · 을과(乙科)) 사걸(士傑) (성종(成宗) 23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인겸(仁謙) (연산(燕山) 1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충량(忠樑) (중종(中宗) 1년 · 별시(別試) · 정과(丁科)) 전 (중종(中宗) 2년 · 식년시(式年試) · 을과(乙科)) 사룡(士龍) (중종(中宗) 4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구(球) (중종(中宗) 20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응 (중종(中宗) 9년 · 별시(別試) · 을과(乙科)) 원(源) (중종(中宗) 14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희홍(希弘) (중종(中宗) 9년 · 별시(別試) · 을과(乙科)) 욱(郁) (중종(中宗) 23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진(振) (중종(中宗) 26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대년(大年) (중종(中宗) 27년 · 별시(別試) · 갑과(甲科)) 희등(希登) (중종(中宗) 29년 · 식년시(式年試) · 을과(乙科)) 유길(惟吉) (중종(中宗) 26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유인(惟仁) (중종(中宗) 38년 · 식년시(式年試) · 을과(乙科)) 순우(純祐) (명종(明宗) 8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희증(喜曾) (명종(明宗) 8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복시(復始) (명종(明宗) 10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언지 (명종(明宗) 13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유일(惟一) (명종(明宗) 13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언신 (명종(明宗) 1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지연(芝衍) (선조(宣祖) 2년 · 별시(別試) · 을과(乙科)) 여립(汝立) (선조(宣祖) 3년 · 식년시(式年試) · 을과(乙科)) 유청(惟淸) (선조(宣祖) 5년 · 별시(別試) · 을과(乙科)) 숙하(淑夏) (선조(宣祖) 5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표(彪) (선조(宣祖) 9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창연(昌衍) (선조(宣祖) 12년 · 식년시(式年試) · 을과(乙科)) 엽(燁) (선조(宣祖) 16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사신(思愼) (선조(宣祖) 17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기원(期遠) (선조(宣祖) 18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협(協) (선조(宣祖) 21년 · 식년시(式年試) · 을과(乙科)) 유 (선조(宣祖) 24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홍좌(弘佐) (선조(宣祖) 29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홍익(弘翼) (선조(宣祖) 30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광성(廣成) (선조(宣祖) 36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언굉 (선조(宣祖) 39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세미(世美) (광해초년(光海初年)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광경(廣敬) (광해(光海) 4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세구(世矩) (광해(光海) 4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홍원(弘遠) (광해(光海) 5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량윤(良胤) (광해(光海) 7년 · 식년시(式年試) · 을과(乙科)) 량필(良弼) (광해(光海) 8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지경(之經) (광해(光海) 8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홍임(弘任) (인조(仁祖) 2년 · 공주정시(公州庭試) · 병과(丙科)) 지우(之羽) (인조(仁祖) 2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치화(致和) (인조(仁祖) 6년 · 별시(別試) · 을과(乙科)) 태화(太和) (인조(仁祖) 6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태제(泰齊) (인조(仁祖) 13년 · 알성시(謁聖試) · 병과(丙科)) 지화(知和) (인조(仁祖) 15년 · 별시(別試) · 갑과(甲科)) 지호(之虎) (인조(仁祖) 15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유(攸) (인조(仁祖) 17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수(脩) (효종(孝宗) 1년 · 증광시(增廣試) · 을과(乙科)) 만화(萬和) (효종(孝宗) 3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익(瀷) (효종(孝宗) 5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재해(載海) (효종(孝宗) 8년 · 식년시(式年試) · 을과(乙科)) 재숭(載嵩) (현종(顯宗) 1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재희(載禧) (현종(顯宗) 1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화제(華齊) (현종(顯宗) 1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환(煥) (숙종(肅宗) 1년 · 식년시(式年試) · 을과(乙科)) 인수(仁壽) (숙종(肅宗) 4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래상(來祥) (숙종(肅宗) 5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제선(濟先) (숙종(肅宗) 6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희관(希寬) (숙종(肅宗) 6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필동(必東) (숙종(肅宗) 10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두평(斗平) (숙종(肅宗) 17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요천(堯天) (숙종(肅宗) 19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행오(行五) (숙종(肅宗) 25년 · 증광시(增廣試) · 을과(乙科)) 찬선(纘先) (숙종(肅宗) 30년 · 춘당대(春塘臺) · 병과(丙科)) 동후(東後) (숙종(肅宗) 31년 · 식년시(式年試) · 갑과(甲科)) 래주(來周) (숙종(肅宗) 31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창원(敞遠) (숙종(肅宗) 33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석삼(錫三) (숙종(肅宗) 37년 · 식년시(式年試) · 을과(乙科)) 석오(錫五) (숙종(肅宗) 41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중대(重岱) (숙종(肅宗) 41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창선(敞選) (숙종(肅宗) 43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형익(亨益) (숙종(肅宗) 45년 · 증광시(增廣試) · 갑과(甲科)) 유일(惟一) (경종(景宗) 1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언유 (경종(景宗) 1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언섭 (영조(英祖) 1년 · 증광시(增廣試) · 갑과(甲科)) 형복(亨復) (영조(英祖) 1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홍상(弘祥) (영조(英祖) 3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리검(履儉) (영조(英祖) 6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순검(純儉) (영조(英祖) 11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석유(錫儒) (영조(英祖) 13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원순(元淳) (영조(英祖) 15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언상 (영조(英祖) 15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언충 (영조(英祖) 16년 · 증광시(增廣試) · 을과(乙科)) 언욱 (영조(英祖) 17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경서(景瑞) (영조(英祖) 20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홍순(弘淳) (영조(英祖) 21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언섬 (영조(英祖) 26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존겸(存謙) (영조(英祖) 27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상순(尙淳) (영조(英祖) 29년 · 알성시(謁聖試) · 병과(丙科)) 석태(錫台) (영조(英祖) 29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만순(晩淳) (영조(英祖) 31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필충(必忠) (영조(英祖) 35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택동(宅東) (영조(英祖) 47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연순(淵淳) (영조(英祖) 48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우순(宇淳) (영조(英祖) 48년 · 기로정시(耆老庭試) · 병과(丙科)) · 병과(丙科)) 일상(一祥) (영조(英祖) 50년 · 증광시(增廣試) · 을과(乙科)) 동준(東俊) (영조(英祖) 51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치순(致淳) (영조(英祖) 51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지검(志儉) (영조(英祖) 52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계순(啓淳) (정조(正祖) 1년 · 증광시(增廣試) · 갑과(甲科)) 언승 (정조(正祖) 1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존중(存中) (정조(正祖) 4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동관(東觀) (정조(正祖) 7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동신(東愼) (정조(正祖) 8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대용(大容) (정조(正祖) 9년 · 정시(庭試) · 을과(乙科)) 리수(履綏) (정조(正祖) 13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동간(東幹) (정조(正祖) 16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발(渤) (정조(正祖) 16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한(澣) (정조(正祖) 19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교(僑) (정조(正祖) 22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태언 (정조(正祖) 22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원용(元容) (순조(純祖) 2년 · 정시(庭試) · 을과(乙科)) 관수(觀綏) (순조(純祖) 3년 · 별시(別試) · 을과(乙科)) 화석(華錫) (순조(純祖) 7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완(浣) (순조(純祖) 7년 · 정시(庭試) · 갑과(甲科)) 원기(元紀) (순조(純祖) 9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욱동(郁東) (순조(純祖) 9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예용(禮容) (순조(純祖) 9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기선(基善) (순조(純祖) 12년 · 정시(庭試) · 을과(乙科)) 지용(知容) (순조(純祖) 13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광묵 (순조(純祖) 14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동일(東逸) (순조(純祖) 16년 · 식년시(式年試) · 갑과(甲科)) 동환(東渙) (순조(純祖) 16년 · 식년시(式年試) · 을과(乙科)) 기일(基一) (순조(純祖) 26년 · 별시(別試) · 갑과(甲科)) 최조 (순조(純祖) 34년 · 별시(別試) · 을과(乙科)) 기세(基世) (헌종(憲宗) 3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준용(駿容) (헌종(憲宗) 6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기직(基稷) (헌종(憲宗) 9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익조(翊朝) (헌종(憲宗) 10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석조(錫朝) (헌종(憲宗) 10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직동(直東) (헌종(憲宗) 13년 · 정시(庭試) · 을과(乙科)) 건조(健朝) (헌종(憲宗) 14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기용 (헌종(憲宗) 15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현덕(顯德) (철종(哲宗) 1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기면(基冕) (철종(哲宗) 2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시용(始容) (철종(哲宗) 5년 · 기로정시(耆老庭試) · 병과(丙科)) 준용(駿容) (철종(哲宗) 7년 · 중시(重試) · 을과(乙科)) 기회(基會) (철종(哲宗) 9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면조(冕朝) (철종(哲宗) 9년 · 식년시(式年試) · 갑과(甲科)) 범조(範朝) (철종(哲宗) 10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한조(漢朝) (철종(哲宗) 12년 · 정시(庭試) · 갑과(甲科)) 묵 (철종(哲宗) 12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직조(稷朝) (철종(哲宗) 12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수룡(壽龍) (철종(哲宗) 13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순조(順朝) (고종(高宗) 1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인협(寅協) (고종(高宗) 10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인성(寅性) (고종(高宗) 11년 · 증광시(增廣試) · 을과(乙科)) 인흥(寅興) (고종(高宗) 15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승모(承謨) (고종(高宗) 16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현모(玄謨) (고종(高宗) 16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인석(寅奭) (고종(高宗) 17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은조(誾朝) (고종(高宗) 17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익조(益朝) (고종(高宗) 17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인학(寅學) (고종(高宗) 17년 · 알성시(謁聖試) · 병과(丙科)) 인성(寅星) (고종(高宗) 19년 · 증광시(增廣試) · 갑과(甲科)) 인승(寅昇) (고종(高宗) 19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인한(寅漢) (고종(高宗) 19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인섭(寅燮) (고종(高宗) 20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한모(翰謨) (고종(高宗) 22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만조(萬朝) (고종(高宗) 26년 · 알성시(謁聖試) · 병과(丙科)) 한진(漢鎭) (고종(高宗) 28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항조(恒朝) (고종(高宗) 28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인욱(寅旭) (고종(高宗) 29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인형(寅衡) (고종(高宗) 29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인표(寅杓) (고종(高宗) 29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승조(升朝) (고종(高宗) 29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인오(寅五) (고종(高宗) 30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벌열(閥閱)]
●상신(相臣) : 정창손(鄭昌孫) (세조조 · 영의정(領議政)) 정괄 (연산조 · 좌의정(左議政)) 정광필(鄭光弼) (증종조 · 영의정(領議政)) 정대년(鄭大年) (선조조 · 우의정(右議政)) 정지연(鄭芝衍) (선조조 · 우의정(右議政)) 정유길(鄭惟吉) (선조조 · 좌의정(左議政)) 정언신 (선조조 · 우의정(右議政)) 정창연(鄭昌衍) (광해조 · 좌의정(左議政)) 정태화(鄭太和) (인조조 · 영의정(領議政)) 정치화(鄭致和) (현종조 · 좌의정(左議政)) 정지화(鄭知和) (현종조 · 좌의정(左議政)) 정재숭(鄭載嵩) (숙종조 · 우의정(右議政)) 정석오(鄭錫五) (영조조 · 좌의정(左議政)) 정존겸(鄭存謙) (정조조 · 영의정(領議政))정홍순(鄭弘淳) (정조조 · 우의정(右議政)) 정원용(鄭元容) (헌종조 · 영의정(領議政)) 정범조(鄭範朝) (고종조 · 좌의정(左議政)) ●공신(功臣): 정용수(鄭龍壽) (태조조 개국2등공신(開國2等功臣)) 정창손(鄭昌孫) (세조조 세조즉위3등공신 · 예종조 정난익대3등공신(定難翊戴3等功臣)) 정숭노(鄭崇魯) (세조조 이시애난토벌2등공신(李施愛亂討伐2等功臣) · 성종조 성종즉위2등공신) 정종(鄭種) (세조조 이시애난토벌3등공신(李施愛亂討伐3等功臣)) 정난종(鄭蘭宗) (성종조 성종즉위4등공신) 정기원(鄭期遠) (선조조 임진왜란3등공신(壬辰倭亂3等功臣)) ●문형(文衡) : 정당(鄭堂) (연산조) 정주(鄭珠) (중종조) 정사룡(鄭士龍) (명종조) 정유길(鄭惟吉) (명종조, 선조조) 정대년(鄭大年) (명종조) 정홍익(鄭弘翼) (광해조) 정태화(鄭太和) (인조조) 정지화(鄭知和) (인조조) 정재숭(鄭載嵩) (현종조) 정세규(鄭世規) (숙종조) 정존겸(鄭存謙) (영종조) 정원용(鄭元容) (순조조) ●호당(호당) : 정난종(鄭蘭宗) (성종조) 정당(鄭堂) 정사룡(鄭士龍) (중종조) 정응 (중종조) 정유길(鄭惟吉) (중종조) 정유일(鄭惟一) (명종조) 정광성(鄭廣成) (선조조) 정창연(鄭昌衍) (선조조) 정존겸(鄭存謙) 정원용(鄭元容) ●절의(節義) : 정충량(鄭忠樑) (중종기묘(中宗己卯) · 신사사화(辛巳士禍)) ●장신(將臣) : 정규응(鄭圭應) (고종조 · 통제사(統制使)) ●명륜(明倫) : (효행(孝行)) 정룡식(鄭龍植) (증참판(贈參判)) 정기환(鄭基煥) (고종조 정려(旌閭)) (충(忠)) 정기룡(鄭奇龍) (증병판(贈兵判)) ●청백리(淸白吏) : 정갑손(鄭甲孫) (문종조) 정창손(鄭昌孫) (세조조) 정광필(鄭光弼) (성종조) 정당(鄭堂) (연산조) 정연(鄭淵) (명종조) 정언신 (명종조) 정유길(鄭惟吉) (선조조) 정창연(鄭昌衍) (선조조) 정광성(鄭廣成) (선조조) 정홍익(鄭弘翼) (광해조) 정홍명(鄭弘溟) (광해조) 정치화(鄭致和) (인조조) 정지화(鄭知和) (인조조) 정재숭(鄭載嵩) (현종조) 정세규(鄭世規) (숙종조) 정석오(鄭錫五) (숙종조) 정존겸(鄭存謙) (영조조) 정형복(鄭亨復) (영조조) 정홍순(鄭弘淳) (영조조) 정원용(鄭元容) (순조조) 정범조(鄭範祖) (고종조) ●문집(文集) : 용산사고(蓉山私藁)2권(정건조(鄭建朝)) 수정유고(修井遺稿) (정경순(鄭景淳)) 정문익공유고(鄭文翼公遺稿) (정광필(鄭光弼)) 괴은집(乖隱集) (정구(鄭球)) 견산집(見山集) (정기원(鄭期遠)) 현동실유고(玄同室遺稿) (정동유(鄭東愈)) 송애집(松崖集) (정동후(鄭東後)) 영주록(瀛州錄) (정동후(鄭東後)) 무정전고(茂亭全稿) (정만조(鄭萬朝)) 록어산관집 (정병조(鄭丙朝)) 계담집(桂潭集) (정복시(鄭復始)) 호음잡고(湖陰雜稿) (정사룡(鄭士龍) 조천일록(朝天日錄) (정사룡(鄭士龍)) 임하집(林下集) (정사철(鄭師哲)) 과정잡서(瓜亭雜書) (정서(鄭敍)) 평암집(平巖集) (정영진(鄭榮振)) 금천집(琴川集) (정시수(鄭時修)) 경산집(經山集) (정원용(鄭元容)) 황각장(黃閣章)21권(정원용(鄭元容)) 북정록(北征錄)10권(정원용(鄭元容)) 수향편(袖香編)3권(정원용(鄭元容)) 문헌촬록(文獻撮錄)5권(정원용(鄭元容)) 임당유고(林塘遺稿) (정유길(鄭惟吉)) 사문편(思問編)46권(정윤용(鄭允容)) 종선록(從先錄)44권(정윤용(鄭允容)) 동래가록고(東萊家錄稿)20권(정윤용(鄭允容)) (가학편(家學編)6권(정윤용(鄭允容)) 문봉집(文峯集) (정유일(鄭惟一)) 청송시집(靑松詩集) (정자당(鄭子堂)) 양재집(陽齋集) (정존겸(鄭存謙)) 하원시초 (정지윤(鄭芝潤)) 동평기문(東平記聞) (정재륜(鄭載崙)) 한거만록(閑居漫錄) (정재륜(鄭載崙)) 긍재집(兢齋集)7권 (정지선(鄭趾善)) 인예류해(仁禮類解) (정지선(鄭趾善)) 국당조어 (정태제(鄭泰齊)) 양파유고(陽坡遺稿) (정태화(鄭泰和)) 양파년기(陽坡年紀) (정태화(鄭泰和)) 휴옹집(休翁集) (정홍익(鄭弘翼))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