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치 : 한 음운이 수적인 변화 없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현상
탈락 : 있던 음운이 없어지는 현상
첨가 : 없던 음운이 덧붙는 현상
축약 : 두 음운이 합쳐져 제3의 음운으로 바뀌는 현상
도치 : 두 음운이 다른 변화 없이 자리만 뒤바꾸는 현상
1. 음운의 대치
(1) 평파열음화 : 한국어의 음절 종성에서 발음될 수 없는 장애음이 'ㅂ, ㄷ, ㄱ'중 하나로 바뀌는 음운 현상
(2) 비음화 : 장애음이 비음 앞에서 비음으로 바뀌는 음운 현상
(3) 'ㄹ'의 비음화 : 'ㄹ'을 제외한 자음 뒤에서 'ㄹ'이 'ㄴ'으로 바뀌는 음운 현상(독립→독닙 →[동닙])
(4) 유음화 : 유음인 'ㄹ'에 인접한 'ㄴ'이 유음으로 바뀌는 음운 현상
(4)-1 순행적 유음화 : 'ㄹ'로 끝나는 형태소와 'ㄴ'으로 시작하는 형태소가 결합할 때 적용되어 'ㄹ+ㄴ' 연쇄를 'ㄹㄹ'로 바꾸어 준다.
(4)-2 역행적 유음화 : 'ㄴ'으로 끝나는 형태소와 'ㄹ'으로 끝나는 형태소가 결합할 때 적용되어 'ㄴ+ㄹ' 연쇄를 'ㄹㄹ'로 바꾸어 준다.
(5) 경음화 : 장애음 중 평음이 일정한 환경에서 경음으로 바뀌는 음운 현상
(5)-1 평파열음 뒤의 경음화 : 평파열음 'ㅂ, ㄷ, ㄱ' 뒤에서 일어나는 현상
(5)-2 비음 뒤의 경음화 : 용언 어간의 마지막에 놓인 비음 뒤에서 일어나는 경음화 현상
(5)-3 유음 뒤의 경음화 : 'ㄹ'로 끝나는 한자와 'ㄷ, ㅅ, ㅈ'로 시작하는 한자가 결합할 때 일어나는 경음화 현상
(5)-4 관형사형 어미 뒤의 경음화 : 용언 어간 뒤에 관형사형 '-을'이 결합할 때 그 뒤의 체언에 적용되는 경음화 현상
(5)-5 사잇소리 현상으로서의 경음화 : 명사와 명사가 결합하여 합성 명사를 만들 때 일어나는 경음화 현상
(6) 구개음화 : 경구개가 아닌 위치에서 발음되는 자음 중 일부가 'ㅣ'나 반모음 'j' 앞에서 경구개음으로 바뀌는 음운 현상
(7) 두음법칙 : 단어의 첫머리에 올 수 있는 음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
(8) 모음 조화 : 하나의 단어를 이루는 모음들이 같은 성질을 공유하는 현상
(9) 반모음화 : 두 개의 단모음이 나란히 놓일 때 선행하는 단모음이 반모음으로 바뀌는 음운 현상
(10) 'ㅣ'모음 역행 동화 : 후행하는 음절의 'ㅣ'나 'j'에 동화되어 선행하는 음절의 후설 모음이 전설 모음으로 바뀌는 음운 현상
(11) 위치 동화 : 선행 음절의 종성에 놓인 자음의 조음 위치가 후행 음절의 초성에 놓인 자음에 닮아가는 현상(꽃밭 → [꼽빧])
2. 음운의 탈락
(1) 자음군 단순화 : 음절의 종성에 두 개의 자음이 놓일 때 이 중 하나를 탈락시키는 음운 현상
(2) 후음 탈락 : 'ㅎ'으로 끝나는 용언 어간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문법 형태소가 올 때 'ㅎ'이 탈락하는 현상
(3) 유음 탈락 : 'ㄴ, ㅅ'와 같이 조음 위치가 비슷한 자음 앞에서 'ㄹ'이 탈락하는 음운 현상(알+는 → [아:는])
(4) 모음 탈락 : 단모음과 단모음이 서로 인접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단모음 중 하나를 탈락시키는 것
3. 음운의 첨가
(1) 'ㄴ' 첨가 : 자음으로 끝나는 말 뒤에 'ㅣ'나 'j' 로 시작하는 말이 결합할 때 'ㄴ'이 새로 덧붙는 음운 현상
(2) 반모음 첨가 : 모음으로 끝나는 형태소 뒤에 단모음으로 시작하는 형태소가 올 때 반모음이 첨가되는 음운 현상
4. 음운의 축약 : 두 개의 음운이 합쳐져 제3의 음운으로 줄어드는 음운 현상
(1) 유기음화 : 'ㅎ'과 'ㄱ, ㄷ, ㅂ, ㅈ'이 만날 때 이 두 자음이 하나의 유기음으로 실현되는 음운 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