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방주 |
대표작품 1 | |
대표작품 2 | |
수상년도 | 2018년 |
수상횟수 | 제9회 |
출생지 |
구진벼루여! 성왕이여! 백제의 운명이여!
이방주
구진벼루는 관산성 전투에서 성왕이 어이없게 전사한 백제 역사의 운명적 갈림길이다. 옥천군 군서면 월전리 개천이 굽이돌아 흐르는 곳에 벼랑이 있고, 벼랑 아래에서 천오백 년 전 백제의 운명이 뒤바뀌는 사건이 일어났다. 구진벼루는 ‘굽은 개천에 있는 벼랑’이라는 의미의 옥천 월전리 현지 말이다. 달리 ‘구진베루’ ‘구진벼리’로 부르기도 한다. ‘개천’을 한자 표기로 ‘狗川’이라고 쓰다가 구진벼루가 되었는지도 모른다. 아무튼 구진벼루에서 관산성이 바로 코앞이고, 관산성에서 보면 구진벼루가 바로 발아래이다. 직선거리 800m라 하니 방귀도 크게 뀌면 들릴만한 거리이다.
오늘은 구진벼루와 관산성으로 떠난다. 아침운동을 나갔다가 늦게 돌아와 9시가 넘어서야 출발했다. 남청주 나들목으로 들어갔나 싶은데 금방 옥천이다. 먼저 구진벼루로 차를 몰았다. 그래야 관산성에 올라서도 구진벼루를 바로 내려다볼 수 있을 것 같았다. 옥천읍에서 월전리로 들어가는 37번 도로 이름이 성왕로이다. 성왕로는 옥천에서 추부를 거쳐 부여까지 이어지는 길이다. 성왕은 추부 ‘마전’에서 전투를 지원하다가 지금의 성왕로를 따라 말을 달려 이곳에 왔을 것이다.
국궁연습장인 관성전 못미처에서 우회전하여 조그만 다리를 건너면 길은 월전리 마을로 들어가는 길과 구진벼루라는 벼랑이 있는 개천의 둑방길로 갈라진다. 월전리는 마을 뒤편 서북쪽이 야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앞으로 금강 줄기인 시냇물이 굽이쳐 흐른다. 마을 앞으로는 평평한 농지가 형성되어 있고, 시냇물을 건너 절벽이 있다. 시냇물은 맑고 깨끗한데다가 기암괴석이 녹음 속에서 불쑥불쑥 얼굴을 내밀고 있는 절경이다. 지리 교과서에서 우리나라 강촌마을 설명할 때 보여주는 표본 같은 농촌 마을이다. 군데군데 도회지 사람들의 전원을 낀 별장이 보인다. 오늘은 천오백년 전 엄청난 역사를 다 잊어버리고 매우 평화스러운 마을처럼 보였다.
마을 앞을 지나 구진벼루를 곁에 두고 고리산(환산)으로 건너가는 소로가 있다. 마을 남쪽으로 관산성, 용봉산성, 동평산성, 마성산성을 지나 장령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는 옥천읍 시가지를 감싸 안고 용틀임한다. 서북쪽으로 식장산이 우뚝 솟아 대전과 옥천의 경계를 이룬다. 신라와 백제의 경계도 이렇게 이루어졌을 것이다. 식장산은 보기 흉한 통신탑을 머리에 이고 있어 힘겹다. 아마도 옛날에는 봉화대가 있었을 것이다. 지금은 전파의 봉화대가 서 있는 셈이다.
강둑에 나 있는 좁은 시멘트 포장도로를 따라서 계속 들어가니 냇물이 한번 구비치고, 절벽과 농지의 위치가 뒤바뀌는 곳에 성왕 유적비가 서럽게 서 있었다. 잡목이 우거지고 쑥대가 무릎까지 올라온 가운데에서 비신은 그나마 말끔하다. 부여 사람들이 읍내 중앙에 점잖게 모셔놓은 성왕을 옥천 사람들은 어이없는 죽음이라는 슬픈 사연으로 기억하고 되새기고 있는 것이다.
백제 제26대 왕인 성왕은 무령왕의 아들이다. 서기 523년에 왕위에 올라 554년 구진벼루에서 변을 당할 때까지 31년간이나 왕위에 있었다. 서기 538년 협소한 웅진에서 광활한 사비로 천도하여 국호도 남부여로 고치면서 백제 중흥을 꿈꾼 야심찬 군왕이었다. 고구려, 신라, 가야, 왜 등 주변 나라들과 경쟁하면서 찬란했던 문화와 나라의 위상을 회복하려 무진 애를 쓴 군왕이다. 고구려에게 빼앗겼던 한강 유역의 땅을 70여년 만에 도로 찾기도 하고 가야에도 세력을 뻗치었다. 신라 진흥왕과 화친과 다툼을 주고받으면서 끊임없이 삼한통일을 준비하였다. 심지어 딸을 진흥왕의 후비로 보내고 겉으로는 화친의 손을 내밀면서 기회를 엿보기도 했다.
성왕이 변을 당한 것은 그 유명한 관산성 전투이다. 관산성 전투는 신라에게 빼앗겼던 관산성을 도로 찾으려는 야심찬 계획이다. 백제는 가야, 왜와 연합하여 대군을 이루어 태자 부여창이 지휘에 따라 신라에게 빼앗긴 관산성을 침공하였다. 신라는 가야 마지막 왕인 구형왕의 막내아들이면서 김유신 장군의 할아버지인 김무력 장군과 삼년산성의 비장 도도가 부여창의 백제군을 협공하였다. 마전에서 전투를 독려하던 성왕은 태자를 격려하려고 다만 50명의 친위대만 이끌고 이곳을 지나다가 김무력이 지시로 매복 중이던 도도의 군사에게 생포되었다.
재위 31년간이나 백제의 중흥을 위해 많은 업적을 남긴 왕이 한낱 신라의 병졸에게 목을 늘이고 자신의 칼을 내어주면서 죽음을 기다렸다는 것은 참으로 어이없는 일이었다. 일부 학설에 의하면 부여창의 군대가 관산성을 이미 탈환하였으나 재탈환하려는 김무력 장군의 극렬한 공격에 어려움에 처하자 격려하러 가던 길이었다니 더욱 안타까운 일이다. 불과 1km도 안 되는 관산성에서 태자가 내려다보는 시야 안에서 말이다. 부왕의 목을 받아든 젊은 태자는 이성을 잃고 흥분하여 작전도 없이 신라군에게 덤볐다.
성왕이 거동한다는 첩보를 듣고 이곳에 침투부대를 잠복시킬 정도로 노련한 신라의 김무력은 젊은 태자의 이런 무모한 공격을 기다렸을 것이다. 고리산성을 거쳐 백골산성까지 쫓긴 29600명의 백제 군사가 전멸했다고 역사는 전한다. 백제는 성왕이 애써 일구어놓은 국력을 백골산성에서 붉은 피로 흘려보낸 것이다. 이것이 구진벼루의 비극이다.
성왕은 행차를 더욱 신중하게 행하였어야 한다. 가야는 친신라파와 친백제파가 있었고, 조정에는 관산성 공격을 찬성하는 친왕권파와 반대하는 귀족들의 파벌이 있다는 사실을 알았어야 한다. 세작들의 책략도 있었을 현실을 바로 알아 신중하게 거동했어야 한다.
성왕의 죽음으로 백제는 혼란에 빠지게 되었다. 성군을 잃어버린 손실도 있었지만 밖으로 가야나 왜와 동맹이 무너지고, 신라의 공격은 더욱 거세어졌다. 안으로는 많은 군사를 잃고 왕과 함께 했던 국가 운영의 주역들을 함께 잃어버렸으며 관산성 전투를 반대했던 귀족들이 득세하여 위덕왕(부여창)의 국가 운영 정책들이 받아들여지지 않아 혼란에 빠졌다. 백제가 파멸의 길을 걷게 된 것은 이때부터라고 생각한다. 구진벼루 사건은 백제 운명의 갈림길이 되었다.
관산성 전투에서 성왕이 어이없는 죽음을 당하지 않고 백제가 승리했다면 삼한의 역사는 어떻게 전개되었을까? 반대로 신라가 삼년산성까지 쫓기어서 전멸하다시피 했다면 어찌 되었을까? 가야가 신라 대신 백제에 흡수되고 백제가 삼년산성까지 차지하여 신라의 국운을 위협했을 것이다. 삼한통일의 형세가 백제로 기울어 백제가 통일을 이루어냈다면 우리 문화의 색깔도 달라졌을 것이다. 시조 온조왕의 말대로 ‘검이불루 화이불치儉而不陋 華而不侈’라는 백제문화의 가치가 오늘을 지배하게 되었을지도 모른다. 역사는 큰 사건으로도 방향이 바뀌지만, 한 순간 지도자의 판단에 따라서도 전혀 다른 길로 돌아가게 된다. 부여 사람들은 아직도 성왕을 존경하고 어이없는 죽음을 안타까워한다.
이곳 성왕 사절지死節地에서 관산성은 서북으로 800m 거리라는데 관산성이라고 생각되는 산줄기를 바라보니 바로 지척이다. 지도상으로 보면, 여기서 남쪽 산줄기에 관산성지, 용봉, 동평성, 마성산 줄기가 뚜렷하다. 우두커니 유적비를 바라보다 비석을 한번 쓰다듬고 관산성으로 향했다.
구진벼루여! 성왕이여! 백제의 운명이여!
백제국성왕사절유적비
▣ 소재지 : 옥천군 군서면 월전리
▣ 답사일 : 2011년 6월 11일
*약력
청주교대 및 청주대 국어국문학과 졸업. 초, 중, 고 교사 40년 5개월 근무. <한국수필>로 수필(1998). <창조문학>으로 문학평론 등단(2014). 충북수필문학상(2007), 내륙문학상(2014) 수상. 내륙문학회 회장, 충북수필문학회 회장 역임. 한국수필가협회 감사, 한국수필작가회 이사, 청주교대 평생교육원 강사. 수필집 『가림성 사랑나무』 외 4권
**제9회 인산기행수필문학상 심사평
『가림성 사랑나무』는 명승지나 국보급 유적을 감상하는 일반적 기행수필을 뛰어넘어 애달픈 역사적 사실을 찾아 백제 멸망에 대한 그릇된 인식을 수정하게 하는 계몽효과도 준다. 새로운 역사의 발견과 주제에 대하여 깊은 애정으로 힘 있게 풀어간 필력으로 심사위원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가림성 사랑나무』가 역사적인 무게로 주제를 풀어나갔다면 『지하철 거꾸로 타다』는 감성이 뛰어난 수필들이다. 지하철 안에서 만난 인간 군상의 소묘와 자신의 존재 의미를 찾아보는 재치 있는 전개로 기행수필의 묘미를 느낄 수 있다.
여행을 통한 깨달음과 발견, 삶의 의미와 힐링을 탐구한 두 분의 수상을 축하하며 앞으로 기행수필발전에 기여하기를 부탁하는 바이다.
2018년 11월9일
심사위원 : 유혜자(글) 지연희 장호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