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매일신문 기사 내용입니다^^
[야고부] 국회 지붕 꿀벌 뜻은? 매일신문 배포 2020-05-22 06:30:00 | 수정 2020-05-22 06:24:42 |
주호영 통합당 원내대표(왼쪽)와 안상규 대표가 국회도서관 옥상에 설치된 벌통에서 꿀을 채밀하고 있다. 김병훈 기자 13912399">
매일신문 |
정인열 논설위원 "눈으로 보면서도 알지 못하며 진리의 소리가 천지간에 진동하여도 그 메아리의 근본을 알지 못한다. 부처님께서는… 신종(神鐘)을 달아 진리의 소리를 듣게 하셨다." 국보 성덕대왕신종 즉 '에밀레종'에는 1천 자가 넘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종을 만드는 과정에서 소리가 제대로 나지 않아 어린아이를 넣었다는 전설을 지닌 봉덕사 신종은 세계에서 가장 듣기 좋은 소리를 내는 종으로도 널리 알려진, 신라 장인들의 혼이 녹아 있는 불후의 명작이다.
4명의 장인(주물사)이 참여, 20년 세월에 걸쳐 만든 18.9t 무게의 신종은 771년 완성된 뒤 우여곡절을 겪었다. 처음 봉안된 봉덕사가 수해로 유실되면서 700년 넘게 땅속에 묻혔다 조선 세조 때 영묘사에 자리를 잡았다. 그러나 다시 종각 소실로 방치되다 이후 하루 세 차례 시간의 흐름을 전하는 역할을 했다.
그런데 이 신종에는 신라 사회의 양봉(養蜂) 역사가 깃들어 있다. 신종에 대한 연구 결과, 당시 종의 주조 방법은 납형법(蠟型法)이었다. 즉 꿀벌 집에서 추출한 밀랍(蜜蠟)을 사용했다. 벌통 1개에 연간 생산 밀랍을 1~2ℓ로 보면 20t 무게 신종 주조에는 약 4천~5천 개의 벌통이 쓰인 것으로 추정됐다.
신라는 불교의 나라였다. 헤아릴 수 없는 사찰이 줄을 이었다. 사찰마다 크고 작은 종들이 주조됐을 법하다. 에밀레종만큼은 아니라도 밀랍이 쓰였을 가능성은 분명하다. 신라의 양봉 발달은 짐작할 만하다. 자연의 꿀벌 집만으로는 이런 대량의 밀랍 공급은 힘들 터이니 인공의 양봉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리라.
부처님의 진리를 전하는 종을 만드는 데 귀하게 쓰였던 꿀벌의 집이 올 초 나라 한복판, 아수라장 같은 서울 여의도 국회 건물 옥상에 마련된 뒤 21일 처음 꿀을 따는 채밀(採蜜) 행사가 열렸다. 불자인 미래통합당 주호영 원내대표의 제안으로 설치된 벌통 12개에 꿀벌 100만 마리가 모은 꿀을 따는 행사였다. 거둔 꿀은 청소근로자 등에게 주고 농업에 대한 관심을 높이며 도시 생태 복원에도 도움이 된다니 그 뜻이 가상하다. 이왕이면 부지런하고 서로 도우며 '왕벌'에게 충성하는 꿀벌과 그들의 집조차 진리를 전하는 종을 만드는 데 쓰인 것처럼 여의도 식구들도 왕인 국민을 위하는 꿀벌만큼만 되면 더할 나위 없겠다.
정인열 논설위원 oxen@imaeil.com [야고부] 국회 지붕 꿀벌 뜻은?
공유목록 닫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