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yClass (PRE 산하의 recycler계 컨소시엄, EU)
| 기존 리사이클 기술에 적합한 플라스틱 패키지 설계에 의한 리사이클성 향상을 목적으로, value chain 전체에 연대하고 있는 단체. 독자적으로 제작한 가이드라인에 기초하여, 유럽 시장에 있어서 각종 폴리머, 패키지이 리사이클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
√ EU에서 recycle stream이 있는 플라스틱의 선택
√ 폴리머의 종류에 의해 리사이클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메인 폴리머의 비율을 최대화한다.
√ Mono material solution이 요망된다.
√ 인쇄나 컬러링의 삭감에 의해 리사이클 품질 저하를 막는다.
√ 소비자가 패키지를 완전히 비우는 것이 가능할 것. 남는 것은 리사이클 시에 오염을 일으킨다.
⇒ 이들의 원칙을 염두에 두고, RecyClass는 각 패키지를 위한 리사이클 설계 가이드 라인을 공표. 설계 가이드 라인은 최신의 조사 결과에 기초하여, 지속적으로 갱신되고 있다.
APR (The Association of Plastic Recyclers, US)
| 미국에서 mechanical recycle 사업자에 의해 설립된 플라스틱 리사이클의 전략과 기분을 결정하는 컨소시엄. 유통, brand owner, converter, 화학 회사, 리사이클 사업자 등 267사가 참가, 가맹 |
● 순환형 사회의 실현을 향해, supply chain 자체의 정보 집약을 행하고 있다. (회수, 분별, 리사이클, 폐기)
● 기업이나 지자체의 commitment를 실현하기 위해, 리사이클 업자에 재처리 가능한 1차 플라스틱 제품의 “가이드 라인 기준”을 책정하고 있다.
● 고품질 재생 플라스틱의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 APR PCR 인증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APR PE flexible의 설계 가이드 라인
• 연포장재에 관한 설계 가이드 라인은, PE와 PP가 존재
• 리사이클 불가한 대상의 고려는 일본이나 EU와 동일
| OK: 요망 | △: 영향 있음 | X: 리사이클 불가 | ?: 테스트 필요 |
기재 | ● PE>90%의 PE 단일소재 ● Plastomer, m-LLDPE ● EVA, VA(패키지 중량의 5% 미만) ● Ionomer(패키지 중량의 20% 미만) ● 5% 이하의 PB(폴리부텐) | ● PE가 80~90%
| ● PE가 50% 미만 ● PET, PVC, PVDC ● 종이 ● 알루미늄 박 ● 생분해 수지 | ● PE가 50% 미만 ● 물성 향상을 위한 미지의 수지의 blend |
색미 | ● Natural ● 백, 옅은 색, 또는 얇은 색 | ● 어두운 색 |
| ● metallic 안료 ● 밀도>0.996/㎤ |
디스펜서 부속품 | ● PE flexible seal, 디스펜서 |
| ● 금속 또는 금속을 포함 | ● Non-PE ● PE attachment |
첨가제 차단 코팅 | ● 역사적으로 문제없이 사용되었던 “주력” 첨가제 ● AlOx 및 SiOx, 차단 코팅 |
| ● PVDC 코팅 ● 밀도가 1.0을 초과하는 첨가제 ● 분해성 첨가제 | ● 기타 첨가제 및 코팅제 ● 금속 박막의 전사, 알루미늄 증착층, 금속 잉크(잉크, 접착제를 함유하는 구성의 경우) ● 밀도가 0.996에 가까운 첨가제의 농도 |
세계의 플라스틱 생산량(2023년)
● Mechanical recycle plastic은 플라스틱 총 생산의 8.7% (36.2Mt)
● PE와 PP의 생산량이 많고 재생재의 수요가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