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곤충의 머리에는
배 고플때 먹어야 하는 입인 입틀,
냄새를 맡고 맛을 보는 더듬이,
먹잇감이나 짝을 보는 겹눈이 있다.
사람에게 있는 귀와 코는 없다.
그렇지만, 곤충에 따라 청각을
담당하는 감각기관이 있기도 하고
더듬이는 냄새를 감각하는 기능외에도
여러가지의 기능을 더 가지고 있다.
2.1.1 겹눈
1) 먼저 낱눈, 겹눈의 사전적의미는
_ 낱눈 (ommatidium)
절지동물의 겹눈을 형성하는 기본 단위.
각막렌즈, 원추정체, 7~8개의 감각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_ 겹눈 (compound eye, 복안 , 複眼)
특수한 구조의 렌즈눈인 다수의 낱눈이
벌집모양으로 집합, 형성되어
하나의 시각기로서 기능하는 형식의 눈.
2) 곤충의 겹눈
사람의 눈은 낱눈으로 되어 있다.
곤충의 눈은 낱눈들이 하나하나 모여서
만들어진 겹눈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곤충은 겹눈을 통해 사물의 모양,
자외선, 명암등을 분별할 수 있다.
3) 곤충의 겹눈을 형성하는 낱눈의 수는?
_ 왕잠자리류는 약 2만 8천개
_ 좀잠자리류는 약 2만개
_ 나비류는 약 1만 4천개
_ 집파리류는 약 4천개
_ 벌류는 약 4~5 천개이다
※ 잠자리의 뒤통수에도 눈이 있다는
말은 틀린 말이 아니지요.
4) 낱눈이 많으면 잘 보일까
낱눈이 많다고
낱눈이 하나인 사람보다
잘 볼 수 있는 건 아닙니다.
곤충의 낱눈은
제각각 위치한 각도와 방향의 사물만
인식하는 것이 사람과 다릅니다.
5) 겹눈의 크기
_ 동굴같은 어두운 곳에 사는 곤충의
겹눈은 퇴화되기도 했다.
_ 땅강아지 같이 어두운 곳에 사는
곤충은 퇴화되지는 않아도
겹눈은 작다.
_ 넓은 공간에서 먹이활동을 하는
잠자리는 겹눈이 커서
머리 한가운데 맞붙어 있기도 한다.
6) 겹눈의 생김새
_ 공모양은
잠자리류, 딱정벌레목의 길앞잡이,
나비목과 파리목의 곤충들이다.
_ 타원형 모양은
메뚜기목이 대표적이다
_ 찌그러진 콩팥모양은
말벌과와 딱정벌레목의 거저리과,
하늘소과, 잎벌레과인데
더듬이와 겹눈간의 자리다툼 결과로
겹눈이 콩팥모양이 되었다.
_ 기타 모양은
첫댓글 곤충들의 다양한 겹눈모양을 새로이 알게 되었네요. 감사합니다.
곤충에 대해 스스럼없이 얘기할 수 있는 그 때까지 계속됩니다.